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와 레코더의 기능을 합친 동영상 촬영 전문 기기 - 캠코더(Camcorder)

김영우 pengo@itdonga.com

멀티미디어 기술의 목표는 원본의 완벽한 저장과 재생이다. 카메라, 녹음기, 텔레비전 등이 이러한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기기다. 이들도 등장 초기에는 품질이 조악한 아날로그 기술에 기반하고 있었으나, 날이 갈수록 원본을 저장하거나 재생하는 과정에 디지털 기술이 더해져 한층 우수한 품질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카메라와 레코더의 기능을 합친 동영상 촬영 전문 기기 - 캠코더(Camcorder)
(1)
카메라와 레코더의 기능을 합친 동영상 촬영 전문 기기 - 캠코더(Camcorder) (1)

그리고 디지털 기술의 도입과 더불어, 각 멀티미디어 기기간의 결합도 차츰 가속화되었다. 정지 영상만 찍을 수 있는 카메라가 동영상(움직이는 영상)을 찍을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로 진화를 했고, 여기에 저장 기능 및 음성 채취 기능, 그리고 텔레비전과 같은 외부 기기로 출력해 재생할 수 있는 기능까지 더해진 결과, 손안의 방송국이라고 할 수 있는 ‘캠코더(Camcorder)’가 등장하게 되었다.

카메라 + 레코더 = 캠코더?

캠코더란 용어는 비디오 카메라(video camera)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ideo cassette recoder)를 합친 기기라는 의미에서 생겨났다. 카메라(CAMera) + 레코더(reCODER)를 짧게 줄인 이 단어는 1982년에 소니(Sony)와 JVC 등이 가정용 캠코더를 본격으로 출시한 이후, 일본 시장을 시작으로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

카메라와 레코더의 기능을 합친 동영상 촬영 전문 기기 - 캠코더(Camcorder)
(2)
카메라와 레코더의 기능을 합친 동영상 촬영 전문 기기 - 캠코더(Camcorder) (2)

캠코더의 등장 이전에는 필름을 저장매체로 쓰는 무비 카메라(movie comera)를 사용해 동영상을 찍었다. 하지만 필름은 덩치도 크고 촬영 후에 현상 과정을 거쳐야 하는 등, 불편한 점이 많았다. 그 외에도 촬영 가능 시간이 짧고 필름 가격이 비싼 점도 단점으로 지적되곤 했다. 이런 와중, 1956년부터 필름이 아닌 2인치 너비의 자기 테이프를 이용해 영상을 녹화하는 기술이 등장했다. 자기 테이프를 이용한 촬영기는 비디오 카메라(video camera)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방송국을 중심으로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다.

1983년, 최초의 ‘캠코더’가 등장하다

다만, 초기의 비디오 카메라는 촬영기능만 있고 저장 기능은 없었기 때문에 촬영기 외에 녹화기를 따로 준비해야 했다. 또한, 테이프의 크기도 커서 가정용으로 보급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하지만 1975년에 소니(Sony)의 베타맥스(Betamax), 1976년에는 JVC의 VHS(Video Home System)와 같이 가정용 시장을 겨냥한 비디오 카세트 기반 비디오 시스템이 등장하면서 비디오 카메라 역시 휴대성이 크게 향상되기 시작했다. 베타맥스나 VHS에서 사용하는 비디오 카세트는 기존의 테이프에 비해 크기가 작아 휴대와 보관이 쉽고 사용도 간편한 것이 장점이었다.

카메라와 레코더의 기능을 합친 동영상 촬영 전문 기기 - 캠코더(Camcorder)
(3)
카메라와 레코더의 기능을 합친 동영상 촬영 전문 기기 - 캠코더(Camcorder) (3)

그리고 1982년, 소니는 베타맥스 규격의 비디오 카세트를 사용하는 방송용 캠코더 시스템인 ‘베타캠(Betacam)’을 출시했으며, 이듬해인 1983년에는 가정용 캠코더인 ‘베타무비(Betamovie)’를 출시한다. 사실 이보다 이전인 1980년에 JVC가 히타치(Hitachi)와 함께 개발한 VHS 기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일체형 비디오 카메라를 발표했으나 출시는 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베타무비가 본격적으로 보급된 세계 최초의 가정용 캠코더로 인정받고 있다. 참고로 베타캠과 베타무비는 같은 규격의 비디오 카세트를 사용하지만 기록하는 방식은 다르다.

