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배 빠른 인터넷, '기가인터넷'이 온다... 달라지는 점은?
1982년 5월, 경국 구미 전자기술연구소의 컴퓨터와 서울대학교 컴퓨터가 1,200bps 속도의 전용 회선으로 연결, 통신에 성공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해 통신에 성공한 최초 사례다.
그리고 1994년 6월 20일. 국내 최초로 '코넷(KORNET)'이라는 인터넷 상용 서비스가 시작됐다. 당시 코넷의 인터넷 속도는 9.6Kbps였다. 이는 현재 인터넷 평균 속도인 100Mbps의 만분의 일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지만, 당시에는 큰 이슈였다.
이로부터 약 20~30년이 지난 오늘날, 세상이 달라졌다. 이제 인터넷은 일상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가 됐다. 인터넷 속도가 향상된 것은 물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로 인터넷에 접속하고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음악과 동영상을 즐기는 시대가 됐다. 이는 과거에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일이다.
하지만 IT 기술과 인터넷의 발전은 여기서 끝이 아니다. 오히려 더 큰 변화가 일어날 예정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지난 20년 동안 일어났던 변화보다 향후 20년 동안 훨씬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전망한다. 그 중에서 주목할 만한 것이 바로 '기가인터넷(Giga Internet)'이다.
기가인터넷이란, 현재 보편화된 인터넷보다 10배 빠른 속도의 인터넷을 뜻한다. 현재 초고속 인터넷 평균 속도는 100Mbps급인데, 기가인터넷은 1,000Mbps(1Gbps)로 10배다. 영화 한 편(700MB)를 약 7초 만에 다운로드 할 수 있다고 하니, 엄청난 속도다.
이런 기가인터넷이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제공된다. KT는 앞으로 3년 간 4조 5,000억 원을 투입하고, 유무선 통합 네트워크 경쟁력을 한층 강화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19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인터넷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포럼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우리나라의 인터넷 시대를 주도한 전길남 박사와 KT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참고 기사: 전길남 박사 "한국, 인터넷 강국 넘어서 선진국으로 나아가야" (http://it.donga.com/18478)
데이터 빅뱅 시대의 돌파구, '기가인터넷'
지금보다 10배 빠른 인터넷을 쓸 수 있다는 것은 매력적이지만, 속도 외에는 어떤 장점을 가져다 줄 수 있을까. 혹자는 "지금도 인터넷 속도가 충분히 빠른데, 왜 굳이 10배 빠른 인터넷을 구축하는 것일까?"라는 의문을 가질 것이다.
하지만 기술이 발전하면, 생활이 편해지는 것 외에도 세상에 많은 변화가 생긴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 생기자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 외에도 수많은 변화가 생겼다. 스마트폰에서 즐길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하 앱)과 콘텐츠가 다양하게 쏟아져 나왔고, 그런 콘텐츠를 더욱 원활하게 서비스하고자 LTE 망이 구축되었다.
일반인이라면 아직은 피부로 와닿지 않을 수도 있지만, 기가인터넷이 발전해야 하는 이유는 분명히 존재한다. KT 오성목 네트워크 부문장은 "데이터 빅뱅 시대, 사물 인터넷 시대가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사용자들의 인터넷 사용 패턴이 크게 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작년에는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2009년 아이폰이 도입된 이후 데이터 트래픽은 500배 이상 증가했다. 그야말로 데이터 빅뱅 시대가 온 것이다. 물론, 고객들의 이용량 때문만은 아니다. 각 앱에서 UHD급 콘텐츠를 제공하며, 앱 자체에서부터 데이터가 폭발하기 시작했다.
또한 사물에 인터넷 센서가 장착되어 사물끼리 서로 소통하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술이 시대의 흐름으로 다가오고 있다.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사물들 역시 크게 늘어나는 만큼, 이를 충족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데이터 빅뱅과 사물 인터넷 시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고용량 고품질의 콘텐츠를 더욱 빠르게 전달해야 한다. 그래야 수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을 담당하는 인프라가 바로 기가인터넷이다. KT는 유무선 통합으로 기가인터넷 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KT의 목표는 UHD급 미디어 스트리밍 콘텐츠를 1G급 유무선망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2018년에는 무선 액세스 속도를 1,000Mbps로 올리고(현재 300Mbps), 유선 액세스 속도는 56%에서 100%로 기가(GiGA)화 할 것이다. 또한 인터넷 트래픽이 오가는 코어 백본을 20.4Tbps(현재 8.8Tbps)로 증가해, 고품질의 대용량 콘텐츠를 빠르게 전송하도록 할 것이다"
기가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사물 인터넷 세상, '기가토피아'
인터넷 유무선 망이 기가(GiGA) 급으로 발전한다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도 자연스레 발전하기 좋은 상황이 된다. 사물 인터넷이란, 사물에 인터넷 센서가 장착돼 알아서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스스로 제공하는 것을 뜻한다. 사물인터넷 기술이 발전하면 시계가 사용자의 컨디션과 교통 상황을 종합해 알맞은 시간에 알람을 울리고, 자동차가 사용자의 일정을 파악하고 스스로 운전해 목적지까지 태워주는 것이 현실이 될 수 있다.
KT 경제경영연구소장 유태열 전무는 "향후 인터넷 시장의 미래는 유무선을 융합한 사물 인터넷이 이끌 것이다. 현재 전세계 유선 인터넷 접속 수는 27억, 무선 50억이다. 하지만 앞으로는 유무선을 융합해 500억 이상, 1조 이상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77억 네트워크와 1조 네트워크에서 나오는 데이터와 커뮤니케이션이 불러올 경제적, 문화적 효과는 상상하기 어려울 수준일 것이다"라고 밝혔다.
KT는 기가인터넷 망을 바탕으로 사물 인터넷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며, 기가인터넷과 사물 인터넷 플랫폼으로 구축하는 차세대 산업을 '기가토피아(GiGA topia)'라고 이름 붙였다. 그렇다면 KT가 꿈꾸는 기가토피아는 구체적으로 무엇일까? KT는 스마트 에너지, 통합 보안, 차세대 미디어, 헬스케어, 지능형 교통 관제 등 5가지 분야에서 기가토피아의 경쟁력을 갖출 계획이다.
스마트 에너지 부문에서는 세계 최초로 복합 에너지를 효율화하는 솔루션인 'KT-MEG'를 상용화한다. 통합 보안 부문에서는 안전 융합 기술과 플랫폼을 통해 안전하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차세대 미디어 부문에서는 미래형 콘텐츠를 개발하고 미디어 플랫폼을 글로벌 시장에 진출한다. 지능형 교통 관제 부문에서는 지능형 교통 플랫폼을 구축하고, 위치 기반 미디어와 맞춤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헬스케어 부문에서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나 생체 정보 플랫폼 등을 개발해 의료 연구에 일조하고, 사용자의 질병을 예방하는 헬스케어 서비스를 발굴할 방침이다.
유 전무는 "KT는 기가인터넷을 기반으로 미래 인터넷 산업을 선도할 계획이다. 또한, 기가토피아에 국내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과 함께하며 동반 성장을 꾀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 해당 기사에 대한 의견은 IT동아 페이스북(www.facebook.com/itdonga)으로도 받고 있습니다.
글 / IT동아 안수영(syahn@i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