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인사이트] 모빌리티 업계 슈퍼 유니콘의 성장, Gojek
모빌리티(mobility). 최근 몇 년간 많이 들려오는 단어입니다. 한국어로 해석해보자면, ‘이동성’ 정도가 적당하겠네요. 그런데 말입니다. 어느 순간부터 자동차도 모빌리티, 킥보드도 모빌리티, 심지어 드론도 모빌리티라고 말합니다. 대체 기준이 뭘까요? 무슨 뜻인지조차 헷갈리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지난 몇 년간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둔 스타 벤처 중 상당수는 모빌리티 기업이었습니다.
‘마치 유행어처럼 여기저기에서 쓰이고 있지만 도대체 무슨 뜻인지, 어디부터 어디까지 모빌리티라고 부르는지 도무지 모르겠다!’라는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모빌리티 인사이트]를 통해 국내외에서 주목받는 다양한 모빌리티 기업과 서비스를 소개합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차량호출 서비스부터 아직은 낯선 ‘마이크로 모빌리티’, ‘MaaS’, 모빌리티 산업의 꽃이라는 ‘자율주행’ 등. 모빌리티 인사이트가 국내외 사례 취합 분석해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하나씩 알려 드립니다.
일상이 된 택시 문화, ‘라이드 헤일링’
혹시 ‘라이드 헤일링(Ride-Hailing)’이라는 단어를 들어보셨나요? 아마 낯설게 느끼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음…, 그렇다면 ‘택시 호출’은 어떠신가요? 아마 여러분의 스마트폰에는 카카오T나 우티(UT, 구 Tmap택시) 하나쯤은 설치되어 있을 겁니다. 이전에 택시를 타려면 거리에서 빈 택시를 발견할 때까지 기다려야 했죠. 그리고 손을 흔들어서 표시했어야 합니다. 그 다음 등장한 것이 전화로 부르는 콜택시였죠.
요즘은 다들 스마트폰 터치 몇 번으로 택시를 호출합니다. 앱을 통해 지도를 보며 원하는 장소로, 원하는 차량을 부를 수 있죠. 결제 수단도 다양합니다. 현금, 카드, 간편결제 등을 선택할 수 있죠.
라이드 헤일링은 ‘택시를 부르는 서비스’입니다. 좀 더 풀어 설명하면, 이동하고 싶어하는 소비자와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실시간으로 연결해주는 서비스를 말하죠. ‘카 헤일링’이나 ‘라이드 셰어링’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라이드 헤일링의 대표주자격인 우버가 등장한 이후 크게 유명해지면서 전세계적으로 비슷한 서비스들이 등장했습니다.
그럼 오늘은 모빌리티 중에서도 라이드 헤일링 업체에 대해 이야기해주시는 건가요?
맞기도 하고 아니기도 합니다. 라이드 헤일링 업체들은 영업을 통해 얻은 운송 관련 정보와 경험으로 서비스를 확장하기 때문입니다. 라이드 헤일링뿐만 아니라 종합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한다고나 할까요?
우리가 많이 들어본 우버 이야기를 해보죠. 우버도 처음에는 택시 서비스로 시작했습니다. 이어서 음식 배달(Uber Eats), 상품 배달(Cornershop) 등으로 서비스를 확장했죠. 최근 SPAC(기업인수목적회사)와의 합병을 통해 미국 나스닥에 상장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동남아의 우버, 싱가포르의 ‘그랩(Grab)’ 역시 비슷한 사업모델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인도네시아의 ‘고젝(Gojek)’도 마찬가지죠.
요즘은 코로나19로 해외 여행을 떠나기 쉽지 않지만, 고젝은 인도네시아를 방문한 여행객들이라면 한번쯤 봤을 겁니다. 인도네시아 여행을 위한 필수 앱으로 알려졌었죠. 이 앱 하나로 오토바이, 자동차 등 다양한 이동수단을 부를 수 있고, 심지어 배달음식도 주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카드를 등록하면 미리 결제와 현장 결제도 가능해 많은 여행객들이 쉽게 결제할 수 있어 애용했죠. 하지만, 방금 설명한 고젝의 서비스들은, 제공하는 서비스 중 극히 일부일 뿐입니다.
