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광고와 예술의 경계, 미디어 파사드
서동민땅거미가 내려 앉는 저녁, 빌딩의 칙칙한 겉면이 갑자기 형형색색으로 빛난다. 빛깔이 빌딩 벽면을 다 채우고 하나의 그림이 완성되는가 싶더니, 이내 영화관 스크린처럼 그림이 움직이기 시작한다. 바로 ‘미디어 파사드(Media Façade)’다.미디어 파사드는 매체(media)와 건물 전면(façade, 프 -
디지털 용어정리 - MWC(Mobile World Congress)
이기성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이하 MWC)는 매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이동통신산업 전시회’다. 세계 유수의 휴대폰 제조업체와 이동통신 업체들이 참가하는 이 행사는 1987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급변하는 이동통신 산업의 흐름을 가늠할 수 있는 전시회로 정평이 나있다.M -
컴퓨터 네트워크의 기초 강의 8부 – 네트워크 관련 윈도우 명령어
이문규일반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운영체제에서는 문자 입력 이외에 대부분의 기본 조작이 마우스를 통해 이뤄진다. 과거 도스(DOS) 시절에는 파일을 복사하거나 이름을 바꾸는 간단한 작업에도 일일이 명령어를 입력해 처리해야 했지만, 윈도우가 등장, 대중화되면서 마우스 왼쪽, 오른쪽 버튼을 통해 대부분의 기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됐다. 도스처럼 명령어 기 -
흔들림 없는 사진을 찍기 위한 첨단 기술 - 손떨림 방지 기능
김영우사진 찍을 때 사진을 망치게 되는 가장 흔한 원인은 역시 ‘흔들림’이다. 영상이 선명하게 찍히지 않고 특정 방향으로 잔상이 생기거나, 전반적으로 윤곽이 흐릿한 사진이 찍히는 경우가 그렇다. 정작 촬영 대상(피사체)은 움직이지 않았는데 이런 사진이 찍혔다면 이는 십중팔구 손떨림 때문이다. 즉 카메라가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흔들리는 상 -
손대면 톡하고 반응하는 입력장치 - 터치스크린(Touch screen)
이기성입력장치란 음성(육성 또는 기계음) 외에 기기 또는 장치와의 의사소통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 매체로부터 읽어 들이는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0과 1로 정보를 표시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컴퓨터의 입력장치는 문자, 도형, 목소리, 숫자 등의 데이터를 읽어 들인 다음 컴퓨터가 이를 처리할 수 있도록 0과 1의 이진수 형태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
보다 화려하고 정교한 컴퓨터 그래픽을 원한다면 - 그래픽카드
김영우컴퓨터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데이터의 연산 및 저장 기능이다. 이런 기능은 컴퓨터 내부의 중앙처리장치(CPU), 주기억장치(RAM 등), 그리고 보조기억장치(하드디스크 등)가 담당한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데이터는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된다.초기의 컴퓨터는 천공카드(일정한 패턴의 구멍을 뚫어 데이터를 표시하는 -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가장 기본적인 프로그램 - 펌웨어
김영우‘컴퓨터(Computer)’라고 한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등의 ‘PC(Personal Computer)’를 생각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원론적인 의미로 따지면 프로세서(CPU)를 갖추었으며, 외부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정의된 규칙에 따라 이를 처리, 결과를 생성하는 전자 기기라면 모두 컴퓨터로 -
종이를 닮은 디스플레이 - 전자잉크
서동민1975년, 시사주간지 비즈니스위크(Business Week)는 PC가 보급되는 미래의 사무실에는 종이가 없어질 것이라고 예언했다. 빌 게이츠도 저서 ‘생각의 속도’에서 종이 없는 사무실이 실현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나 사람들은 ‘아주 먼 미래에나 가능한 일’이라며 반신반의했다. 그 중 일부는 “ -
디지털 정보를 담는 콘텐츠 바구니 - 메모리 카드
김영우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캠코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디지털 기기는 기본적으로 콘텐츠(사진, 동영상, 음악 등)를 저장하기 위한 매체가 필요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기에 내장된 저장 공간에 저장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착탈이 가능한 소형 저장 매체인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고 있다.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면 다른 기기(PC 등)로 콘텐츠를 이동/복사하기 편리하 -
많을수록, 빠를수록 좋은 컴퓨터의 기억장치 - 램(RAM)
김영우컴퓨터의 핵심 부품 중, CPU(중앙처리장치)는 연산 작업, 보조기억장치는 각종 데이터를 보관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보조기억장치로는 하드디스크, CD, DVD, 플로피디스크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지만 지금의 컴퓨터에서는 대개 하드디스크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컴퓨터에서 처리되는 대부분의 작업은 하드디스크에 있는 데이터를 토대로 CPU가 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