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IT하는법] 구형 컴퓨터의 수명을 연장하고 싶다면, 하드디스크 대신 SSD를 장착해보자.
남시현[IT동아 남시현 기자] 보통 컴퓨터가 오래될수록 느려진다고 생각하는데,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일단 컴퓨터 운영 체제는 설치된 프로그램이 늘어나고, 이용하는 서비스가 많아질수록 구동속도가 점차 느려진다. 하지만 컴퓨터가 오래됐다고 해서, CPU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인 연산 처리 능력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즉, 오래된 컴퓨터도 운영체제를 새롭게 설치하 -
[IT애정남] 풀HD TV에서 UHD 화면 모드 가능한가요?
김영우[IT동아 김영우 기자] IT 전반에 관한 의문, 혹은 제품 선택 고민이 있는 네티즌의 문의 사항을 해결해드리는 'IT애정남'입니다. 이번에는 좀 당혹스럽게도 풀HD급 TV에서 UHD급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질문해 주셨습니다. 심지어 실제로 이렇게 쓰고 있다는 이야기도 덧붙이셨네요. 제조사에서 밝힌 제품의 사양 이상의 성능을 사용하는 이런 일이 -
[카카오톡 활용하기] 단톡방 대참사 막는 '입력창 잠금'
이상우[IT동아 이상우 기자] 우리는 다양한 용도로 카카오톡을 사용한다. 가족이나 친구들과 대화하는 기본적은 소통은 물론, 온라인에서 만난 사람과 정보를 주고받기도 하고, 회사 업무 지시 및 보고 등 많은 곳에서 쓰이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단톡방'이 많아지면 다른 방에서 해야 할 내용을 잘못 입력해 곤란한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가령 연인에게 보낼 19금 이 -
[스마트폰 활용하기] 아이폰11 시리즈, 이렇게 쓴다
김영우[IT동아 김영우 기자] 2019년 하반기 스마트폰 시장의 주역은 누가 뭐라하더라도 단연 애플(Apple)의 아이폰11(iPhone 11) 시리즈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을 정도로 유명한 아이폰 시리즈의 최신작이기 때문이다. 이번 신제품은 기본형인 아이폰11, 고급형 제품은 아이폰11 프로(Pro), 그리고 대화면 제품인 아이폰11 프 -
[IT강의실] 공유기 전원을 껐다 켜면 좋나요?
이상우[IT동아 이상우 기자] 우리는 전자기기를 사용하면서, 갑작스레 버벅이거나 느려졌다는 느낌이 들면 전원을 껐다 켜기도 한다. 대부분의 기기는 이처럼 전원을 껐다 켜는 것만으로 쾌적한 성능을 만들 수 있다. 이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같은 제품은 물론, TV, 셋톱박스, 유무선공유기, IP카메라 등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이 있는 모든 제품에 해당한다. 전자기 -
[IT하는법] 모든 은행 계좌를 한 은행 앱에서 쓰다. 오픈뱅킹 사용하는 법.
남시현[IT동아 남시현 기자] 지난 10월 30일부터 10개 은행이 오픈뱅킹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 오픈뱅킹은 개방, 열다(개방)의 영단어인 오픈(Open)과 은행 업무를 뜻하는 뱅킹(Banking)의 합성어로, 서비스에 참여하는 은행에 개설된 계좌를 타 은행에 불러들여 하나의 은행 앱으로 활용하는 기능이다. 즉, 오픈 뱅킹 서비스는 다른 은행 계좌를 주거래 -
[IT애정남] 갤럭시 S10, 노트10의 멀티 윈도우 기능, 어떻게 쓰죠?
김영우[IT동아 김영우 기자] IT 전반에 관한 의문, 혹은 제품 선택 고민이 있는 네티즌의 문의 사항을 해결해드리는 'IT애정남'입니다. 이번에는 신형 갤럭시 스마트폰의 멀티 윈도우(다중 창) 기능의 이용방법에 대한 질문이 들어왔군요. 같은 제조사의 스마트폰이라도 출시 시기에 따라, 혹은 시스템 업데이트의 적용 여부에 따라 일부 기능의 이용 방법이 달라지곤 합 -
[IT하는법] 지금 나오는 이 노래, 스마트폰으로 알아보는 법
남시현[IT동아 남시현 기자] 하루에 몇 곡이나 노래를 듣는지 계산해본 적은 없지만, 따져보면 수십 곡은 될 것이다. 그리고 그 노래가 좋다는 생각이 드는 순간, 그 노래에 흥미를 가지고 찾게 된다. 해당 곡을 이미 알고 있거나, 또렷하게 노래 가사를 들었다면 포털 사이트 검색으로도 쉽게 찾을 수 있다. 반면, 가사의 단편적인 부분이나 멜로디만 듣고 노래를 알 -
[IT하는법] 스마트폰 이용한 한자 읽기, 어떻게?
김영우[IT동아 김영우 기자] 최근 한국인들, 특히 젊은이들 중에는 한자를 거의 읽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에 한글전용정책이 본격화된 지 수 십년이 지났고, 각종 공문서나 신문에서도 한자를 거의 쓰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직도 한자는 우리의 생활과 문화에 깊숙이 스며들어 있다. 우리들이 일상적으로 쓰는 단어의 태반,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 이름이 한자 기반 -
[IT용어사전] 콘텐츠 접근성 높이는 키워드, 배리어프리
이상우[IT동아 이상우 기자] 기술은 오늘날 많은 사람의 삶을 더 편하고 윤택하게 만들고 있다. 인터넷을 예로 들면, 초기에는 군사용으로 시작한 기술이지만, 오늘날 많은 사람이 손에 쥔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에 접속해 정보를 검색하거나 콘텐츠를 소비한다. 특히 인터넷의 대중화로 누구나 쉽게 다양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다. 이 환경에서 올바른 정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