이 서비스들이 극히 일부라고요?
처음 고젝 서비스를 접하면, 아마 깜짝 놀라실 겁니다. 라이드 헤일링에서 시작한 서비스라고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거든요. 차량 공유 서비스 이외에도 배송 서비스인 ‘고샌드(Go-send)’, ‘고박스(Go-box)’, 의약품을 배달해주는 ‘고마트(Go-mart)’, 간편결제 서비스 ‘고페이(Go-pay)’ 등을 제공합니다. 지난 2020년 7월 이후 코로나19 영향으로 지금은 중단했지만, 청소, 빨래, 미용, 마사지 등을 제공하는 라이프스타일 서비스 ‘고라이프(GoLife)’도 있었죠. 도합 17여 가지입니다. 그야말로 모빌리티에서 생활 전반을 관리하는 라이프스타일 서비스로 확장한 셈이죠.
모빌리티 서비스로 시작해 이렇게 다양한 서비스까지 제공할 수 있다니…. 놀랍네요. 고젝은 어떻게 사업을 시작했나요?
지금은 이렇게 규모가 어마어마한 고젝이지만 시작은 작았습니다. 고젝이라는 이름은 인도네시아의 오토바이 택시를 부르는 말인 ‘오젝(Ojek)’에서 따온 이름인데요. 창업자인 나디엠 마카림(Nadiem Makarim)은 사람들이 오토바이 택시를 이용할 때 사용자와 운전자 모두 각자를 찾기 위해 많은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습니다. 그래서 지난 2010년, 그의 고등학교 동창인 미켈란젤로 모란(Michaelangelo Moran)과 오토바이 운전자 20명과 함께 고젝을 설립했죠.
처음에는 지금의 온라인/모바일 서비스가 아니었습니다. 작은 콜센터를 운영하며, 운전자와 손님을 연결해주는 방식이었어요. 2010년 당시에는 인도네시아에 스마트폰 이용자가 적었고, 이용요금도 비쌌기 때문입니다. 이후 시간이 흐르며, 인도네시아 시장 환경은 바뀌었습니다. 우버와 그램의 성공사례가 나오면서 지난 2015년, 앱을 런칭했죠.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지속되는 투자로 2019년 4월에는 동남아의 두번째 데카콘(Decacorn, 기업 총 가치 100억 달러 이상 스타트업을 지칭)으로 선정되었고, 2020년 3월, 시리즈F 라운드 투자를 통해 총 12억 달러를 유치했습니다. 특히, 구글이 동남아 스타트업에 투자한 것은 고젝이 처음이었어요. 그만큼 글로벌 테크 기업의 관심을 받았죠. 2015년부터 현재까지 고젝 앱 다운로드 수는 총 1억 9,000만건에, 고젝 등록 운전자 수는 200만명에 달합니다.
장기화된 코로나19로 인해 위기와 부침은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204개 도시에서, 3,600만 명이, 매일 300만 건 이상, 매달 1억 건 이상 이용하고 있습니다.
데카콘 기업이라니 놀랍네요. 우리나라는 쿠팡 정도뿐이잖아요. 고젝이 이렇게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고젝 성공 이유는 한 마디로 사람들의 가려운 곳을 잘 긁어 주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인도네시아 사회에 필요했던 솔루션을 제공한 결과라고 생각하는데요.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와 같은 대도시 속 교통 환경은 썩 좋지 못합니다. 인프라 개발 부족으로 교통체증이 심각합니다. 대중교통도 부족해요. 많은 사람이 출퇴근할 때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습니다.
좁은 도로로 빠르게 운행할 수 있는 오토바이를 선호하기 시작한 이유기도 합니다. 오토바이로 운행하는 오젝(Ojek, 오토바이 택시)이 값싸고 빠른 이동수단으로 자리매김한거죠. 인도네시아 정부도 오젝을 극심한 교통체증 해결과 일자리창출 방안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오젝도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었습니다. 이용자는 상습적으로 바가지 요금을 제시하는 악질 운전자와 흥정하는데 감정을 소모해야 했고, 운전자도 이용자를 찾아 낭비하는 시간이 많았죠. 고젝은 도시의 가장 유용한 이동수단으로 자리매김한 오젝의 문제점을 파악한 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 겁니다. 고젝에 대한 인도네시아인들의 관심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죠.
