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기반 투자 전략 수립 지원, 업비트 데이터랩·코인 분류

한만혁 mh@itdonga.com

[IT동아 한만혁 기자] 금융 투자자들은 효과적인 투자 결정을 위해 다양한 정보와 데이터를 취합하고 분석한다. 가상자산 투자자 역시 마찬가지다. 국내외 뉴스는 물론 거래량, 등락률, 시세 흐름, 점유율 등 다양한 지표를 확인하고, 가상자산 데이터 분석 기관이나 애널리스트의 리포트를 참고하면서 투자 전략을 수립한다.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가상자산 투자자의 데이터 기반 투자 전략 수립을 지원하는 통합 데이터 플랫폼 ‘업비트 데이터랩(UPbit Data Lab)’과 ‘코인 분류’ 기능을 각각 선보였다. 두나무는 업비트 데이터랩과 코인 분류 기능에 대해 가상자산 투자자의 투자 관련 정보 격차를 줄이기 위한 서비스라고 소개했다.

업비트 데이터랩 / 출처=업비트
업비트 데이터랩 / 출처=업비트

통합 데이터 플랫폼 ‘업비트 데이터랩’

업비트 데이터랩은 투자자가 가상자산 시장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도록 가상자산 관련 지수, 데이터, 분석 정보 등을 한데 모아 제공하는 통합 데이터 플랫폼이다. 두나무는 “그동안 축적한 ‘업비트 가상자산 지수(UBCI)’ 개발 및 운영 경험과 가상자산에 특화된 데이터 분석 역량을 바탕으로 UBCI를 전면 개편한 것”이라며 “투자자의 정확한 의사 결정을 돕는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UBCI는 두나무가 지난 2018년 5월 국내 거래소 중 처음으로 선보인 가상자산 지수로, 2017년 10월 1일 0시(UTC+0, 한국 시각 오전 9시) 기준 가상자산 시가총액을 1000으로 설정하고 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을 수치화한 것이다.

기존 UBCI에 분석을 강화한 디지털자산 지수 / 출처=업비트
기존 UBCI에 분석을 강화한 디지털자산 지수 / 출처=업비트

업비트 데이터랩은 ▲디지털자산 지수 ▲인사이트 ▲섹터 ▲블록체인 분석 등 4개 카테고리로 구성된다. 디지털자산 지수는 시장 지수, 전략 지수, 테마 지수, 섹터 지수 등 기존 UBCI에 분석을 강화한 카테고리다. 각 지수는 그래프로 시각화되어 있으며, 지수별 수익률, 변화율, 구성 종목 등의 정보를 보기 쉽게 제공해 가상자산 시장 흐름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인사이트에서는 가상자산 시장 흐름과 투자 심리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를 제공한다. 인사이트는 ▲시장 심리를 공포와 탐욕의 5단계로 구분한 ‘공포·탐욕 지수’ ▲주요 가상자산의 점유율을 보여주는 ‘마켓 도미넌스’ ▲글로벌 시세와 업비트 시세의 차이를 나타내는 ‘업비트 프리미엄’ ▲업비트에서 거래된 대금을 원화로 표기한 ‘24시간 거래대금(KRW)’ ▲시세 상승 및 하락 자산 차이를 수치화한 ‘등락 자산 수’ ▲등락 자산의 거래 대금을 비교해 장기 추세를 분석한 ‘장기 거래 강도 추세’ 등으로 구성된다. 이를 이용하면 비트코인이 전체 가상자산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나 일 거래 대금 및 변화율, 투자자 심리, 등락 자산 수 등을 수치로 확인하고 시장 분위기를 가늠할 수 있다.

섹터별 가상자산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섹터 / 출처=업비트
섹터별 가상자산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섹터 / 출처=업비트

섹터 카테고리에서는 가상자산 성격, 업종 등에 따라 분류한 섹터를 기준으로, 각 가상자산의 시가총액 및 등락률 정보를 제공한다. 두나무는 이용자 편의성과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히트맵도 적용했다. 히트맵은 시가총액과 등락률을 박스 크기와 색상으로 표현한 것으로, 시장 전반의 분위기와 가상자산 현황을 직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히트맵에서는 시가총액이 클수록 박스가 크고, 등락률이 높을수록 색상이 진하게 표시된다. 참고로 빨간색은 상승, 파란색은 하락을 뜻한다. 또한 섹터 수익률 비교 탭에서는 섹터별 수익률과 섹터 내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가상자산을 파악할 수 있다.

