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드라이버 설치를 편하게, 3DP
김영우PC를 구성하는 하드웨어는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그래픽카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카드, 인터넷을 하기 위한 랜 카드, 그리고 이 모든 하드웨어를 설치하고 구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메인보드 등 다양하다. 하지만 이들 하드웨어를 단순히 장착만 한다고 구동되는 것은 아니다. 하드웨어를 운영체제에서 인식하게 하고 제 성능을 내게 하 -
에버노트 활용 사전 - 웹 클리퍼
안수영에버노트(Evernote)는 전 세계 스마트폰 사용자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기록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이다. 이에 IT동아는 초보 사용자들도 에버노트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에버노트 활용 방법을 소개한다.웹 클리퍼란?신문이나 잡지를 읽다가 좋은 내용이 있으면 가위로 오려서 파일에 모으기, 시험지를 오려 공책에 붙여서 오답 노트 만 -
스마트폰 혁명, 그 다음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권명관휴대성을 높여 사람들이 옷이나 몸에 착용하며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 웨어러블 PC, 입는 PC, 입는 컴퓨터 등으로 불린다. 웨어러블 컴퓨터는 현재의 모바일 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달리 손에 쥐거나 들고 다닐 필요가 없다. 즉, 더 휴대하기 편리한 기기다. 때문에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음성 인식 기능/제스처 기능 등을 통해 새로 -
간편한 오디오 편집, 골드웨이브
이상우IT기기가 사람들의 일상으로 들어오면서 과거 일부 전문가들만 하던 작업을 일반인도 손쉽게 할 수 있게 됐다. 오디오 편집도 그 중 하나다. UCC 제작 시 배경음악으로 사용하거나, 자신이 부른 노래 등을 녹음해 팟 캐스트로 다른 사람에게 들려주기도 한다. 이때 간편하게 사용할만한 오디오 편집 프로그램 은 무엇이 있을까?골드웨이브(Gold Wave)는 w -
글로벌 백신, 어베스트 프리 이용하기
김영우국내 업체들이 개발한 토종 백신 프로그램들이 다수 있긴 하지만, 사실 이들은 해외시장에서는 그다지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제법 있다. 특히 보유하고 있는 DB(데이터베이스)의 양 면에서 해외 백신 프로그램이 우월한 경우가 많다. 보유한 DB의 양이 많을수록 더 많은 바이러스 및 기타 악성코드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다. 특히 해외 인터넷 사이트를 주로 -
오픈 오피스로 실속파 사무환경을
김영우요즘 나오는 PC는 인터넷 검색이나 영화 감상, 게임 플레이 등, 주로 오락적인 용도가 강조된다. 하지만 본래 PC라는 물건은 사무용으로 쓸 것을 상정해 개발된 것이다. 1981년에 PC(Personal Computer)라는 용어를 처음 확립한 것은 미국의 IBM사였는데, 이 회사 이름의 뜻부터가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
동영상 변환기, 바닥 인코더
안수영요즘에는 스마트폰, 태블릿PC, PMP 등의 휴대용 기기에 드라마나 영화를 넣어서 감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모든 동영상 파일이 모든 기기에서 재생되지는 않는다. 각 기기마다 지원하는 영상 규격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PC에 있는 동영상을 다른 기기에 넣고 싶다면, 해당 기기에 알맞게 동영상을 변환해야 한다. 이 외에도 기존에 있는 동영상 파일 용 -
에버노트 활용 사전 - 공유 기능
안수영에버노트(Evernote)는 전 세계 스마트폰 사용자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기록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이다. 이에 IT동아는 초보 사용자들도 에버노트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에버노트 활용 방법을 소개한다.공유 기능이란?에버노트에 저장한 내용은 카카오톡, 트위터, 페이스북, 이메일 등으로 공유할 수 있다. 학생이라면 발표 자료나 -
LG G2, 100% 활용하기 - 캡처 올
안수영대다수 스마트폰에는 사용자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이 숨어 있다. 이에 IT동아는 초보자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스마트폰에 숨겨진 기능을 하나씩 소개할 예정이다. 본 기사는 LG전자의 전략 스마트폰 'LG G2' 활용 방법을 소개한다.1부 - 카메라 (http://it.donga.com/16025/) 2부 - 샷&클리어 (htt -
맞춤형 동영상 만드는 인코더 4종
김영우요즘은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기기가 너무나 다양하다. PC는 물론이고, 스마트폰, 태블릿PC로도 동영상을 볼 수 있으며, TV나 내비게이션, 휴대용 게임기 중에서도 동영상 파일 재생 기능을 갖춘 것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다만, 문제는 기기의 종류만큼이나 동영상 파일의 규격도 다양하다는 것이다. 확장자만으로 구분해도 AVI, WMV, MP4, MK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