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윈도8/8.1에 이런 기능이? 참바, 단축키
이상우윈도8은 기존 윈도 운영체제와 달라진 인터페이스 및 사용방법으로, 많은 사용자가 불편함을 호소했다. 사실 윈도8은 터치스크린과 모바일에 적합한 운영체제다. 키보드와 마우스만으로 모든 PC 조작을 하던 사용자에게는 어색하고 적응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하지만 2009년 국내 등장했던 아이폰도 처음에는 사용자에게 익숙한 물건이 아니었지만, 지금은 많은 사람이 -
알약, 무료 백신 시장의 선구자
김영우이스트소프트는 압축 프로그램 '알집', 이미지 뷰어 '알씨' 등의 무료 프로그램(개인 사용자 한정)을 다수 개발하여 2000년대 초반부터 높은 유명세를 얻게 된 기업이다. 하지만 이런 이스트소프트도 마지막까지 진출을 고민한 분야가 있었으니 바로 무료 백신 시장이다.바이러스 백신은 빠르고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필수이므로 무료로 배포해서는 수익을 얻기 힘 -
모든 것을 기억하라, 에버노트
안수영에버노트는 PC,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무엇이든 기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메모 애플리케이션이다. 2013년 5월 기준으로 전 세계 5,000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에버노트를 사용하고 있다.에버노트를 이용하면 텍스트뿐만 아니라 사진, 음성 메모도 저장할 수 있어 편리하다. 웹 클리퍼 기능을 통해 웹에 있는 정보를 마음 -
합리적인 쇼핑 비결, '해외 직구' 따라잡기 (1)
안수영해외에서 직접 물건을 구매하는 '해외 직접 구매(해외 직구)'가 뜨고 있다. 해외 직구는 저렴한 가격에 물건을 구매할 수 있고, 한국에 없거나 품절된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연말에는 11월 마지막 주 금요일 '블랙 프라이데이(2013년은 11월 29일)'를 비롯해 '사이버 먼데이(블랙 프라이데이 다음 월요일, 인터넷에서 할인 쇼핑을 할 -
PC 속 라디오, 3종 비교
나진희튜너(Tuner)가 없어도 PC로 간편하게 라디오 방송을 들을 수 있다. 주파수를 잘 맞추지 못해 나는 잡음도 없고, 신호를 잡으려고 안테나를 뽑을 필요도 없다. 라디오 방송을 수월하게 들을 수 있도록 돕는 공중파 3사(KBS, MBC, SBS)의 라디오 프로그램들을 소개한다. KBS는 '콩', MBC는 '미니(mini)', SBS는 '고릴라(Gorealr -
드라이버 설치를 편하게, 3DP
김영우PC를 구성하는 하드웨어는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그래픽카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카드, 인터넷을 하기 위한 랜 카드, 그리고 이 모든 하드웨어를 설치하고 구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메인보드 등 다양하다. 하지만 이들 하드웨어를 단순히 장착만 한다고 구동되는 것은 아니다. 하드웨어를 운영체제에서 인식하게 하고 제 성능을 내게 하 -
에버노트 활용 사전 - 웹 클리퍼
안수영에버노트(Evernote)는 전 세계 스마트폰 사용자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기록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이다. 이에 IT동아는 초보 사용자들도 에버노트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에버노트 활용 방법을 소개한다.웹 클리퍼란?신문이나 잡지를 읽다가 좋은 내용이 있으면 가위로 오려서 파일에 모으기, 시험지를 오려 공책에 붙여서 오답 노트 만 -
스마트폰 혁명, 그 다음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권명관휴대성을 높여 사람들이 옷이나 몸에 착용하며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 웨어러블 PC, 입는 PC, 입는 컴퓨터 등으로 불린다. 웨어러블 컴퓨터는 현재의 모바일 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달리 손에 쥐거나 들고 다닐 필요가 없다. 즉, 더 휴대하기 편리한 기기다. 때문에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음성 인식 기능/제스처 기능 등을 통해 새로 -
간편한 오디오 편집, 골드웨이브
이상우IT기기가 사람들의 일상으로 들어오면서 과거 일부 전문가들만 하던 작업을 일반인도 손쉽게 할 수 있게 됐다. 오디오 편집도 그 중 하나다. UCC 제작 시 배경음악으로 사용하거나, 자신이 부른 노래 등을 녹음해 팟 캐스트로 다른 사람에게 들려주기도 한다. 이때 간편하게 사용할만한 오디오 편집 프로그램 은 무엇이 있을까?골드웨이브(Gold Wave)는 w -
글로벌 백신, 어베스트 프리 이용하기
김영우국내 업체들이 개발한 토종 백신 프로그램들이 다수 있긴 하지만, 사실 이들은 해외시장에서는 그다지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제법 있다. 특히 보유하고 있는 DB(데이터베이스)의 양 면에서 해외 백신 프로그램이 우월한 경우가 많다. 보유한 DB의 양이 많을수록 더 많은 바이러스 및 기타 악성코드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다. 특히 해외 인터넷 사이트를 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