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컴퓨터 네트워크의 기초 5부 - 바늘과 실, 차량과 연료, 그리고 랜 카드와 랜 케이블
이문규바느질을 하려면 바늘과 실이 필요하고, 운전을 하려면 차량과 연료가 필요하다. 둘 중 하나만 있어서는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이와 마찬가지로, 인터넷을 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는 당연하고) 랜 카드와 랜 케이블이 필요하며, 어느 하나라도 없으면 인터넷은 고사하고 주변 컴퓨터와도 연결될 수 없다.컴퓨터 네트워크에 있어 랜 카드와 랜 케이블은 가장 원초 -
디지털 용어정리 – 코덱(codec)
김영우음성이나 동영상을 컴퓨터로 기록하기 위해서는 이를 녹음, 녹화하여 컴퓨터에서 사용이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는 이미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의 용량을 압축하여 용량이 작은 다른 형식의 파일로 만들 때에도 마찬가지인데, 이러한 과정을 ‘인코드(encode: 부호화)’라고 한다. 그리고 이렇게 인코드된 데 -
컴퓨터 네트워크의 기초 4부 - 네트워크 장비
이문규컴퓨터 네트워크 이론 자체가 일반 사용자에게는 결코 쉽지 않은 것이다 보니, 이 이론에 기초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비(기기, 부품)에 관해서는 더욱 어렵게 여기게 된다. 물론 전문용 고급 네트워크 장비는 다분히 그러하지만,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소형 장비는 조금만 관심을 갖고 다뤄보면 ‘컴맹’이나 &lsqu -
디지털 용어정리 - 악성코드(malicious code)
이기성PC를 사용하다 보면 간혹 예기치 않은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갑작스레 PC가 느려진다거나 바탕화면의 아이콘과 커서가 모두 사라지는 등의 곤혹스러운 문제가 발생한 상황. 이때 사용자들은 당황해서 어쩔 줄 몰라 하다가도 “바이러스가 걸렸나?”라는 말로 순식간에 상황을 정리한다.예로 든 사례는 PC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대개 -
디지털 용어정리 - SSD(Solid State Drive)
김영우HDD(Hard Disk Drive)는 주요 데이터를 기록, 보관하는 데 사용하는 PC의 핵심 부품이다. 다만, HDD는 자기디스크를 물리적으로 회전시켜 데이터를 기록하기 때문에 속도를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나온 것이 바로 SSD(Solid State Drive, 혹은 Solid State Disc)로서, 용도와 사용법은 HDD와 -
컴퓨터 네트워크의 기초 3부 - 네트워크 프로토콜
이문규편집자 주IT동아는 컴퓨터/인터넷 네트워크의 기초 연재 강의를 통해, 이젠 우리 삶에 일상이 된 ‘네트워크’에 대해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하고자 했다. 컴퓨터 네트워크 분야가 워낙 방대하고 복잡한 이론이기 때문에, 누구라도 쉽고 이해하도록 나름대로 풀어 설명하려 노력하고 있지만 역시 쉽지 않다. A라는 기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
디지털 용어정리 - 블루투스(Bluetooth)
김영우디지털 기기끼리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방식에는 Wi-Fi, CDMA, RF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에서 블루투스(Bluetooth)는 10m 이내의 근거리에 위치한 기기끼리 데이터를 주고받을 목적으로 개발된 통신 방식으로서, 에릭슨, 노키아, IBM, 모토로라, 도시바 등의 업체들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1998년 표준 규격으로 발표되었다. 휴대폰끼리, -
디지털 용어정리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김영우컴퓨팅(Computing)이란 컴퓨터를 이용해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작업에 대한 통칭이다. 일반적으로, 특정 컴퓨팅을 위해서는 그 기능을 지원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구매해야 한다. 이를테면 문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윈도우 운영체계 기반의 PC(하드웨어)와 ‘MS 워드’와 같은 문서 작성 프로그램(소프트웨어)이 필요한 것과 같다. -
디지털 용어정리 - DDoS(디도스 공격)
이기성DDoS는 Distribute Denial of Service attack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분산 서비스 거부' 또는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을 뜻하며, 우리는 흔히 ‘디도스 공격’이라 말하기도 한다.디도스 공격은 특정 사이트 또는 서버를 마비시킬 목적으로 트래픽을 유발시키는 해킹 방식의 하나다. 이를 위 -
디지털 용어정리 - USB(Universal Serial Bus)
김영우USB는 컴퓨터와 주변기기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연결 방식 중 하나다. 사용 기기의 종류가 제한적이었던 과거의 직렬(Serial), 병렬(Parallel) 방식과 달리,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스캐너, 이동식 디스크, 디지털카메라, 휴대전화 등 매우 다양한 지원기기가 나와 있다.USB 방식의 가장 큰 특징은 컴퓨터의 전원이 켜진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