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스케일업 프로젝트] 달리셔스 문제 해결 (2) - AI, 빅데이터, 마일리지는 뭘 할지 모를 때 '퉁'치는 소리다
권명관이전 글 '달리셔스 문제 해결 (1)'에서 IT 시스템 구축 방법, 'Communication'과 'Collaboration'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전에 공지한대로 'Core biz' 시스템을 설명하고, 달리셔스와 함께 풀어야 할 과제를 과제를 논의해 보고자 합니다. 돈을 벌기 위한 사전 준비, 명확한 밸류 체인 분석부터 Core Biz -
E.ON과 Azure Sphere: 강력한 보안이 지원되는 스마트 홈 환경 구현
Galen Hunt글: 갈렌 헌트(Galen Hunt) - Microsoft Azure Sphere 수석 엔지니어 겸 경영 이사 (원문보기)IoT(사물인터넷)의 등장으로 우리가 주변 세상과 소통하는 방식이 빠르게 바뀌고 있습니다. 예를 -
[4차 산업혁명과 직업의 미래] 8. 사물인터넷과 무인화, 그리고 매장, 스피커, 부동산
김영우[IT동아] IT 커뮤니티인 '오컴(대표 편석준)'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4차 산업혁명의 주요기술과 미래사회를 그려보는 'Clip IT' 시리즈란 이름의 강연을 개최했다. 이 연재에서는 연사별 강연 내용을 간추려 정리했다. 강연 개최 정보는 '온오프믹스' 또는 '오컴'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Clip IT 7차 강연은 '사물인터넷의 -
[스케일업 프로젝트] 달리셔스 문제 해결 (1) – IT 인프라는 생존 도구인가? 계륵인가?
권명관스케일업 프로젝트팀은 지난 한달간, 달리셔스와 함께할 전문가를 찾았습니다. 달리셔스의 이강용 대표 역시 각 분야 전문가의 도움을 기다렸습니다. 다행히 스케일업 프로젝트에 많은 전문가와 기업/기관, 그리고 독자분들이 참여해주셨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여러분의 관심에 감사 인사를 전합니다. 달리셔스도 스케일업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동안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강 -
클라우드 환경과 광범위한 참여를 요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시티
Erika Basham현대 도시들은 매우 복잡한 환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문제와 우선 해결과제도 저마다 다릅니다. 경제 발전, 공공 안전, 인프라 또는 교육과 관련하여 지방 정부가 안고 있는&nbs -
[스케일업 프로젝트] 위키박스 BM 분석 (3) - "Shall We Dance?"
권명관위키박스의 경쟁환경 분석과 고객가치 분석 등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된 문제는 차별적 서비스의 부재였다. 이에 본편에서는 위키박스만의 고객가치를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를 찾아보고 그 가능성을 평가해 볼 것이며, 이들이 지향하는 생활편의서비스 플랫폼으로서 진화된 비즈니스모델을 제시할 것이다. 독자 여러분들께서도 새로운 가치를 위한 서비스 도출과 선정 &nd -
[브랜드 흥망사] 태만과 도덕적 타락의 결과, 미쓰비시 자동차
김영우[IT동아 김영우 기자] '대마불사(大馬不死)'라는 말이 있다. 여러 말이 무리를 이루면 쉽사리 죽지 않는다는 의미다. 본래 바둑에서 쓰이던 말이지만, 경제/사회 용어로도 쓰인다. 재벌과 같은 대규모의 기업집단이 쓰러질 경우, 대량실업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므로 외부 지원 등을 통해 결국 살아남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실제로 일부 재벌 계열사들은 덩치 -
[IT애정남] 요즘 CPU가 너무 비쌉니다. PC 구매를 미룰까요?
김영우[IT동아 김영우 기자] IT 전반에 관한 의문, 혹은 제품 선택 고민이 있는 네티즌의 문의 사항을 해결해드리는 'IT애정남'입니다. 이번에는 조립PC 관련 문의입니다. 최근 PC 시장에서 CPU 가격이 심상치 않지요. 특히 가장 많이 쓰이는 인텔 CPU의 물량이 부족하고, 그러다 보니 가격도 껑충 뛰었습니다. CPU는 PC의 핵심이니 당연히 PC 가격도 -
[스케일업 프로젝트] 위키박스 BM 분석 (2) – "먼저 움직이는 자가 이긴다"
권명관'무인택배함 기반 생활편의서비스 플랫폼' 전편에서 다룬 위키박스의 경쟁환경 분석에서 제시한바와 같이 무인택배함이라는 시장이 보관기능과 내구성이라는 하드웨어적 경쟁요소에서 이미 '생활편의서비스의 Hub'로서 서비스의 다양성과 매력도가 경쟁의 척도가 되는 시대로 접어 들었음을 말씀드렸다. 따라서 본편에서는 4세대 즉, 무인택배함 기반의 생활편의서비스 Hub -
[CEO 열전: 댄 프라이스] 노동자들의 영웅? 비즈니스를 모르는 철부지? 최저연봉 8000만 원 논란 부른 사회적 기업가
강일용"미국 노동 계층의 영웅", "냉혹한 비즈니스 세계를 모르는 철부지"이렇게 상반된 평가를 받는 미국의 기업가가 있다. 미국 시애틀에 위치한 카드 결제 시스템 회사 그래비티 페이먼츠(Gravity Payments)의 최고경영자 댄 프라이스(Dan Price)다. 프라이스는 지난 2015년 4월 110만 달러에 달하던 자신의 연봉을 7만 달러까지 낮추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