카메라와 레코더의 기능을 합친 동영상 촬영 전문 기기 - 캠코더(Camcorder)
(4)
카메라와 레코더의 기능을 합친 동영상 촬영 전문 기기 - 캠코더(Camcorder) (4)

다만 가정용 VCR 시장에서 소니의 베타맥스 규격은 JVC의 VHS 규격에 밀리기 시작했고, 1980년대 중반에 들어 베타맥스는 시장에서 거의 자취를 감춰버렸다. 이 때문에 베타무비 캠코더 역시 시장에서 퇴출되었다. 이에 반해, 방송용 규격인 베타캠은 전문가 시장에서 꾸준히 사랑 받으면서 사실상 방송용 캠코더의 세계 표준으로 자리잡게 된다.

한 손으로 잡고 쓸 수 있는 캠코더의 개발

베타맥스가 시장에서 퇴출되고 VHS가 가정용 비디오 시장의 중심으로 자리잡긴 했지만 가정용 캠코더 시장의 확대는 여전히 요원했다. 특히 VHS의 경우, 비디오 카세트의 크기가 문고판 소설책 정도로 컸기 때문에 가정용으로 나온 VHS 캠코더 역시 어쩔 수 없이 방송용 캠코더만큼이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었다. 베타맥스의 경우, 비디오 카세트 크기가 VHS의 절반 정도였지만 이 역시 소형 캠코더로 만들기에는 여전히 부담스러운 크기였고, 베타맥스가 VCR 시장에서 외면 받으면서 더 이상 시장 확대를 기대할 수 없게 되었다.

카메라와 레코더의 기능을 합친 동영상 촬영 전문 기기 - 캠코더(Camcorder)
(5)
카메라와 레코더의 기능을 합친 동영상 촬영 전문 기기 - 캠코더(Camcorder) (5)

이에 1984년, 소니는 비디오 카세트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인 ‘8mm 비디오(비디오 8)’ 규격을 발표하고 이듬해에는 8mm 비디오 규격의 비디오 카세트를 사용하는 CCD-V8과 CCD-M8을 출시한다. 그 중에서도 CCD-M8은 소니의 대표 브랜드로 자리잡은 초소형 캠코더 ‘핸디캠(Handycam) 시리즈’의 첫 제품이다. CCD-M8은 한 손으로 잡고 촬영이 가능할 정도로 크기가 작고 무게도 1kg 남짓이라 휴대성이 매우 높았다. 이후 8mm 비디오는 큰 인기를 끌며 가정용 캠코더 시장의 표준으로 자리잡게 된다.

디지털 방식 캠코더의 본격적인 출시

1990년대 들어 가정용 비디오 시장은 이전에 사용하던 아날로그 방식보다 화질이 우수하고 컴퓨터와의 호환성도 높은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을 시작했다. VHS 방식의 VCR은 DVD로 변화했으며, 캠코더는 8mm 비디오 규격에서 ‘DV’ 규격으로 옮겨가기 시작했다. DV 규격은 1994년에 HD 디지털 VCR협회에 의해 제정된 비디오 저장 표준으로, 여러 DV 규격 중에서도 가정용 캠코더용으로 지정된 것이 바로 ‘미니DV(MiniDV)’ 규격이다.

