가격 부풀리기, 돈 세탁에 멍드는 NFT…'법적 제재와 감시 필요'

권택경 tk@itdonga.com

[IT동아 권택경 기자] 지난해부터 새로운 가상자산 유형으로 떠오르며 주목받고 있는 NFT(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토큰) 시장에서도 자전거래, 자금세탁과 같은 불법 활동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체이널리시스는 블록체인 분석 결과 NFT 시장에서 자전거래, 자금세탁과 같은 불법활동을 감지했다고 밝혔다.

출처=셔터스톡
출처=셔터스톡

자전거래란 같은 인물이나 단체가 판매하는 척 내놓은 자산을 그대로 되사는 것을 말한다. 거래량과 거래금액을 부풀림으로써 자산이 실제보다 가치있는 것으로 투자자들을 현혹할 수 있다. 체이널리시스의 분석 결과 상습적 자전거래자로 의심되는 사용자는 262명이었다. 이들은 자금을 자체 조달한 지갑 주소로 25회 이상 NFT를 판매했다. 이들의 수익을 산출한 결과 절반이 넘는 152명은 모두 합해 약 42만 달러(약 5억 원) 손실을 봤지만, 나머지 110명은 약 890만 달러(약 108억 원)의 수익을 올렸다.

증권시장에서는 이 같은 자전거래가 엄격히 금지되지만, NFT와 같은 가상자산 시장은 아직까지 법적인 제제나 보호의 테두리 바깥에 있다. 이 같은 불법적 거래를 막기 위해서라도 가상자산 시장을 법제화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나온다. 체이널리시스도 “규제기관들이 새로운 NFT 시장에서 기존의 사기 방지 지휘권을 적용한다면 상황은 달라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자전거래 의심 사례. 출처=체이널리시스
자전거래 의심 사례. 출처=체이널리시스

체이널리시스는 “NFT 자전거래는 불공정한 시장을 만들 수 있으며 NFT 생태계에 대한 신뢰를 훼손해 미래 성장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면서도 “블록체인 데이터와 분석을 이용하면 오히려 이러한 자전거래 사례를 더욱 쉽게 특정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NFT를 활용한 자금세탁 사례도 확인됐다. 불법 주소에서 NFT 마켓플레이스로 전송된 금액은 2021년 3분기 기준 100만 달러(약 12억 원) 이상이었으며, 2021년 4분기에는 140만 달러(약 17억 원)에 육박했다. 50만 달러(약 6억 원)를 밑돌았던 2021년 1분기와 비교해 크게 증가한 액수다.

NFT를 활용한 자금세탁 사례도 지난해 3분기부터 큰 폭으로 증가했다. 출처=체이널리시스
NFT를 활용한 자금세탁 사례도 지난해 3분기부터 큰 폭으로 증가했다. 출처=체이널리시스

이러한 자금세탁이 발생한 주소 중에는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는 스캠에 연루된 불법 주소가 가장 많았고, 도난 자금이 그 뒤를 이었다. 4분기에도 여전히 스캠 연루 주소와 도난 자금이 큰 비중을 차지한 가운데, 제재 대상에 오른 주소가 크게 증가해 스캠 연루 주소 다음으로 많았다.

범죄 수익과 같이 불법으로 얻은 자금으로 미술품을 구입하고, 이를 되파는 방식으로 자금을 세탁하는 일이 NFT 시장에서도 똑같이 일어나고 있는 셈이다. 블록체인의 익명성 때문에 이와 같은 악용 사례가 더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대목이다. 하지만 체이널리시스는 NFT를 통한 자금 세탁은 블록체인의 투명성 덕분에 수량화가 어려운 실제 미술품보다 더 신뢰있는 추정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백용기 체이널리시스 한국 지사장은 “NFT 자전거래와 자금 세탁 금액은 86억 달러(약 10조 원)로 추산되는 가상자산 기반 자금세탁과 비교하면 극히 적은 수준”이라면서도 “자금세탁 혹은 제재가 부과된 가상자산 기업으로부터 이체된 금액은 NFT에 대한 신뢰를 크게 훼손할 우려가 있으므로 마켓플레이스, 규제기관, 법집행기관 모두 이를 자세히 감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글 / IT동아 권택경 (tk@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