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쥐를 닮은 입력장치 - 마우스(mouse)
서동민마우스는 컴퓨터 입력장치의 일종으로, 손바닥 안에 쏙 들어오는 둥글고 작은 몸체에 긴 케이블이 달려 있는 모습이 마치 쥐와 닮았다고 해서 마우스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마우스를 움직이면 디스플레이 화면 속의 커서가 움직이고, 버튼을 클릭하면 명령이 실행되는 비교적 간단한 사용법 때문에 키보드와 더불어 현재까지 가장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입력장치로 꼽 -
(IBM 호환) PC와 다른 또 하나의 개인용 컴퓨터 - 매킨토시(Macintosh)
김영우1970 ~ 1980년대는 개인용 컴퓨터가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시기이자 관련 기업들의 ‘춘추전국시대’로 기억되고 있다. 하루가 멀다 하고 새로운 컴퓨터 제조사 및 컴퓨터 제품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이들 중 대다수는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지 못하고 사라지곤 했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눈에 띄는 활약을 펼치던 제품이 있었으니 그것이 -
인텔 2세대 코어 i7 프로세서 오버클러킹하기
박진우인텔의 새로운 프로세서인 2세대 코어 i3, i5, i7 시리즈(코드명:샌디브릿지)가 출시된 지도 벌써 4개월이란 시간이 흘렀다. 발매 초기 메인보드의 SATA2 포트(하드디스크/ODD를 연결하는 단자)에 작은 결함이 발견되면서 판매량이 잠시 주춤했지만, 결함이 수정된 새 메인보드(B3 버전)가 공급됨으로써 현재는 다시 순조로운 판매고를 올리고 있다 -
IBM 호환 PC(Personal Computer)란 무엇?
김영우1951년, 세계 최초의 상용 컴퓨터인 ‘유니박(UNIVAC)-I’이 등장하면서 컴퓨터라는 기계가 대중들에게도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다만, 당시의 컴퓨터는 가격이 집 한 채만큼이나 비쌌고, 크기 역시 트럭만 했기 때문에 누구나 구매하기엔 무리가 있었다. 하지만 1970년대에 이르자 책상 위에 올려놓을 수 있을 만큼 작은 컴퓨터를 -
우리 집도 이제 '홈네트워크'다 - 1부
이문규인터넷을 사용한 홈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는 방법노트북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대중화됨에 따라 컴퓨터/인터넷 네트워크 정보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대부분의 IT기기의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이를 통해 상호 연동되기 때문이다. 몰라도 사는 데 아무 지장 없지만 알아 두면 일상을 대단히 윤택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 바로 오늘 날의 네트워크다. 그래서 -
2000억 장 팔린 국민 기억장치 - CD(Compact Disc)
서동민CD(Compact Disc)는 음악, 데이터 등의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광디스크를 말한다. 아날로그 방식인 카세트 테이프, LP(Long Play Record)에 비해 잡음이 적고 원음 그대로를 기록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오랜 시간 애용되고 있다. 원래 음악과 같은 오디오 신호를 저장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비슷한 방식으로 다른 디지털 -
웹페이지를 보여주는 프로그램, 웹브라우저
서동민웹브라우저(web browser)는 인터넷망에서 정보를 검색하는 데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말한다. 브라우저 혹은 인터넷 브라우저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인 기능으로는 웹 페이지 열기, 최근 방문한 URL 및 즐겨찾기 제공, 웹페이지 저장 기능 등이 있다.웹브라우저의 역사세계 최초의 웹브라우저는 1991년 등장한 ‘월드와이드웹(Worl -
휴대전화를 무선 모뎀으로 활용하는 기술 - 테더링(Tethering)
김영우1990년대까지만 해도 PC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모뎀(modem)을 이용하는 것이었다. 모뎀은 전화선을 통해 전송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받아들인 후, 이를 PC에서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 컴퓨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다. 쉽게 말해 예전에는 전화선을 통해 인터넷을 했다는 의미다.2000년대 들어 -
인터넷으로 전화한다 - VoIP
서동민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IP 주소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디지털 패킷(데이터 전송의 최소 단위)으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기술이다. 다른 말로 인터넷전화라고 부르며, 'IP 텔레포니' 혹은 '인터넷 텔레포니'라고도 한다. 일부 사람들은 사설 전용망을 사용하면 VoIP, 공중망을 사용하면 인터넷전화, 이 둘을 -
PC로 영화 보는 시대를 열다 - DivX(디빅스)
김영우DivX(디빅스)지금은 PC를 이용하여 영화를 감상하는 것이 매우 보편화되었지만,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PC 성능이 받쳐주지 않아 영화를 원활히 즐기기가 쉽지 않았다. 물론, 비디오 CD나 DVD를 이용해서도 영화를 볼 수 있었지만, 비디오 CD는 화질이 상당히 열악했고 DVD의 경우에는 동영상 가속 카드나 DVD-ROM 드라이브 등 당시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