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생태계의 변화] 선순환할 수 있는 생태계의 밑거름, '데이터'
[IT동아 권명관 기자] 지난 2017년 6월 서울시와 서울산업진흥원이 개관한 서울창업허브는 입주기업을 위한 사무 공간 등을 제공하는 창업 보육 기관이다. 서울시에 위치한 창업보육센터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로 스타트업 관련 정책과 정보를 종합화하고, 기존 각 센터에서 제공하던 공통·중복된 기능을 통합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앙정부, 민간, 시 산하 창업기관 등 주관부처나 사업목적에 따라 흩어질 수밖에 없었던 창업지원정책과 창업관련 정보를 하나로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개관했다.
2019년 6월 기준, 서울창업허브가 창업을 지원한 스타트업은 887건에 달한다. 스타트업 성장을 돕는 파트너 기관은 144개,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48곳을 확보했으며, 신규 고용건수는 1,237건에 달한다. 또한, 2020년 1월 기준, 약 300개 스타트업을 인큐베이팅했으며, 입주한 130여 기업들이 535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고, 743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그런 서울창업허브가 다시 한번 변화하고 있다. 스타트업과 함께 성장하기 위해 보다 현실적이고, 보다 효율적인 방향으로 지원 정책과 조직을 개편 중이다. 필요없다고 판단하면, 기존 틀도 과감하게 버린다. 천편일률적인 스타트업 지원 방식을 벗어나기 위한 몸부림이다.
이에 IT동아는 서울창업허브가 구축하고자 하는 스타트업 생태계를 ‘스타트업 선발 방법’, ‘해외 진출’, ‘투자 지원’, ‘스타트업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크게 4가지로 나눠 소개하고자 한다.
스타트업, 도전자에게 필요한 것은
스타트업은 도전자다. 아이디어를 가지고 막 사업을 시작한, 창업가다. 세상을 바꿀 수 있는 혁신가로 성장할 수도 있겠지만, 아직은 사업에 대해 잘 모르는 초년생이다. 한 분야의 직장인으로 10년, 20년 일한 뒤에 창업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대표로 회사를 운영해본 경험은? 글쎄다. 제로에 수렴하지 않을까. 때문에 수많은 선택의 기로에서 스타트업은 결정 내리지 못하고 방황한다. 회사 자금을 관리해야 하는 회계/재무는 기본 업무에 가깝다. 필요한 직원을 채용하고, 조직을 관리해야 하는 인사(HR) 업무는 어떤가. 아니, 사무실을 제대로 구했을지도 의문이다.
그래서 스타트업은 지원 기관을 찾아나선다. 서울창업허브, 경기문화창조허브 등 공공 기관이 운영하는 창업보육센터와 액셀러레이터, VC 등에게 도움을 구한다. 스스로의 능력(창업자금, 개발능력, 주변 네트워크 등)으로 시작하는 경우도 있지만, 극히 드물다. 소위 말하는 금수저가 아닌 이상, 쉽지 않은 일이다.
때문에 건강한 스타트업 생태계를 조성하지 위해서는 스타트업과 이를 지원하는 정책, 조직, 구성원 등이 서로 상생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갖춰야 한다. 막대한 자금을 투입해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투자 지원 사업, 당장 갈 곳없는 스타트업이 모일 수 있는 공간을 지원하는 사무실 임대 사업, 각 구성원들이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네트워크 지원 등을 실행하는 이유다.
한때 대한민국은 정말 창업하기 좋은 국가였다. 김경근 한국은행 이코노미스트와 구스나 겐지 고베대 교수가 함께 펴낸 한국의 하이테크 벤처 생태계 보고서(Venture capital activities and financing of high-tech ventures in Korea: Lessons from foreign experiences)에 따르면, 한국은 GDP(국내총생산) 대비 벤처캐피털 투자금 비중이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줄곧 전세계 2위였다.
