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인텔 2세대 코어 프로세서, 이름 이해하기
권명관인텔 2세대 코어 프로세서(또는 CPU). 요즘 소녀시대가 부른 ‘비주얼 드림’이라는 노래로 눈길을 끌고 있는 인텔의 새로운 프로세서다. 얼마 전에는 이 노래의 뮤직 비디오가 3D 버전으로 제작되어 영상 시사회가 개최되어 많은 사람의 관심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인텔의 새로운 2세대 코어 프로세서 모델과 이름에 대해서는 모르는 이들이 -
USB포트가 부족할 때 - USB 허브(hub)
서동민USB 허브란 하나의 USB 포트에 여러 개의 USB 기기를 꽂을 수 있도록 만든 PC 주변기기다. 마우스, 키보드, 프린터, 디지털카메라, MP3플레이어 등 PC와 관련 있는 소형 기기들은 대부분 USB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 기기들을 동시에 이용하려면 PC에 달려 있는 USB 포트로는 부족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이렇게 USB포트가 부족할 때 간편하게 -
[스마트폰 생초보 강의] 갤럭시S 통화 종료에 관한 정보
김민환스마트폰 가입자가 1,000만 명을 넘어섰다. 우리나라 휴대폰 전체 가입자 중 4명당 1명 꼴로 스마트폰을 쓰고 있다는 말이다. 이는 스마트폰이 이제는 보급화/대중화 단계에 접어 들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스마트폰 보급률에 비해 스마트폰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단순한 용도로 사용하는 이도 적지 않다. IT기기 사용에 익숙한 젊은 사용자 층은 -
디지털 기술로 태어난 최상위급 카메라 - DSLR 카메라
김영우필름카메라는 렌즈를 통해 빛을 받아들여 이를 필름에 감광(빛을 쪼여 영상을 새김)시키는 방식으로 사진을 생성한다. 그리고 디지털카메라의 경우, 필름 대신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등의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를 사용한다는 것 외에 기 -
스마트폰 강화유리의 대세, 고릴라 글래스
서동민사막을 횡단한 사람에게 가장 고통스러웠던 것이 무엇이었냐고 물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글거리는 태양빛이나 뼛속까지 스미는 추위, 혹은 갈증과 배고픔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그 사람의 대답은 모두의 예상과 달랐다.“가장 고통스러웠던 것은 험한 길도, 무거운 짐도, 갈증도, 변덕스러운 날씨도 아니었다. 신발 속에 들어온 모래알이 가장 큰 -
전세계가 사용하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 - GPS
서동민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성항법시스템이다. 항공기, 선박, 자동차 등의 내비게이션 장치에 주로 쓰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등에서도 많이 활용되는 추세다.군사용으로 개발된 GPS가 내비게이션에 활용돼원래 GPS는 미국 국방부에서 폭 -
하드디스크를 대체하는 고속의 보조기억장치 - SSD(Solid State Drive)
김영우PC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장치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3가지 요소가 바로 CPU(중앙처리장치)와 램(주기억장치), 그리고 하드디스크(보조기억장치, Hard Disk Drive: HDD)다. 따라서 위 3개 장치의 성능이 곧 PC의 전반적인 성능을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다만 CPU와 램의 동작 속도가 하루가 다르 -
스마트폰 해외 로밍 서비스, 제대로 알고 계시나요?
이문규두 달 전 처음으로 스마트폰을 구매해 사용하게 된 L씨는 얼마 전 일주일간 해외 출장을 다녀 온 뒤 스마트폰 사용요금 내역서를 보고 깜짝 놀랐다. 평소 6~7만 원이던 요금이 그 10배인 70여만 원을 훌쩍 넘었기 때문이다. 해외 전화 통화가 비싸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 잠깐 잠깐 통화했을 뿐이라 뭔가 잘못 정산됐으리라 판단하고 -
전자책(e북)의 표준 - ePub
서동민‘ePub’는 ‘electronic Publication’의 줄임말로, 국제디지털출판포럼(IDPF, International Digital Publishing Forum)에서 제정한 전자책의 기술 표준이다. 2007년 9월에 전 세계 공식 표준이 된 이후 많은 전자책 업체가 이 ePub 포맷을 채택해 e북 콘텐 -
손에 잡힐 듯 실감나는 입체 영상을 즐기기 위해 - 3D TV
김영우TV는 19세기 말에 개발이 시작되어 20세기 초에 이르러 완전히 실용화되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보다 현실적인 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술이 TV에 더해졌다. 칙칙한 흑백에서 화사한 컬러로, 선명도가 떨어지는 SD급 화질에서 깔끔한 HD급 화질로 발전한 것이 대표적인 변화다.하지만 화면의 색감과 선명도가 아무리 향상된다고 해도 실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