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주도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 현황 공유 ‘블록체인 진흥주간’
[IT동아 한만혁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5일, 16일 ‘2023 블록체인 진흥주간’을 개최한다. 블록체인 진흥주간은 블록체인 기술의 가치를 알리고 정부의 다양한 사업 성과 및 정책 방향을 공유하는 행사다.
올해 6회를 맞이하는 2023 블록체인 진흥주간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부산광역시,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공동 주관한다. 올해는 ‘블록체인, 디지털 플랫폼에 신뢰를 더하다’라는 주제로 컨퍼런스, 학술대회, 세미나, 전시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열렸다.
발행·사용 과정에 신뢰성 보장 ‘모바일 신분증’
첫날 열린 컨퍼런스에서는 정부의 블록체인 산업 과제를 수행하는 기업 및 기관 관계자가 현재 수행하는 과제와 그간 진행된 내용에 대해 공유했다.
박범수 행정안전부 사무관은 모바일 공무원증, 운전면허증, 모바일 주민등록증 등 모바일 신분증의 개발 배경, 진행 상황, 과제 등을 공유했다. 그는 “정부는 디지털 사회를 도모하며 ‘지갑 없는 사회’를 달성하고자 한다”라며 “디지털 신원 인증 활용 분야를 지속 발굴 및 확산하고 있다”고 운을 뗐다.
실제 정부는 지난 2019년부터 디지털 정부 혁신 종합 계획을 수립하고 모바일 신분증 사업을 추진했다. 현재 공무원 대상 모바일 공무원증을 도입했고,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발급하고 있다. 내년에는 모바일 주민등록증, 외국인등록증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박범수 사무관은 “블록체인은 디지털 사회에서 나를 증명하는 방법으로 적합한 기술”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정부에 확인하지 않아도 진위를 확인할 수 있는 신뢰 기관 분산 ▲24시간 365일 서비스하는 연속성 ▲개인 정보 유출 사고 방지에 적합하다는 것을 그 이유로 들었다.
현재 구축한 모바일 신분증은 정부 기관이 블록을 생성하고 민간 서비스 기관이 블록을 읽는 구조다. 이를 통해 민간 서비스 기관에서도 똑같이 신뢰성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정부에 신원 확인 업무가 몰리는 것도 방지한다. 행정안전부는 모바일 신분증을 담을 수 있는 지갑도 개발하고 있다. 지갑 안에는 운전면허증, 주민증은 물론 자격증도 추가할 예정이다. 여권도 추가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이와 함께 박범수 사무관은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할 수 있는 고도화된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단순히 블록체인 기술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려는 수요자의 입장을 고려한 솔루션이 필요하다”라며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하는 고도화된 서비스가 나와 활용도가 높아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서비스가 나오도록 기반을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영지식증명 이용한 ‘온라인 투표’
오현옥 한양대학교 교수 겸 지크립토 대표는 '블록체인 기반 신뢰 플랫폼, 온라인 투표' 주제로 현재 진행 중인 온라인 투표 시스템에 대해 소개했다. 그는 “기존 투표는 여전히 관리자에 의한 조작이 발생하는데, 제도, 시스템으로 사회적 신뢰를 강화할 수 있다”고 입을 열었다.
이어 오현옥 교수는 “선거의 경우 신뢰를 심을 수 있는 기술은 블록체인”이라고 주장했다. ▲누구나 공개적으로 접근하는 투명성 ▲정보 수정이 불가능한 불변성 ▲자동화 가능한 스마트 컨트랙트 ▲여러 곳에 저장하는 탈중앙화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실시간 처리 등이 그 이유다.
