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하는법] 신뢰할 수 있는 장소에서 '잠금 해제 유지'하는 방법

남시현 sh@itdonga.com

[IT동아 남시현 기자] 스마트폰 잠금은 다른 사람이 내 휴대폰을 열람할 수 없게 하고, 내부의 데이터를 보호하는 기능이다. 잠금 기능이 없으면 해당 휴대폰에 저장된 연락처, 계정, 금융 정보 등은 공공 정보나 다름없다. 갤럭시 스마트폰의 경우 지문인식 및 패턴 인식, 비밀번호 입력이 기본이고, 애플 아이폰은 안면 인식 기능인 페이스ID와 비밀번호 입력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잠금 기능 때문에 스마트폰의 사용 절차가 조금 더 복잡해진다. 매번 주머니에 넣었다 뺄 때마다 잠금을 해제한다던가, 장갑을 착용하거나 지문 인식이 잘 안 되면 패턴이나 비밀번호를 눌러야 한다던가, 페이스ID가 인식이 안돼 비밀번호를 재차 누른다거나 하는 식이다. 그래도 아이폰은 안면 인식이라 얼굴만 대면 열리지만, 갤럭시는 지문 인식이라 두 손을 모두 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갤럭시 잠금 해제 유지 기능은 신뢰할 수 있는 장치 및 장소에서 잠금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기능이다 / 출처=삼성전자
갤럭시 잠금 해제 유지 기능은 신뢰할 수 있는 장치 및 장소에서 잠금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기능이다 / 출처=삼성전자

그래서 갤럭시 스마트폰에는 아이폰에는 없는 ‘잠금 해제 유지(Extend Unlock)’ 기능이 제공된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집이나 차량, 회사 등 스마트폰을 자주 사용하는 장소에 한해서는 잠금이 해제된 상태로 있다. IT하는법을 통해 간단한 설정법을 소개한다.

믿을 수 있는 장소에서 쓸 수 있는 ‘잠금 해제 유지’


설정에서 잠금화면 및 AOD 진입, 잠금 해제 유지 선택 후 잠금 해제 시 기능을 쓸 수 있다 / 출처=IT동아
설정에서 잠금화면 및 AOD 진입, 잠금 해제 유지 선택 후 잠금 해제 시 기능을 쓸 수 있다 / 출처=IT동아

잠금 해제 유지는 평소에 이동 중이어서 내가 스마트폰을 갖고 있는 게 확실하거나, 집이나 차량 등 내가 가지고 있을 수밖에 없는 장소에서는 잠금을 해제한다. 식별 방법은 △ 단순 신체 활동 감지 △ GPS상 위치 △ 특정 블루투스 기기, 스마트 워치 근처 세 가지다. 우선 설정에서 잠금화면 및 AOD 메뉴로 진입한 다음, ‘잠금 해제 유지’를 누른다. 스마트폰 버전에 따라 잠금 해제 유지 대신 ‘Extend Unlock’ 혹은 ‘Smart Lock’ 기능으로 표기돼 있을 수 있다.


신체 활동 감지 기능은 기기가 움직이는 것만으로 잠금을 해제한다. 움직임 대상을 구분하지 않으므로 잠금이 없는 것과 다름없다 / 출처=IT동아
신체 활동 감지 기능은 기기가 움직이는 것만으로 잠금을 해제한다. 움직임 대상을 구분하지 않으므로 잠금이 없는 것과 다름없다 / 출처=IT동아

세 가지 선택지 중 가장 상단에 있는 신체 활동 감지는 걷기, 또는 움직임 상태일 때 잠금을 해제한다. 잠금 해제는 정지 상태에서 1분 정도 지나면 잠기고, 한번 해제 시 최대 네 시간까지 풀린 상태를 유지한다. 문제는 사용자를 구분하지 않고, 차량이나 자전거 등에서도 자동으로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사실상 스마트폰 잠금이 없는 상태이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하고, 운동 중이거나 업무 중으로 계속 잠금이 유지되어야 할 때 일시적으로 사용한다.


신뢰할 수 있는 장소는 GPS상 위치를 기반으로 잠금을 해제한다 / 출처=IT동아
신뢰할 수 있는 장소는 GPS상 위치를 기반으로 잠금을 해제한다 / 출처=IT동아

신뢰할 수 있는 장소를 기반으로 잠금 해제를 유지하는 방법도 있다. 이 기능은 GPS상 위치를 인식해 스마트폰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으로, 지정된 위치로부터 약 80미터 이내에서는 잠금이 해제돼 있다. 이 역시 장소 안의 다른 사람 누구나 접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전한 방식은 아니나, 집이나 직장 등에서는 그나마 안전하게 쓸 수 있다.

사용 방법은 ‘잠금 해제 유지에 신뢰할 수 있는 장소 사용’을 터치한 뒤, 아래 ‘신뢰할 수 있는 장소’를 누른다. 그다음 ‘+신뢰할 수 있는 장소 추가’에 진입하고, 주소 혹은 지도에서 선택을 누른다. 주소는 정확한 지번까지 입력할 수 있고, 대략적인 위치도 찾을 수 있다. 또한 지도에서 선택하기를 누르면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지도가 뜨고, 드래그 앤 드롭으로 잠금 해제 위치를 바꿀 수 있다. 집에서 지도 선택으로 장소를 추가하면 가장 적절하다.


차량이나 블루투스 이어폰 등을 연결하는 게 가장 이상적이다 / 출처=IT동아
차량이나 블루투스 이어폰 등을 연결하는 게 가장 이상적이다 / 출처=IT동아

차량이나 장소 내 블루투스 기기 연결로 잠금 해제를 유지하는 방법도 좋다. 동일하게 신뢰할 수 있는 기기를 추가한 이후, 스마트폰에 연결된 적 있는 기기 목록 중 장치를 선택한다. 이때 어떤 장치를 선택할지도 중요하다. 집이라면 가정 내 블루투스 스피커나 텔레비전, 데스크톱 등을 연결하는 게 좋고, 회사라면 노트북이나 블루투스 이어폰 등 항상 휴대하는 제품을 기준으로 하는 게 좋다. 앞서 GPS 기반 기능을 쓸 수 없는 차량도 이 방법은 쓸 수 있다.

가장 큰 장점은 블루투스를 종료하면 잠금 해제 유지도 풀린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회사에서 잠금 해제 유지를 내가 있을 때만 쓰고 싶다면, 스마트 워치나 블루투스 이어폰에 연결한다. 그러면 내가 음악을 듣기 위해 블루투스를 연결했거나, 물리적으로 내가 시계를 차고 접근했을 때만 잠금이 풀린다.

한편 애플 아이폰은 갤럭시와 같은 잠금 해제 유지 기능이 없다. 대신 애플 워치가 있다면 워치 상에서 암호를 탭한 후 암호 끄기를 입력하거나, 애플워치로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이 대신 제공된다. 마스크 등으로 페이스ID를 쓸 수 없을 때 유효하다. 물론 장소나 블루투스 기반으로 잠금 해제를 유지하는 기능은 아니다.

IT동아 남시현 기자 (sh@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