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타자기 모양의 PC 입력장치 - 키보드
서동민컴퓨터 키보드(이하 키보드)는 타자기의 자판과 비슷한 모양새를 띤 PC의 입력장치 중 하나다. 주로 이메일이나 워드 프로세서 등에서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할 때 많이 쓰이며, 게임이나 각종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유용한 단축키와 특수 명령 기능을 제공한다. PC 입력 방식은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쭉 텍스트 위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키보드는 가장 오래된 -
점점 느려지는 내 PC, 원인이 뭘까? - 디스크 조각 모음(단편화 제거)
김영우PC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동작 속도가 점차 느려지곤 한다. 특히 PC를 처음 구입했을 무렵에는 하드디스크에 파일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파일을 읽어 들이는 속도가 빨랐는데 몇 개월 지난 후에는 같은 작업을 해도 예전만큼의 속도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드 디스크의 속도 저하는 PC 전반의 성능 저하를 야기하므로 어떻게든 하드 디스크의 속도를 원래대로 -
LCD 모니터를 위한 고화질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 DVI(Digital Visual Interface)
김영우컴퓨터는 여러 가지 장치가 유기적으로 연결,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하나의 개체를 이룬다. 따라서 각 장치의 개별적인 성능이 향상되더라도 장치간을 연결하는 이어주는 부분, 즉 인터페이스(interface)에서 원활한 데이터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장치가 가진 본연의 성능을 발휘하기 힘들다. 특히, 동작 원리가 다른 두 개 이상의 장치를 연동시키기 위해 -
실시간 전략 - RTS(Real-time strategy)
서동민RTS(Real-time strategy)는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전략 게임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자원을 채취하고, 그 자원으로 건물을 짓거나 병력을 생산하고, 문명을 발전시키거나 전쟁에서 승리하면 끝나는 전략 게임의 형태를 따르고 있다. 하지만 실시간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빠른 손놀림과 판단력이 승부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에 따라 다른 게임에 -
새로운 이동통신 규격 - LTE (Long Term Evolution)
권명관2011년 현재 전세계 무선 이동통신 시장의 관심은 새로운 이동통신 규격, LTE에 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폭발적으로 늘어난 데이터 전송량을 이전 세대의 무선 이동통신 방식으로는 더 이상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자주 발생하는 스마트폰 통화 끊김 현상이나 무선 인터넷 접속 불가 현상 등이 이러한 데 -
대용량 데이터 저장 장치의 대명사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김영우컴퓨터의 주요 역할은 데이터의 연산 및 입출력, 그리고 저장이다. 그 중에서도 데이터의 저장 기능은 작업의 연속성을 유지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아무리 훌륭한 콘텐츠를 개발했다 해도 이를 지속적으로 보관해서 사용할 수 없다면 의미가 없다. 이런 이유로 컴퓨터 개발 초기부터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
1인칭 슈팅 게임-FPS(First-person shooting)
서동민FPS(First-person shooting)는 사용자의 시점, 즉 1인칭 시점에서 총기류를 이용해 전투를 벌이는 슈팅게임의 일종이다. 게임 속 캐릭터의 시점과 사용자의 시점이 동일해야 하기 때문에 보통 3D 방식으로 제작되며, 다른 게임에 비해 높은 사실감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유명한 FPS 게임에는 당대 최고의 그래픽 엔진이 적용되어 게임 -
네트워크 상태 점검의 기초 - ping 명령어
이문규사람의 심장 작동 정도를 측정하는 심장박동 측정기처럼 컴퓨터 네트워크 상태를 점검, 진단하는 명령어가 ping이다. 이는 ‘Packet INternet Groper’의 약자이며, 최초 개발자인 마이클 무스(Michael John Muuss, 1983년)에 따르면, 작동 원리가 비슷한수중 음파 탐지기에서 발생하는 신호음에서 이름을 착안했 -
PC의 그래픽 성능을 좌우하는 그래픽카드의 핵심 칩 - GPU
김영우1990년대 초기 까지만 해도 PC에 장착된 그래픽카드는 단순히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의 연산 결과를 그림이나 글자 신호로 변환하여 모니터로 화면을 출력하는 어댑터(Adapter: 변환기)와 같은 부품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하지만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PC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특히 게임이 주목을 받으면서 그 -
마우스를 대신하는 노트북용 포인팅 장치 - 터치패드 (Touchpad)
김영우1990년대 초반까지는 문자 명령어를 직접 입력해 작업을 하는 도스(Dos) 운영체제 기반의 PC가 시장의 주류를 이루고 있어서 키보드만으로도 PC 사용에 큰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1990년대 중반부터 그래픽으로 표시되는 창과 메뉴를 직접 클릭하며 작업하는 윈도우(Windows) 운영체제 기반 PC가 본격적으로 보급되면서 키보드와 더불어 마우스도 PC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