카메라와 레코더의 기능을 합친 동영상 촬영 전문 기기 - 캠코더(Camcorder)
(6)
카메라와 레코더의 기능을 합친 동영상 촬영 전문 기기 - 캠코더(Camcorder) (6)

미니DV 규격의 캠코더는 8mm 비디오와 유사한 형태의 소형 카세트 테이프를 이용하지만, 카세트의 크기가 좀더 작고 아날로그가 아닌 디지털 방식으로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인 미니DV 규격의 가정용 캠코더는 DVD 수준의 SD급 화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재생이나 저장을 여러 번 반복해도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화질이 저하될 우려가 적고 PC와 같은 외부 기기로 영상을 전송하는 과정도 간편하다. 이후의 캠코더 시장은 디지털 방식이 주류를 이루게 된다.

HD급 화질의 실현, 저장 매체의 다양화

2000년대 들어 캠코더 시장은 큰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정지 화상뿐 아니라 동영상까지 찍을 수 있는 디지털카메라가 대거 등장해 인기를 끌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디지털카메라는 본체 크기가 작고 SD, CF와 같은 플래시메모리 기반의 메모리카드를 저장매체로 이용하므로 취급이 편한 것이 장점이다. 더욱이, HD TV가 대량 보급되면서 캠코더 역시 동영상의 화질을 HD급 이상으로 높일 필요가 있었다.

2003년에 소니, JVC, 캐논 등의 캠코더 제조사들은 기존의 미니DV 카세트 테이프에 HD급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HDV’ 규격을 발표하고 이를 지원하는 캠코더를 출시하기 시작했다. 동영상 전송과 편집이 번거로운 카세트 테이프를 저장매체로 쓴다는 점이 약점으로 지적되기도 했지만, 정지 영상보다 훨씬 많은 데이터 저장공간이 필요한 동영상의 특성상, 메모리카드에 비해 값싸게 많은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카세트 테이프를 선택한 것은 불가피한 일이었다.

카메라와 레코더의 기능을 합친 동영상 촬영 전문 기기 - 캠코더(Camcorder)
(7)
카메라와 레코더의 기능을 합친 동영상 촬영 전문 기기 - 캠코더(Camcorder) (7)

하지만 2005년을 즈음해 메모리카드의 값이 크게 떨어지고 대용량 제품도 다수 등장하게 되면서 캠코더 역시 메모리카드, 혹은 내장 플래시메모리를 주요 저장매체로 쓰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PC용 대용량 저장매체인 하드디스크를 내장한 캠코더도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 외에도 CCD, CMOS와 같은 이미지 센서의 성능이 한층 진화됨에 따라 그리고 2010년 이후에는 HD급을 넘어선 풀HD급의 초고화질 촬영 기능도 기본이 되었다.

캠코더 시장의 미래

2012년 이후의 캠코더 시장은 축소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가장 큰 이유는 굳이 캠코더를 사용하지 않아도 외에도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방법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디지털카메라는 물론, 휴대전화, 태블릿 컴퓨터 등 다양한 기기가 동영상 촬영 기능을 갖추고 있다. 2010년경 이전까지는 캠코더가 다른 기기에 비해 한층 우수한 화질의 촬영이 가능하다는 점을 무기로 그나마 시장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이후부터는 풀 HD급 동영상 촬영 기능을 가진 스마트폰이나 디지털카메라가 속속 등장해 이를 무색하게 하고 있다. 특히 고화질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일부 DSLR 카메라의 경우, 가정용 외에도 전문가들의 작품활동에 캠코더 대신 사용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카메라와 레코더의 기능을 합친 동영상 촬영 전문 기기 - 캠코더(Camcorder)
(8)
카메라와 레코더의 기능을 합친 동영상 촬영 전문 기기 - 캠코더(Camcorder) (8)

이에 대해 캠코더 업체들은 다른 기기들과의 차별성을 강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를 하고 있다. 3D 입체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3D 캠코더, 대화면의 투사가 가능한 프로젝터 내장형 캠코더, 그리고 DSLR 카메라처럼 렌즈의 교환이 가능한 캠코더 등이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디지털카메라와 캠코더 생산을 병행하고 있는 일부 업체들은 아예 동영상 촬영에 특화된 제품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디지털카메라를 내놓는 등, 제품간의 경계를 허문 이른바 크로스오버(crossover)를 시도, 새로운 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다.

글 / IT동아 김영우(pengo@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