이용자는 섹터 카테고리를 통해 현재 주목받고 있는 산업 분야와 가상자산의 시가총액 비중, 등락률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위의 섹터별 현황 이미지를 보면 인프라, 디파이 영역이 주목받고 있으며, 각 영역에서 XRP, 비트코인(BTC), 레이어(LAYER)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용자는 이들 데이터를 통해 투자 섹터 및 종목 결정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 지표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분석 / 출처=업비트
온체인 데이터 분석 지표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분석 / 출처=업비트

블록체인 분석 카테고리는 전문가가 아니면 접근하기 어려운 블록체인(온체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심층 분석한 다양한 지표를 제공한다. 이곳에서는 가상자산 과소·과대 평가 비율을 유추할 수 있는 MVRV 비율 지표를 비롯해 생태계 활성도와 참여자 행동 패턴을 유추할 수 있는 활성 및 신규 주소, 거래량, 거래 처리량, 네트워크 수수료 등의 지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용자는 해당 데이터를 통해 실제 거래 및 사용되는 상황이나 보유자 현황 등을 구체적인 수치로 파악할 수 있다. 블록체인 분석의 경우 현재 이더리움 네트워크 기반 100여 종의 가상자산 데이터 분석 지표를 제공하며, 향후 비트코인, 솔라나 등의 네트워크 데이터를 추가할 계획이다.

업비트 데이터랩은 전용 홈페이지나 업비트 거래소 메뉴에 있는 링크를 통해 누구나 무료로 접속할 수 있다.

접근성·편의성 강화한 ‘코인 분류’

코인 분류는 가상자산 섹터 분류와 순위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능으로, 별도의 페이지 이동 없이 모바일 거래소 화면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코인 분류는 섹터와 랭킹으로 구성된다 / 출처=IT동아
코인 분류는 섹터와 랭킹으로 구성된다 / 출처=IT동아

코인 분류는 섹터, 랭킹으로 나뉜다. 섹터는 업비트가 거래 지원하는 가상자산을 성격, 업종 등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지급결제 인프라, 네트워크, 스테이블 등으로 나뉜다. 섹터 탭에서는 지수, 등락률 등 섹터 및 섹터 내 가상자산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섹터 및 가상자산의 현황을 비교 분석하고, 전체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는 섹터를 확인하는 등 산업 트렌드 기반 투자 결정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랭킹은 기존의 거래량, 시세 중심 순위 정보를 확장한 기능으로, 정보 접근성과 편의성을 강화했다. 랭킹 탭에서는 거래량, 시가총액, 1시간 급상승, 1시간 급하락, 1개월 상승률, 프리미엄, 공포·탐욕 지수 등의 지표에 따른 순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별도 페이지로 이동하지 않고 거래소 화면에서 바로 볼 수 있어 편하다.

코인 분류를 이용하려면 실험실에서 해당 기능을 활성화해야 한다. 코인 분류를 활성화하려면 업비트 모바일 앱 실행 후 하단의 '더보기'를 선택하고 '실험실'로 이동해 '코인 분류' 옆 버튼을 누른다.

코인 분류를 이용하려면 실험실에서 활성화해야 한다 / 출처=IT동아
코인 분류를 이용하려면 실험실에서 활성화해야 한다 / 출처=IT동아

두나무가 선보인 업비트 데이터랩과 코인 분류 기능은 다양한 가상자산 관련 지표, 전문가가 아니면 접근하기 어려운 온체인 데이터 등을 보기 쉽게 가공 및 제공한다. 이를 이용하면 전문가는 물론 일반 투자자도 가상자산 관련 인사이트를 얻고 데이터 기반의 합리적인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두나무 역시 이 점을 강조한다. 두나무는 “가상자산 이용자가 보다 쉽게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고 분석하도록 선보인 기능”이라며 “앞으로도 시장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정보 비대칭을 해소할 것”이라고 전했다.

IT동아 한만혁 기자 (mh@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