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S4', '삼성' 브랜드 약발 떨어졌나
갤럭시S4 판매 부진에 옵티머스 G Pro 반사 성장세
로이터,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해외 언론들이 지난 4월 출시된 삼성전자 갤럭시S4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을 앞다투어 싣고 있어 눈길을 끈다.
지난 17일 로이터는 "갤럭시S4의 제품 매력이 비교적 부족하다"며 "월 1,000만 대 판매량이 월 500~700만 대로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월스트리트저널 또한 18일 "갤럭시S4는 똑같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다른 회사 스마트폰과 비교해 이제는 차별화하기 힘들다"며 "은하계(갤럭시)의 별이 갈수록 줄어들 것 같다"고 일갈했다.
이에 대해 업계는 이미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상태인데다, 갤럭시S4에 결정적인 판매 요인이 부족하다는 점을 들어, 이제는 '삼성'과 '갤럭시'라는 브랜드 만으로 제품을 팔던 시대는 끝나지 않았나 하는 분석을 내고 있다. 경제분석가들도 갤럭시S4의 당초 예상 판매량을 하향 조정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이를 뒷받침한다.
갤럭시S4의 이 같은 평가에 맞춰 LG전자 옵티머스 G Pro의 부상이 현 스마트폰 시장 구도에 변화를 가져올 핵심으로 꼽힌다. 옵티머스 G Pro는 출시 40일 만에 전세계 50만대, 4개월 만에 100만대 판매 기록을 세우며 스마트폰 시장을 서서히 움직이고 있다.
발빠른 사후 관리도 경쟁사 전략 모델 출시의 역풍을 막은 원동력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삼성이 갤럭시S4를 출시하면서 옵티머스 G Pro가 자연스레 구형폰이 되는 상황에도, 출시 2개월만에 '밸류백 업그레이드'를 단행하며 맞대응 한 것이 어느 정도 주효했다는 내용이다.
LG전자는 밸류팩에서 눈동자 인식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비디오', 동영상 촬영 시 촬영자도 화면에 함께 담는 '듀얼 카메라', 자주 사용하는 연락처마다 색상을 지정할 수 있는 '홈 버튼 LED' 등 기능을 업그레이드 해 사용자들로부터 호평을 얻은 바 있다.
LG전자 관계자는 이 같은 사후 관리를 통해 옵티머스 G Pro 사용자에게 항상 최신 스마트폰을 사용한다는 인식을 주고, 해당 모델보다 늦게 출시되는 경쟁 모델에 대응하는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를 증명하듯 6월 13일 리서치회사 마케팅인사이트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LG전자 옵티머스 브랜드는 종합 체감 만족도 54.7점으로 삼성 갤럭시의 51.6점, 팬택 베가의 39.8점보다 앞섰다. 마케팅인사이트는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 6개월동안 스마트폰을 구입한 소비자 1만 1,633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상품성을 조사했다.
글 / IT동아 이상우 (lswoo@i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