현재 지크립토는 선거관리위원회와 함께 블록체인 기반의 온라인 투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기존 온라인 투표 시스템을 고도화하면서 더 많은 유권자가 참여하도록 보강하고, 영지식증명 기술을 적용해 신뢰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오현옥 교수는 기존 시스템과 가장 큰 차이는 영지식증명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블록체인의 경우 내부 데이터를 누구나 볼 수 있기 때문에 비밀투표 원칙에 위배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투표 결과를 암호화한 후 저장한다. 하지만 여전히 문제가 있다. 투표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오현옥 교수는 “원본을 공개하지 않고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는 영지식증명 기술을 이용하면 투표의 유효성까지 검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지크립토가 현재 개발하고 있는 온라인 투표 시스템은 암호화된 투표와 그 투표의 유효성 여부를 함께 블록체인에 기록한다. 영지식증명 기술을 적용하면서 3초 이내에 처리가 가능하다는 것 또한 장점이다. 지난 6월부터 개발을 시작했으며 개발 7개월, 안정화 3개월이 걸릴 예정이다.
오현옥 교수는 “온라인 투표는 디지털 직접 민주주의 초석”이라며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 투표 서비스가 더욱 발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디지털배지로 발행하는 ‘국가 자격증’
최호권 한국산업인력공단 팀장은 현재 추진 중인 디지털배지 발급 플랫폼의 장점과 진행 상황에 대해 공유했다.
현재 한국산업인력공단은 큐넷시스템을 통해 인터넷 원서 접수, 자격 정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가기술자격 500종, 전문자격 37종을 서비스하며 회원수는 1000만 명, 자격 취득 수 1900만 건, 자격취득자 1200만 명, 연간 자격증 발급 100만 건에 달한다. 이에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종이 서류 제출에 따른 개인 정보 노출 우려 ▲편리한 인증 체계 서비스 필요성 대두 ▲유통 서비스 수요 확대를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기로 했다.
디지털배지 발급 플랫폼은 하이퍼렛저 패브릭 블록체인 기반에 DID, NFT 기술을 적용한다. 사용자는 전용 앱을 통해 응시 원서를 제출하거나 자격증을 발급받을 수 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은 다양한 수요 기관과 연계하도록 오픈API로 개발하고 있다. 해당 시스템은 오는 12월까지 개발 후 내년 2월부터 상용화할 계획이다.
최호권 팀장은 “디지털배지 발급 플랫폼을 통해 복잡한 자격증 발급, 수작업으로 확인하는 자격증 진위, 응시 자격 확인이 간소화되고 실물 자격증 분실 우려, 발급 과정의 소요 시간 및 비용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중기적으로는 연계 기관 확대 통한 디지털배지 발급 서비스 확대, 장기적으로는 디지털배지 통합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블록체인 진흥주간 전시 공간에서는 올해 진행 중인 정부 블록체인 산업 과제를 직접 만날 수 있다. 공공분야는 앞서 소개한 ▲모바일 주민등록증 ▲온라인 투표시스템 ▲디지털배지 발급 플랫폼 외에도 ▲전자 공증 활용 범위를 확대하고 유관 서비스를 연계하는 법무부 ‘블록체인 기반 전자공증시스템 고도화’ ▲비행 승인 신청 절차를 간소화하고 운항 안전 정보 연계 체계를 구축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블록체인 기반 드론 운항안전정보 서비스’ ▲DID를 적용해 절차를 간소화하고 정확도를 높이는 공무원연금공단 ‘블록체인 기반 공무원 연금수급권 확인시스템’ ▲대한체육회 ‘블록체인 기반 스포츠 선수 이력 및 실적관리 플랫폼’을 체험할 수 있다.
민간분야의 경우 ▲전기차 배터리 인증서를 발급해 잔존 수명 인증하는 파라메타 '와트에버' ▲폐식용유 유통 과정을 블록체인에 기록해 신뢰성을 높이는 리사이클렛저 ‘폐유up’ ▲개인 신원 인증 기반 NFT를 발행하는 NICE평가정보 ‘신원인증 NFT 발행 사업’ ▲태양광 발전소 담보 대출 상품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일주지앤에스 ‘국민 참여형 태양광발전소 소액 투자 플랫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쿤텍 ‘플랜ESG’ ▲공연 티켓을 NFT로 발행하는 SK플래닛 ‘NFT 공연 티켓 올인원 관리 플랫폼’ 등을 만날 수 있다. 이들 서비스는 올해 안에 개발 및 구축을 완료하고 내년부터 본격적인 서비스를 진행할 예정이다.
글 / IT동아 한만혁 기자 (mh@i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