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대용량 데이터 저장 장치의 대명사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김영우컴퓨터의 주요 역할은 데이터의 연산 및 입출력, 그리고 저장이다. 그 중에서도 데이터의 저장 기능은 작업의 연속성을 유지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아무리 훌륭한 콘텐츠를 개발했다 해도 이를 지속적으로 보관해서 사용할 수 없다면 의미가 없다. 이런 이유로 컴퓨터 개발 초기부터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
1인칭 슈팅 게임-FPS(First-person shooting)
서동민FPS(First-person shooting)는 사용자의 시점, 즉 1인칭 시점에서 총기류를 이용해 전투를 벌이는 슈팅게임의 일종이다. 게임 속 캐릭터의 시점과 사용자의 시점이 동일해야 하기 때문에 보통 3D 방식으로 제작되며, 다른 게임에 비해 높은 사실감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유명한 FPS 게임에는 당대 최고의 그래픽 엔진이 적용되어 게임 -
네트워크 상태 점검의 기초 - ping 명령어
이문규사람의 심장 작동 정도를 측정하는 심장박동 측정기처럼 컴퓨터 네트워크 상태를 점검, 진단하는 명령어가 ping이다. 이는 ‘Packet INternet Groper’의 약자이며, 최초 개발자인 마이클 무스(Michael John Muuss, 1983년)에 따르면, 작동 원리가 비슷한수중 음파 탐지기에서 발생하는 신호음에서 이름을 착안했 -
PC의 그래픽 성능을 좌우하는 그래픽카드의 핵심 칩 - GPU
김영우1990년대 초기 까지만 해도 PC에 장착된 그래픽카드는 단순히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의 연산 결과를 그림이나 글자 신호로 변환하여 모니터로 화면을 출력하는 어댑터(Adapter: 변환기)와 같은 부품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하지만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PC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특히 게임이 주목을 받으면서 그 -
마우스를 대신하는 노트북용 포인팅 장치 - 터치패드 (Touchpad)
김영우1990년대 초반까지는 문자 명령어를 직접 입력해 작업을 하는 도스(Dos) 운영체제 기반의 PC가 시장의 주류를 이루고 있어서 키보드만으로도 PC 사용에 큰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1990년대 중반부터 그래픽으로 표시되는 창과 메뉴를 직접 클릭하며 작업하는 윈도우(Windows) 운영체제 기반 PC가 본격적으로 보급되면서 키보드와 더불어 마우스도 PC의 -
단문메시지서비스 - SMS
서동민회의 때문에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사람에게 메시지를 전하고 싶을 때, 말로 하기엔 쑥스러운 이야기를 하고 싶을 때, 굳이 전화를 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사소한 농담을 주고받을 때, 집 주소나 연락처같이 되풀이해서 확인해야 하는 정보를 전달해야 할 때 우리는 음성통화 대신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사용한다.SMS, 단문메시지서 -
항공기, 자동차 사고의 경위를 정확히 분석한다 - 블랙박스
김영우추락을 막기 위한 최저안전고도경보장치(Minimum Safe Altitude Warning System), 급히 제동하는 자동차의 쏠림을 방지하는 ABS(Anti-lock Brake System) 등 교통수단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는 점차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천재지변이나 갑작스러운 기계 고장, 사용자의 실수 등으로 말미암은 사고는 여전 -
친구와 함께 즐기는 RPG - MMORPG
서동민MMORPG는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의 줄임말이다. 게임 속 등장인물의 역할을 수행하는 형식의 게임인 RPG(롤플레잉 게임)의 일종으로, 온라인으로 연결된 다수의 사용자가 같은 공간에서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게임을 말한다.MMORPG의 역사MM -
눈에 보이지 않는 제2의 성능, 스마트폰 최적화
박준구"스마트폰 최적화라는 게 무슨 말인가요?"스마트폰 사용자라면 최적화라는 말을 한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많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어느 스마트폰이 최적화가 가장 잘 됐는지 입씨름을 벌이곤 한다. 특히 사양에 비해 시원찮은 성능을 내는 스마트폰이 출시라도 되면 '발적화(최적화 작업을 발로 한 것처럼 형편 없다는 뜻)'라며 깎아 내리는 모 -
홈시어터의 시대를 연 영상 매체 - DVD(Digital Versatile Disc)
김영우1976년에 VHS(Video Home System) 방식의 VCR 및 테이프가 등장하면서 극장이 아닌 가정에서도 영화를 마음껏 영화를 시청하는 이른바 ‘홈 비디오’의 시대가 활짝 열렸다. 하지만 VHS는 아날로그 방식의 비디오 테이프를 저장 매체로 삼기 때문에 화질이나 매체의 수명 등의 한계가 분명했고, 이러한 문제점은 디지털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