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디지털 시대의 멀티미디어를 위해 태어난 한 가닥의 케이블, HDMI
김영우멀티미디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영화나 게임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즐기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3가지의 요소가 있다. 첫 번째가 TV나 모니터, 혹은 스피커와 같은 출력기기, 두 번째가 DVD 플레이어나 PC, 비디오 게임기와 같은 소스(source)기기이며, 마지막 세 번째가 소스기기와 출력 기기를 연결해 영상이나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인 -
인터넷 웹 브라우저, 당신은 무엇을 선택하시겠습니까?
이기성웹 브라우저는 컴퓨터에서 가장 중요한 소프트웨어다. PC를 사용하는 동안 우리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온라인 작업을 하며 많은 시간을 보낸다. 검색, 채팅, 이메일, 쇼핑, 은행 업무, 뉴스 읽기 및 동영상 감상 등의 모든 온라인 작업이 대부분 브라우저를 통해 할 수 있는 일이다.PC에서 주로 쓰는 대표적인 웹 브라우저로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질라 파이 -
디지털 노마드의 필수 길라잡이 - 내비게이션
서동민항해 시 꼭 챙겨야 할 물건은 나침반과 해도(海圖)다. 뱃사람들은 망망대해를 건널 때 이 두 가지 물건에 목숨을 맡겼다. 망가지거나 분실한다면 아무리 크고 좋은 배라고 할지라도 길을 잃고 표류할 수밖에 없다.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이나 베니스 해상 무역의 번영도 이것들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렇게 수백 년간 뱃사람들의 길잡이가 되었던 나침반과 해도는 -
무엇이든 주고받는 '메신저(Messenger)'의 정의
이기성컴퓨터에서 메신저(Messenger)란,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메시지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이를 통해 여러 사람과 동시에 문자 채팅, 음성 채팅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용량의 파일은 물론 문자 메시지(SMS)를 보내거나, 뉴스나 증권, 음악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메 -
컴퓨터 네트워크의 기초 6부 - 파일/폴더 공유
이문규지난 5부에 걸친 컴퓨터 네트워크 기초 강의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실현하는 물리적인 장비와 도구 등에 살펴봤다. 물론 이는 ‘컴퓨터 네트워크’라는 방대한 이론의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일반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접하게 되는 네트워크 기초 정보로서는 (완벽하진 않아도) 크게 부족하지 않으리라 사려된다.컴퓨터 -
게임, 모니터 그리고 해상도
이기성게임을 즐기기 위한 투자, 당신은 어디까지 해봤는가? 아마 그래픽 카드에 투자해본 사람은 많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게임의 화려한 그래픽을 눈으로 만끽할 수 있게 해주는 모니터 선택에 대한 내용이다.긴박하고, 생생한 화면이 강조된 FPS(일인칭 슈팅) 게임은 모니터의 응답속도와 명암비가 성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다. 그러나 -
디지털 용어정리 - 해외 로밍(Roaming)
이기성해외 로밍(Roaming)은 우리나라 외 다른 국가에서 다른 통신 사업자의 서비스망을 이용해 국내와 똑같이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로밍은 본래 서로 다른 통신업체끼리 서로 제휴하여 상호 간의 서비스망에서 원활하게 통신이 이뤄지게 함으로써 서비스 품질과 커버리지(영역)를 넓히려는 의도로 계획된 기술이다.따라서 국내 업체가 다른 나라 -
디지털 용어정리 - 그리드 컴퓨팅(Grid computing)
이기성그리드 컴퓨팅은 모든 컴퓨팅 기기를 하나의 초고속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컴퓨터의 계산능력을 극대화시키는 차세대 디지털 신경망 서비스를 말한다. 쉽게 말해 수많은 컴퓨터를 하나로 묶어 같은 작업을 공동으로 수행하게 하는 것인데, 다른 말로 ‘분산 컴퓨팅’이라고도 불린다. 분산된 컴퓨터 자원을 광통신 등 초고속 네트워크로 연결한 뒤 프로세 -
PC용 영화 파일, 스마트폰에서도 보고 싶다면? ‘인코딩’으로 해결해!
김영우인터넷에서 다운로드받은 영화 파일을 감상하려고 클릭했지만 화면이 뜨지 않고 소리만 나오거나 아예 재생 자체가 되지 않는 때가 종종 있다. 이는 대부분 코덱(codec: 특정 규격의 미디어를 해석하는 소프트웨어)이 PC에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해당 동영상에 맞는 코덱을 설치해주면 정상적으로 재생되곤 한다. 이를테면 DivX 규격의 동영상이 재생되지 않을 -
다들 ‘메일’하고 계십니까? 매일매일 ‘메일’하는 방법
이문규얼마 전 인기 있는 TV 예능 프로그램을 보니, 40~50대 출연자가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기기 사용에 도전하면서 겪는 에피소드를 다루고 있었다. ‘디지털’을 늘 접하고 사는 젊은 시청자들이 보기에는 그저 애처롭고 안타깝기만 하다. 일반적인 디지털 기기가 그 분야 전문가들만 사용할 수 있을 만큼 복잡한 것도 아닌데, 그들에게는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