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내 손안의 작은 영화관, PMP(Portable media player)
김영우2000년을 즈음하여 PC용 음악 파일을 넣어 휴대용으로 즐기는 MP3 플레이어가 대중화되었다. 때문에 사람들이 PC용 동영상 파일까지 즐길 수 있는 휴대용 기기가 나왔으면 하고 기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흐름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사람들을 위해 개발된 것이 바로 PMP(Portable media player)다. 이는 LCD 화면을 갖추고 있으며, -
인터넷으로 공짜로 전화하는 방법 - 내 컴퓨터는 인터넷 화상 전화기, 스카이프
이문규해외 연수를 간 연인과 요금 부담 없이 국제 전화를 즐길 순 없을까?아무리 ‘커플 요금제’로 절약할 수 있다지만 아예 공짜로 통화할 수 있으면 좋을 텐데…학교 절친과 화상 메신저로 대화하고 싶은데 사용법이 어렵지는 않을까?영어회화 연습하는데 외국인과의 화상 대화가 대단히 효과적이라는데…? -
무선 데이터 통신의 주요 기술 - 와이브로, 와이맥스, LTE
권명관요즘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이 ‘모뎀(modem)’이라는 기기를 알지 모르겠다. 간단히 말하자면, 전화선으로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해 PC로 통신을 할 수 있게 만들어 주던 데이터 변환 기기이다. 전송 속도는 1,200bps, 2,400bps, 9,600bps 순으로 발전해 14.4Kbps, 28.8Kbps -
배터리를 더욱 오래,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세 박자
박민영IT 기기가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가운데 휴대용 IT 기기는 어느새 거치형(고정형) IT 기기를 따라잡을 만큼 눈부신 성능 향상을 이루어냈다. 그러나 아직 거치형에 한참 뒤진 사항이 있으니 바로 사용 시간. 다시 말해 휴대용 IT 기기 탄생의 뿌리이자 한계인 배터리 사용 시간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공개되고 있으나 한동안은 휴대용 IT -
MP3 플레이어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김영우MP3란 ‘MPEG-1 Audio Layer III’의 약자로서, 본래는 동영상 규격인 MPEG-1(Moving Picture Experts Group-1)의 음성 부분에 해당하던 것이었다. MP3 규격은 1987년에 처음 등장했는데, 데이터의 용량에 비해서 음질이 우수하여 1990년대 중반부터 PC용 오디오 파일의 대명사로 자리 -
주머니에 쏙 들어가는 방대한 용량의 저장장치 - 외장하드
김영우외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External hard disk drive)는 컴퓨터의 대표적인 보조 기억장치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이하 HDD)를 휴대용으로 만든 것을 말한다. 흔히 ‘외장 하드’라고 줄여 말하는 일이 많으며, 휴대용 데이터 저장 기기 중에서 가장 큰 용량을 갖췄기 때문에 USB 메모 -
디지털 용어정리 - 리퍼비시(Refurbish)
이기성“고객님의 휴대폰은 현재 수리가 불가능하여 리퍼폰으로 처리되시겠습니다”이 말은 애플 아이폰을 구매한 사용자들이 고장이나 각종 문제가 발생해 A/S 센터를 방문했을 때 가장 흔히 들을 수 있는 답변이다. ‘리퍼’ 혹은 ‘리퍼비시(refurbish)’라 불리는 제품은 초기 불량품이나, 사용자가 -
0과 1만으로 세상을 바꾼 컴퓨터의 두뇌 - CPU(Central Processing Unit)
김영우컴퓨터의 성능을 가늠하고자 할 때 가장 먼저 살펴보게 되는 것이 바로 사양표다. 사양표에는 해당 컴퓨터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의 항목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는 데, 그중 가장 상단 항목에 ‘CPU’가 있는 경우가 많다. CPU는 그만큼 컴퓨터 전반의 성능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부품이라고 할 수 있다.CPU, 혹은 마이크로프로 -
컴퓨터 네트워크의 기초 5부 - 바늘과 실, 차량과 연료, 그리고 랜 카드와 랜 케이블
이문규바느질을 하려면 바늘과 실이 필요하고, 운전을 하려면 차량과 연료가 필요하다. 둘 중 하나만 있어서는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이와 마찬가지로, 인터넷을 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는 당연하고) 랜 카드와 랜 케이블이 필요하며, 어느 하나라도 없으면 인터넷은 고사하고 주변 컴퓨터와도 연결될 수 없다.컴퓨터 네트워크에 있어 랜 카드와 랜 케이블은 가장 원초 -
디지털 용어정리 – 코덱(codec)
김영우음성이나 동영상을 컴퓨터로 기록하기 위해서는 이를 녹음, 녹화하여 컴퓨터에서 사용이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는 이미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의 용량을 압축하여 용량이 작은 다른 형식의 파일로 만들 때에도 마찬가지인데, 이러한 과정을 ‘인코드(encode: 부호화)’라고 한다. 그리고 이렇게 인코드된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