하지만, 이렇게 많은 투자에도 불구하고 정작 기술 개발에 전념하는 견실한 스타트업들이 제대로 된 투자를 받지 못해 허덕이고, 사라졌다. 많은 투자금이 제대로 사업하려는 스타트업 대신 아이디어만 내고 해당 아이디어로 사업할 의지가 없는 이들에게 흘러들어가곤 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2000년대 초반 있었던 1차 벤처 붐이다. 당시 정부, 민간 등이 벤처기업을 위해 수많은 지원 정책과 투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까지 생존한 기업은 드물다. 이유는 간단하다. 건강하고 튼튼한, 제대로 갖춘 생태계를 구축하지 못했다.
스타트업 생태계의 밑바탕, 데이터에서 찾다
얼마 전, SBA에서 창업 통합 플랫폼 구축을 담당하고 있는 양혜진 책임을 만났다. 그는 “서울창업허브는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보육센터다. 스타트업 생태계의 연결고리와 같은 역할이고, 네트워크의 중심에 위치한다”라며, “스타트업과 액셀러레이터, 투자사를 어떻게하면 효율적으로 연결할 수 있을까 고민했다. 그래서 준비한 것이 창업 통합 플랫폼이다. 창업 통합 플랫폼은 정보 즉, 데이터”라고 설명했다.
지난 2019년부터 SBA는 창업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플랫폼, 수요자와 공급자의 연결이다. 여기서 수요자는 스타트업이고, 공급자는 액셀러레이터와 투자사와 같은 스타트업 지원자다. 양측을 연결하고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창업 통합 플랫폼이다. 그리고 SBA는 해당 플랫폼의 근간을 정보, 데이터라고 판단했다.
지난 1부 기사에서 설명했지만, 서울에 있는 스타트업 지원센터는 44개에 이른다. 각 센터는 자체적으로 스타트업을 지원했다. A센터와 B센터가 유기적으로 연결해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서로 경쟁자에 가까웠다. 한해 예산을 어느 센터가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했는지 경쟁했다. 1년짜리 성적표가 등장한 이유다. 비단, 이는 서울시의 모습만이 아니다. 전국의 스타트업 지원 센터, 기관 등은 모두 경쟁자다.
창업 통합 플랫폼은 정보의 연결이다. 스타트업의 정보, 스타트업에게 필요한 정보, 스타트업을 필요로 하는 정보를 한자리에 모았다. A 센터에 입주한 스타트업 정보, B 센터의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C 센터의 스타트업 협력 기관 정보 등을 통합하기 시작했다. 정형화된, 하나의 기준으로 다듬었다.
양 책임은 “불과 얼마 전까지만해도 전국의 스타트업 지원센터를 돌아다니며 지원금을 타가는 사냥꾼이 있었다. 몰랐다. A라는 사냥꾼의 정보를 말이다. 창업 통합 플랫폼은 여기서 시작했다”라며, “정보의 단절, 데이터의 비공유로 겪은 불편과 단점을 고치려고 노력했다. 각 센터가 경쟁하듯 내놓는 성적표가 아니라, 유기적으로 통합해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추구한다”라고 말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데이터다. 정보를 바탕으로 스타트업과 지원기관, 액셀러레이터, 투자사, 투자자를 연결한다. 정보를 획일화하고, 평가 툴을 정형화했다. 지난 1년간 SBA는 창업 통합 플랫폼 구축에 집중했고, 오는 9월 서비스 오픈을 목표로 삼고 있다.
양 책임은 “서울시의 44개 스타트업 지원 센터 정보를 한자리에 모았다. 각 센터의 지원사업, 프로그램, 협력기관, 입주 스타트업 등의 정보를 정리했다. 지난 3년간의 데이터를 사실 기반으로 분석해 하나의 틀로 정리했다”라며,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하기 위한 기틀이다. 선순환할 수 있는 스타트업 생태계의 기본이라고 생각한다”라고 강조했다.
- 다음 기사는 서울창업허브가 스타트업 지원의 일환으로 집중하고 있는 ‘해외 진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글 / IT동아 권명관(tornadosn@i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