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
[리뷰] 매의 눈이 부럽지 않아, 니콘 P1000
강형석[IT동아 강형석 기자] 한 때 광각부터 초망원까지 한 번에 가능한 ‘슈퍼줌(Super Zoom)’ 카메라가 인기를 끌었다. 흔히 쓰는 광각 초점거리인 24mm부터 대표 망원 영역 -
[리뷰] RX100의 동영상 강화판, 그러나... 소니 ZV-1
강형석[IT동아 강형석 기자] 소니가 프리미엄 디지털카메라로 분류한 RX100 제품군은 등장 초기에는 존재감이 분명했다. 일반 컴팩트 디지털카메라 수준의 크기에 1인치(13.2 x 8. -
[리뷰] '내 시야에 맞는 게이밍 모니터가 있다?' 삼성 오디세이 G9
강형석[IT동아 강형석 기자] 게이밍 모니터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은 높다. 전문 작업은 힘들지만 엔터테인먼트 환경에서는 최고의 만족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높은 화면 주사율에 의한 부드러운 화면 전환과 빠른 반응 등 몰입에 필요한 기능을 대거 갖춘 것이 그 이유다. 과거에 비해 선택지가 넓어진 것도 게이밍 모니터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낸 역할을 했다.이런 -
[리뷰] 신체 분석에 체형 교정까지? 픽스 밸런스 인바디 체중계
김영우옷차림이 얇아지면 겨우내 붙은 군살을 커버하는 데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그래서 여름이 다가오면 많은 사람들이 다이어트에 돌입한다. 그렇다고 무작정 굶어버리거나 무리해서 운동을 한다면 가뜩이나 더운 여름에 탈수 증세로 고생할지도 모른다. 날씨 때문에라도 다이어트를 전략적으로 해야 하는 이유다. 다이어트의 시작은 내 몸을 아는 것이다. 다시 말해 내 몸을 -
[리뷰] 레노버 씽크패드 P15s, 콘텐츠 제작용 워크스테이션 노트북
김영우[IT동아 김영우 기자] 좁은 사무실에 사람들이 모여 앉아 커다란 데스크톱을 앞에 두고 작업을 하는 모습, 이것이 예전의 일반적인 콘텐츠 제작 환경이었다. 그도 그럴 것이, 데스크톱이 아니고서야 콘텐츠 제작에 적합한 성능과 기능을 가진 시스템을 찾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일은 꼭 사무실에서 해야 한다는 고정관념도 있었다.하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
포르쉐 파나메라 E-하이브리드의 다양한 편의장치들
강형석[IT동아 강형석 기자] 포르쉐의 핵심은 단연 911과 박스터(Boxster) 등 2도어 스포츠카 등을 꼽겠지만 카이엔(Cayenne)을 시작으로 운전의 즐거움과 편의성을 녹여낸 차량도 꾸준히 선보이고 있다. 파나메라(Panamera)도 그 중 하나다. 5도어 패스트백(지붕과 트렁크의 선이 완만하게 이어지는 형태)인 이 차량은 성능과 멋, 공간 활용성 등을 -
[리뷰] 와이파이6 더한 메시 공유기, 넷기어 나이트호크 MK62/MK63
김영우[IT동아 김영우 기자]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갖춘 기기는 점차 늘어나고 있다. PC나 스마트폰 외에 요즘은 냉장고나 세탁기, 에어컨도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갖춘 것이 팔리고 있다. 2022년 즈음에 이르면 한 가정에 평균 50여대의 인터넷 접속 기기가 이용될 것이라는 보고서가 나온 적도 있을 정도다. 이런 상황에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인 -
[리뷰] 삼중 와이파이로 속도와 안정성을 잡다, 링크시스 MR9000X
남시현[IT동아 남시현 기자] 온라인 시장 조사 업체 뉴주(Newzoo)는 올해 전 세계 게임 시장 규모가 약 1,593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서 모바일 게임은 전체 48%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해 가장 인기있는 게임 시장이 될 전망이며, 28%를 콘솔 게임이, 남은 23%를 PC 시장이 차지할 것으로 예측한다. 이는 작년과 비교해도 9.3%에 달 -
[리뷰] 필수 기능만 담백하게, 에이수스 MB16ACE 휴대용 모니터
남시현[IT동아 남시현 기자] 시장조사업체 IDC가 분석한 2020년 1분기 국내 PC 출하량은 전년 대비 1.5% 증가한 144만대로 집계됐다. 이중 데스크톱은 58만 대, 노트북이 86만 대를 차지했는데, 악화된 내수 경기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교육, 재택 근무 확산이 판매량에 영향을 줬다. 국내 PC 제품별 출하량을 보면 노트북은 작년 1분기 대비 86만대로 -
[리뷰] 상위 1%용 최고급 공유기, 넷기어 나이트호크 RAX200
김영우[IT동아 김영우 기자] 최신 기술을 다수 적용한 고성능 IT 제품일수록 가격도 껑충 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른바 얼리어답터 소비자들은 그 비용을 기꺼이 지불한다. 남들보다 한 발 먼저 신기술을 체험하기 위해서다. 그 최신기술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주변기기 역시 그에 걸 맞는 것을 구비해야 하기에 추가 비용의 지출도 만만치 않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