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갈등 사이에 낀 틱톡과 LG유플러스

김영우 pengo@itdonga.com

[IT동아 김영우 기자] 미국과 중국은 최근 수년동안 무역 분쟁을 이어오고 있다. 총성만 들리지 않을 뿐이지 사실상 전쟁이나 다름없다는 평가도 심심치 않게 들린다. 특히 미래 산업의 기반인 IT(정보통신) 분야에서 분쟁의 양상을 보여주는 사례가 다수 목격되고 있다.

출처=틱톡, LG유플러스
출처=틱톡, LG유플러스

중국의 기술이나 자본이 투입된 제품이나 서비스 중 상당수가 안전 및 보안 관련 우려가 있다는 점을 미국은 지적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에 대해서는 아예 ‘퇴출’까지 천명하고 있다. 지난달 31일,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바이트댄스에서 개발한 동영상 기반 SNS인 ‘틱톡(TikTok)’이 미국의 국가안보에 악영향을 끼친다며 미국내 사용을 금지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틱톡이 사용자들의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수집하고 있다는 지적은 이전부터 있었지만 이로 인한 실질적인 피해가 표면화되지는 않았다. 그리고 이미 틱톡은 미국 내에만 1억명에 달하는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틱톡 금지 조치는 그 파장이 만만치 않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과의 힘대결에서 절대 밀리지 않겠다는 미국 행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틱톡의 미국내 서비스가 곤란해지자 현재 바이트댄스는 마이크로소프트를 상대로 틱톡 서비스의 인수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양국의 치열한 힘겨루기로 인해 미국 및 중국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다른 나라의 기업들도 영향을 받고 있다. 한국의 이동통신사인 LG유플러스가 대표적이다. LG유플러스는 작년 초 5G(5세대이동통신) 서비스를 상용화하면서 기지국 장비 중 일부를 중국 화웨이 제품으로 도입했다.

문제는 화웨이가 중국 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간첩행위를 돕고 있다는 의혹이 분분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은 자국내에서 화웨이를 사실상 퇴출시켰으며, 화웨이와 협력 관계를 맺은 기업들 역시 각종 활동에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고 엄포를 놓고 있는 상태다. 실제로 지난달 22일, 로버트 스트레이어 미국 국무부 사이버 국제통신정보정책 담당 부차관보는 한국의 LG유플러스를 지목하며 화웨이의 장비 사용을 중단할 것을 권고하기도 했다.

출처=LG유플러스
출처=LG유플러스

다만 그렇다고 하여 LG유플러스가 이용하고 있는 화웨이 5G 장비들을 당장 치워버리는 데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른다. 현재 LG유플러스는 화웨이 외에 삼성전자, 에릭슨, 노키아 등의 장비로 5G 기지국을 운용하고 있으며 그 중에 화웨이 제품의 비중은 30% 정도다. 그 비율이 높지 않으니 교체 역시 간단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5G 기지국 장비는 기존 LTE 장비와의 연동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 문제다.

사실 LG유플러스가 5G 서비스를 개시하며 화웨이 장비를 도입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기존 LTE 장비와의 호환성 때문이었다. 이미 2013년부터 LTE 기지국에 화웨이 장비를 일부 적용해 운용하고 있었으며, 그 당시는 지금처럼 화웨이를 둘러싼 논란이 크지 않은 상황이었다. 5G에서 화웨이 장비를 완전히 배제하려면 기존의 LTE 장비까지 전부 다른 것으로 교체해야 하는데, 이를 실천하려면 비용과 시간이 대단히 많이 들 수밖에 없는데다 서비스 장애의 우려도 있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LG유플러스가 그동안 화웨이 장비를 이용해 이동통신 서비스를 운용하면서 보안이나 기능 면에서 이렇다할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 역시 장비 교체의 당위성을 약화시키는 부분이다. LG유플러스의 5G 서비스 가입자 역시 지난 6월 178만명을 넘었을 정도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LG유플러스의 관계자는 취재진과의 통화에서 “LG유플러스가 7년여 동안 LTE 및 5G 서비스를 운용하면서 화웨이 기지국 장비로 인한 보안 문제가 발생한 사례가 전혀 없다”며, “이런 장비들은 이동통신 사업을 영위하기 위한 일부 도구 중 하나에 불과할 뿐, 이를 직접 제어하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는 LG유플러스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라고 의견을 전했다.

덧붙여 “만에 하나 문제가 발생한다면 LG유플러스는 이에 대한 강력한 클레임(이의 및 손해배상)을 화웨이에 제기할 수 있으며, 이는 화웨이의 장비를 이용하고 있는 135개국 288개에 달하는 국내외 사업자들도 마찬가지”라며, “화웨이가 이런 극단적인 상황까지 감수하면서 보안 문제가 있는 장비를 납품했을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다”라고 일축했다.

글 / IT동아 김영우(pengo@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