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경기문화창조허브] 스타트업에게 필요한 '공간'이라는 중요성
[IT동아 권명관 기자] 국내를 비롯, 전세계는 스타트업을 주목한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ICT 산업을 이끌고 있는 구글, 페이스북, 알리바바 등은 스타트업으로 시작해 현재 미국 상장 기업 중 상위 10개 기업 안에 포함되어 있을 정도로 성장했다. 네이버(NHN), 카카오 등 국내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미국, 중국, 유럽 등 선진국들이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생존전략으로 스타트업 생태계 형성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는 이유다.
이러한 시대 흐름에 발맞춰, 경기도(도지사 이재명)과 경기콘텐츠진흥원(이사장 김경표, 이하 경콘진)은 스타트업 지원 센터 '경기문화창조허브'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경기문화창조허브는 2002년 3월 개소한 부천 클러스터와 2014년 5월 개소한 판교 경기문화창조허브, 2015년 4월 개소한 광교 경기문화창조허브, 2015년 6월 개소한 북부(의정부) 경기문화창조허브, 2018년 1월 개소한 서부(시흥) 경기문화창조허브, 2018년 12월 개소한 고양 경기문화창조허브 등 총 6개소를 운영 중이다.
< 판교 경기문화창조허브 9층의 평일 모습, 오픈 공간을 찾은 예비 창업자들이 가득하다 >
성과는 꾸준히 나타났다. 2019년 4월 기준 창업 1,383건, 일자리 창출 3,736건, 스타트업 지원 2만 8,549건, 이용자수 40만 4,371명이라는 성과를 달성했다. 여러 경기문화창조허브 중 중심을 잡고 있는 곳은 판교 경기문화창조허브다. 네이버, 카카오, 한글과컴퓨터, 안랩, NC소프트, 스마일게이트, 네오위즈, 넥슨 등 국내 ICT 대표 기업들이 자리하고 있는 판교라는 지리적 특성상 주변 인프라와 네트워크로 인해 스타트업의 요람이라는 평가도 뒤따른다.
실제로 판교 경기문화창조허브는 개소 후 지금까지 창업 983건, 일자리 창출 2,361건, 스타트업 지원 1만 7,597건, 이용자수 24만 4,340명, 투자유치 394.9 억 원 등의 성과를 달성했다. 수치에서 확인할 수 있듯, 판교 경기문화창조허브가 전체 경기문화창조허브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압도적이다.
< 판교 경기문화창조허브 주요성과 및 성공사례, 출처: 판교 경기문화창조허브 >
스타트업과 함께 주목받은 공유오피스
스타트업과 함께 주목받고 있는 것이 '공유오피스'다. 공유오피스는 해외의 경우 1980년대부터 유연근무제 도입으로 자연스럽게 시장에 확장되었지만, 비교적 늦은 국내의 경우 1990년~2000년대 들어 비즈니스센터 또는 소호오피스라는 명칭으로 소개되기 시작했다. 한때 PC방의 전신 격인 PC카페에서 바쁜 직장인들이 잠시 들러 사무를 처리, 공유오피스처럼 활용되기도 했다.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공유오피스를 주목하기 시작한 것은 2010년 이후다. 창업 열풍과 함께 10인 이하의 스타트업이 빠르게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업무 공간에 대한 필요성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KT경제경영연구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국내 공유오피스 시장은 600억 원 규모에 불과했지만, 2022년에는 7,7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 전망했다.
수많은 인구가 모여 있는 서울 내 공유오피스는 위워크, 패스트파이브, 르호봇, 시티큐브, 토즈 등 그 수가 늘어났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글로벌종합부동산회사 존스랑라살르(JLL)이 서울을 포함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 12개 도시의 공유오피스 사업자를 조사한 결과, 서울은 196% 증가해 4번째 성장 지역으로 조사됐다.
스타트업이 공유오피스를 찾는 이유는 '공간' 그 자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지난 6월 패스트파이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공유오피스에 입주하는 가장 큰 이유는 '라운지, 컨퍼런스룸 등 공유오피스에서 제공하는 공용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서(61%)'라고 답했다. 이어 '사무실 관리 리소스를 절감하기 위해'(44%), '보증금, 관리비 등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34.7%)', '높은 접근성(33%)' 등의 이유로 공유오피스에 입주했다고 응답했다.
< 출처: 패스트파이브 >
경기도가 판교에 마련한 스타트업 공간
이에 경기도와 경콘진은 판교 경기문화창조허브 6층부터 9층에 독립된 비즈니스 공간과 화의실, 미팅룸, 오픈 공간 등을 스타트업 지원 공간으로 마련했다.
6층과 7층은 '경기 콘텐츠코리아 랩'이 운영하며, 아이디어 보유자 및 콘텐츠 창작자를 위한 공간이다. 문화콘텐츠 분야 및 융합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예비 창업자 또는 5년 이하 기 창업자(3인 이상 팀)를 대상으로 최소 6개월 계약 기간을 지원한다(연장평가 후 최대 1년). 공간지원 수는 총 14개실로 4인실 9개, 6인실 5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외에 창업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회의실 4개와 창업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오픈공간 50석도 갖췄으며 세미나, 강연공간, 창작스튜디오, 협업 공간 등 별도 공간도 제공한다.
< 판교 경기문화창조허브 모습 >
판교 경기문화창조허브가 운영하는 8층과 9층은 창업자를 위한 비즈니스 공간으로 운영된다. 7년 미만 문화콘텐츠 및 융합분야 스타트업과 창업 생태계를 구성하는 민간 창업지원 기업 및 협력 기업 등을 대상으로 최초 6개월 계약 기간을 지원한다(연장평가 후 최대 2년). 공간지원 수는 총 23개실로 3인실 9개, 4인실 4개, 6인실 7개, 8인실 1개, 9인실 2개로 구성되어 있다.
< 판교 경기문화창조허브 9층 >
또한, 예비창업자를 위한 교육 및 네트워크 공간 등을 위해 회의실 16개, 오픈공간 52석을 운영 중이며, 창업 관련 교육, 멘토링, 자금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상시 실행하고 있다. 총면적은 5,563.02㎡ 규모로, 8층은 '스타트업 오피스'로 9층은 회원제로 제공하는 협업 공간이다.
< 판교 경기문화창조허브 8층 >
이외에도 사무공간 확보가 어려운 초기 단계 창업자를 위해 우편함 및 비상주 사업자등록 주소지 등을 지원하는 '가상오피스', 사물함 장기 대여 등도 제공한다.
8층 스타트업 오피스를 책임지고 있는 김순찬 매니저는 "입주 스타트업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항상 파악해야 한다. 단순히 회의실 예약 일정을 잡는 일부터 시작해 사업 기회를 위한 네트워크 연결, 새로운 아이템을 함께하기 위한 인력 섭외, 다음 성장을 위한 자금 마련(투자 유치) 등… 언제 어떤 요청을 받을지 모른다"라며, "언제 지칠지 모르는 스타트업 구성원들을 위한 휴게 공간도 필수"라고 설명했다.
물론, 스타트업에게 필요한 것은 공간 하나로 단정지을 수 없다. 장기적 관점에서 스타트업이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창업·성장·회수·재투자의 선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스타트업 생태계가 필요하다. 이에 판교 경기문화창조허브는 지난 2014년부터 생태계 구축을 위한 노력을 통해 공간과 함께 제공하는 프로그램, 지역 네트워크 등 노하우와 경험을 쌓았다. 스케일업할 수 있는 스타트업 지원을 위한 노력은 언제나 현재진행형이다.
글 / IT동아 권명관 기자(tornadosn@i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