또 다른 성공 요인은 바로 고페이입니다. 2017년 기준, 국내 15세 이상 국민의 신용카드 소유율은 64%입니다. 반면, 인도네시아 15세 이상 국민의 신용카드 소유율은 단 2%에 불과합니다. 신용카드 보급은 거의 없다시피 한거죠. 더구나 은행계좌를 갖지 못한 사람도 많았습니다. 인도네시아 내에서는 현금 거래를 선호했죠.
이런 상황에서 현금 결제와 달리 할인을 받을 수 있고, 사용하기 편리한 간편결제 고페이는 젊은 층에게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이후 고젝은 고페이 사용처를 늘리기 시작했습니다. 차량 호출 외에도 식당, 카페 등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장했죠. 캐시백 적립 프로모션도 적극적으로 펼쳤습니다. 고페이를 필두로 소비자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했죠.
이렇게 고젝은 새로운 거래 방식을 제시하면서, 플랫폼을 통해 수많은 자영업자와 소비자를 연결했습니다. 이는 인도네시아 내 50만 개 사업자가 고젝 플랫폼에 등록하는 결과로 이어졌죠. 고젝은 창업 이후 인도네시아 경제 성장에 총 71억 달러를 보탠 것으로 평가받을 정도입니다.
마지막으로 하나 더 있습니다. 고젝의 적극적인 인수합병 정책 또한 지금의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었던 동력으로 평가받습니다.
많은 테크 기업이 인수합병을 통해 기술이나 서비스, 고객을 확보하죠. 고젝도 그런 방식을 활용한 것이군요.
그렇습니다. 기업이 빠르게 성장하려면, 기술의 뒷받침은 필수입니다. 고젝은 벵갈루루에 개발센터를 설립하고, 다양한 스타트업들을 인수했습니다. ‘모카(Moka)’를 포함한 여러 핀테크 업체를 인수했고, 나아가 ‘자고 은행(Jago Bank)’ 지분까지 확보하면서 디지털 뱅킹과 대출 역량 등을 확보했어요.
무엇보다 가장 관심을 이끈 소식은 고젝과 ‘토코피디아(Tokopedia)’의 합병입니다. 토코피디아는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1위 기업인데, 평가받는 기업가치는 약 70억 달러에 이릅니다. 인도네시아 최대 테크 스타트업으로 꼽히는 고젝과 토코피디아의 합병 소식은 전세계적으로도 놀라운 뉴스였습니다. 두 기업은 180억 달러(약 20조 1,000억 원)에 합병을 합의했고, 각각의 이름을 합친 ‘고투(Goto)’라는 이름으로 재탄생할 예정입니다.
고투의 기업가치는 최대 400억 달러(약 45조 원)에 달할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향후 고투는 고젝이 운영하고 있는 다양한 사업과 토코피디아 전자상거래, 그리고 핀테크 사업 3가지 영역에 집중할 방침이랍니다.
고젝의 첫 시작은 불편한 교통을 개선하는데 있었습니다. 그랬던 고젝의 바람은 단순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넘어 데카콘 규모를 자랑하는 기업 성장으로 탈바꿈했죠. 우리 주변에서 불편한 점은 무엇이고, 어떻게 개선해나갈 수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면, 고젝의 성공처럼 새로운 성공 기회를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글 / 한국인사이트연구소 김아람 선임
한국인사이트연구소는 시장 환경과 기술, 정책, 소비자 측면에서 체계적인 방법론과 경험을 통해 다양한 민간기업과 공공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컨설팅 전문 기업이다. ‘모빌리티’ 사업 가능성을 파악한 뒤, 모빌리티 DB 구축 및 고도화, 자동차 서비스 신사업 발굴, 자율주행 자동차 동향 연구 등 모빌리티 산업을 다각도로 분석하며, 연구하고 있다. 지난 2020년 ‘모빌리티 인사이트 데이’ 컨퍼런스 개최를 시작으로 모빌리티 전문 리서치를 강화하고 있으며, 모빌리티 분야 정보를 제공하는 웹서비스 ‘모빌리티 인사이트’를 오픈할 예정이다.
정리 / IT동아 권명관(tornadosn@i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