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IT강의실] @이메일
이상우[용어로 보는 IT 2015 개정판] 이메일(E-mail)은 인터넷 또는 기타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주고받는 우편방식을 말한다. 이메일은 즉시 전송하거나 확인할 수 있고, 여러 명에게 한꺼번에 발송할 수 있으며,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점은 인스턴트 메신저와 비슷하다. 다만 인스턴트 메신저는 발신자와 수신자가 동시간에 접속해야 통신이 이루어지지만, 이 -
[IT강의실] 자체 발광, 스스로 빛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 OLED
김영우[용어로 보는 IT 2015 개정판] 본체가 앞뒤로 튀어나와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CRT(브라운관) 방식의 TV나 모니터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차츰 모습을 감추게 되었다. 그리고 그 자리를 채운 것이 바로 평판 디스플레이 방식의 제품이다. 평판 디스플레이는 제품 두께를 얇게 만들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휴대폰이나 노트북 등의 소형 기 -
[IT강의실] 정사각형 코드, QR코드
이상우[용어로 보는 IT 2015 개정판] 길거리의 광고판을 들여다보면 어느새부턴가 정사각형 모양의 불규칙한 마크가 하나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수기호나 상형문자 같기도 한 이 마크를 'QR코드'라 한다. QR은 'Quick Response'의 약자로 '빠른 응답'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흔히 보는 바코드 비슷한 것인데, 활용성이나 정보성 면에서 기존 -
[IT강의실] 많을수록, 빠를수록 좋은 컴퓨터의 기억장치 - 램(RAM)
김영우[용어로 보는 IT 2015 개정판] 컴퓨터의 핵심 부품 중, CPU(중앙처리장치)는 연산 작업, 보조기억장치는 각종 데이터를 보관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보조기억장치로는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CD, DVD, 플로피디스크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지만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일반적인 컴퓨터에 -
[IT강의실] 컴퓨터 주변기기 연결을 위한 표준 규격, USB
이상우[용어로 보는 IT 2015 개정판] 1990년대 이전 까지만 하더라도 컴퓨터와 주변기기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인터페이스(포트나 케이블)의 종류가 매우 다양했고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법도 각각이었다. 때문에 컴퓨터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는 사람들은 주변기기를 추가 설치하기가 쉽지 않았다. 이 기기를 연결할 때 어떤 케이블을 써서 어떤 포트에 꽂아야 하는지, -
하드디스크의 새로운 방향 – ③ 끝나지 않을 명제 '가격·용량·성능'
강형석[IT동아 강형석 기자] 지난 수십 년 동안 하드디스크(이하 HDD)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은 지속적인 혁신이 더해져 왔다. 다를 것 없는 외형에 가려 있어도 플래터의 소재와 밀도, 데이터를 읽고 쓰는 헤드 기술, HDD 내부를 채운 공기가 헬륨으로 변화하는 기술 혁신이 끊이지 않고 이어져 왔다.그 결과 HDD는 단일 드라이브로 10테라바이트(TB) -
[IT인물열전] HDD의 선구자, 앨런 슈거트
이상우[IT동아 이상우 기자]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이하 HDD)는 오늘날 컴퓨터에 쓰이는 대표적인 저장장치다. 컴퓨터에 운영체제 및 각종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동영상이나 사진 등의 콘텐츠를 저장하는 중요한 장치다. 최근에는 입출력 속도가 빠른 저장장치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이하 SSD)에 밀리는 듯한 모습이지만, 저렴한 비용으로 엄청난 용량의 저장 공간을 구축할 -
내 귀의 상태는 정상? 이어로직 청력검사 S/W
김영우[IT동아 김영우 기자] 현대인들은 끊임없이 귀를 혹사 당하고 있다. 굳이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쓰지 않더라도 주변에선 계속 소음이 발생하고 있으니 말이다. 그러다 보니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현저하게 청력이 저하되어 일상적인 생활에 지장을 받는 경우도 있다. 이런 불편이 심해지기 전에 병원에 가거나 전문가의 상담을 받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워낙 바쁘다 -
[보드게임의 세계] 바이러스로부터 인류를 구하는 협력게임, '팬데믹'
안수영팬데믹 (2007) <출처: divedice.com>팬데믹은 비장미가 넘치는 협력 보드게임이다. 모든 플레이어는 힘을 합쳐 전 인류를 위협하는 4종류의 바이러스가 퍼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 바이러스는 매 순간순간 세계 각지의 도시에서 하나씩 창궐하기 시작하며, 질병 확산 속도는 감염 국가가 증가할수록 점점 더 가속화된다. 연쇄 확산이 일어 -
[목선생의 모두의 핀테크] (4-2) 알아두면 모두에게 유용한 핀테크 서비스는?
이문규[IT동아]이전 연재:[목선생의 모두의 핀테크] (1) 핀테크, 나도 알아야 해? - http://it.donga.com/21142/[목선생의 모두의 핀테크] (2) 핀테크는 15년 전부터 있었다? - http://it.donga.com/21213/[목선생의 모두의 핀테크] (3) 핀테크는 '지킬박사와 하이드'다? - htt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