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디지털 정보를 담는 콘텐츠 바구니 - 메모리 카드
김영우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캠코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디지털 기기는 기본적으로 콘텐츠(사진, 동영상, 음악 등)를 저장하기 위한 매체가 필요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기에 내장된 저장 공간에 저장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착탈이 가능한 소형 저장 매체인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고 있다.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면 다른 기기(PC 등)로 콘텐츠를 이동/복사하기 편리하 -
많을수록, 빠를수록 좋은 컴퓨터의 기억장치 - 램(RAM)
김영우컴퓨터의 핵심 부품 중, CPU(중앙처리장치)는 연산 작업, 보조기억장치는 각종 데이터를 보관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보조기억장치로는 하드디스크, CD, DVD, 플로피디스크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지만 지금의 컴퓨터에서는 대개 하드디스크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컴퓨터에서 처리되는 대부분의 작업은 하드디스크에 있는 데이터를 토대로 CPU가 이를 -
양의 탈을 쓴 늑대 바이러스? - 트로이 목마
서동민호메로스의 일리아드(Homer’s lliad)를 보면, 그리스가 트로이를 무너트릴 때 결정적인 역할을 한 트로이 목마(Trojan Horse)가 등장한다. 그리스는 트로이를 둘러싸고 10여 년간 공성전을 벌였으나 성을 함락시키지 못하자 커다란 목마를 만들어 30여 명의 군인을 그 안에 매복시켰다. 그리스가 이 목마를 버리고 거짓으로 퇴각한 척 하 -
서버 마비시키는 좀비 공격 - 디도스(DDoS) 공격
서동민하루에 수십 대의 차량이 통과할 것을 예상하고 만들어 놓은 한적한 2차 도로가 있다. 어느 날 이 도로에 갑자기 수천, 수만 대의 차량이 나타나면 어떻게 될까. 단순 정체를 넘어서 주차장에 가까운 형태가 될 테고 결국은 오도가도 못하는 통행불능에 빠질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실생활에서 거의 보기 드문 일이지만 온라인에서는 종종 발견된다. 바로 분산서비스 -
디지털 시대를 담는 눈 - 디지털 카메라
김영우카메라, 즉 사진기는 렌즈를 통해 영상을 받아들여 이를 필름에 투사하고 기록하는 방식으로 사진을 생성한다. 이러한 전통적인 방식은 19세기에 처음 카메라가 발명된 이후 변함이 없이 이어져왔으며, 디지털 카메라 역시 기본적인 원리는 필름카메라와 유사하다. 하지만, 디지털 카메라는 필름이 아닌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 -
사이버 인감증명서 - 공인인증서
서동민전자상거래에서 신원확인, 문서의 위조 및 변조, 거래사실 증명을 위해 사용하는 정보 중 하나가 전자서명이다. 이 전자서명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공인인증서로, 실생활의 인감증명과 같은 역할을 한다. 이 안에는 발행기관 식별정보, 가입자의 성명 및 식별정보, 전자서명 검증키, 인증서 일련번호, 유효기간 등이 포함되어 있어 전자상거래에서 I -
USB 메모리
김영우USB(Universal Serial Bus)란 컴퓨터와 주변기기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버스(bus: 데이터가 전송되는 통로) 규격 중 하나다. 1990년대 후반부터 대부분의 개인용 컴퓨터에 USB 장치를 꽂을 수 있게 됨에 따라 USB는 현재 다른 규격 버스에 비해 보급률이 매우 높다. 또한, USB는 컴퓨터 전원이 켜진 상 -
디지털콘텐츠 지킴이 - DRM
서동민콘텐츠 생산자들의 가장 큰 적은 불법복제다. 출판, 음악, 영화, 게임 가릴 것 없이 콘텐츠 전 분야에서 불법복제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특히 디지털콘텐츠 분야에서는 불법복제가 생산자들의 ‘밥줄’을 강하게 위협한다. 아날로그 복제품은 번거로운 복제과정을 거쳐야 하고 품질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지만, 디지털 복제품은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
컴퓨터 네트워크의 기초 강의 7부 - 프린터 공유
이문규가정에서는 프린터 사용이 예전보다 다소 줄었지만, 회사나 사무실에서는 여전히 중요한 인쇄 도구다. 아무리 디지털 오피스네 전자문서네 해도 A4 종이에 반듯하게 인쇄된 문서가 아직도 계약서로, 증명서로, 제안서로 애용되고 있다. 그런데 컴퓨터는 각 구성원이 한 대씩 사용하는 반면, 프린터는 팀 단위 또는 파트 단위의 사람들이 공유하고 있다. 프린터 공유는 -
고화질 영상을 상징하는 대명사 - 풀 HD(Full High Definition)
김영우TV나 모니터와 같은 영상 기기는 화면의 정밀도가 높을수록 화질이 우수하며 가격도 비싸다. 이러한 화면의 정밀한 정도는 해상도(解像度, resolution)에 따라 결정되는데, 해상도란 화면을 구성하는 점, 즉 화소(畵素, pixel)가 얼마나 조밀하게 배열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이를 테면 ‘640 x 480’의 해상도의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