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모토로라, 블루투스 헤드셋 3종 출시
조은날2012년 6월 11일, 모토로라 코리아는 블루투스 헤드셋 ‘모토로라 SF600’, '모토로라 HK250 유니버설 블루투스 헤드셋’, ‘모토로라 HK110 블루투스 헤드셋 ‘ 3종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세 제품 모두 모토로라의 기술인 트루컴포트를 탑재했다. 모토로라 SF600은 스포츠 활동시 유용한 -
기업도 접속하는 시대, '윈도 애저'가 연다
강일용“소유(所有)의 시대는 막을 내리고 접속의 시대가 열릴 것이다”미국 경제학자 제레미 리프킨이 자신의 저서 ‘소유의 종말’을 통해 10년 전 밝힌 말이다. 사용자가 물건을 직접 구매하는 것보다 서비스에 접속하는데 더 비중을 두게 될 것이라고 예측한 것이다. 그리고 이는 현실로 이뤄졌다. 2012년 현재, 사용자는 -
KT, 갤럭시S3 LTE 예약가입 개시
안수영KT(회장 이석채, http://www.kt.com)는 오는 12일 오전 9시부터 전국 올레 매장과 올레닷컴 (http://preorder.olleh.com) 에서 삼성전자의 ‘갤럭시 S3 LTE’의 예약가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갤럭시 S3 LTE는 엑시노스쿼드코어 CPU, 4.8인치 슈퍼아몰레드 HD 디스플레이, 800만 화소 -
BSA 클라우드 컴퓨팅 국가경쟁력 평가조사 발표, 우리나라는?
안수영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국가경쟁력이 세계 8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무용소프트웨어연합(이하 BSA / 한국 의장 박선정, http://www.bsa.org/korea)은 세계 ICT 시장의 80% 이상을 점유하는 총 24개 국가를 대상으로 ‘글로벌 클라우드 컴퓨팅 국가경쟁력 평가지수’를 발표하고, 우리나라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의 규제 -
고품질 사운드를 대중에게 - DTS코리아 유제용 지사장
김영우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고화질 영상을 볼 수 있는 HD TV, 혹은 손에 잡힐 듯한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는 3D TV 등은 이미 대중화의 길을 걷고 있다. 다만, 영상과 함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또 다른 축을 이루고 있는 음성 부분의 발전에 대해서 신경을 쓰는 대중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하지만 사실 알고 보면 영상 못지 않게 음성 부문 -
소니코리아, 바이오 여름 신모델 출시
허미혜2012년 6월 11일, 소니코리아(www.sony.co.kr)가 바이오 브랜드 런칭 15주년을 기념하여 바이오 여름 신모델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바이오 Z 시리즈 15주년 스페셜 에디션은 일본에서 직접 바이오 15주년 기념 메시지를 새긴 글로시 탄소섬유 재질의 한정판으로 제작됐다. 성능과 이동성을 함께 고려한 모바일 PC 바이오 -
LG유플러스와 유튜브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의 만남!
허미혜2012년 6월 11일 LG유플러스(www.uplus.co.kr)는 스마트폰을 리모콘처럼 활용해 유튜브를 검색하고 재생할 수 있는 구글의 'YouTube Remote 애플리케이션(이하 유튜브 리모트 앱)'을 자사 IPTV 서비스인 U+TV 가입자들도 이용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유튜브 리모트 앱은 유튜브 개인 계정으로 로그인 시, 취미와 관심사에 -
캐논, 프리미엄 엔트리 DSLR 카메라 'EOS 650D' 발표
안수영캐논코리아컨슈머이미징㈜(대표이사 강동환, http://www.canon-ci.co.kr)이 새로운 프리미엄 엔트리 DSLR 카메라 ‘EOS 650D’를 11일 공식 발표했다. EOS 650D는 지난해 3월 출시되어 13개월 만에 15만 대 판매 신기록을 달성한 ‘EOS 600D’의 후속 모델이다. 이 -
올레TV에서 미드를 즐기자!'abc미드무제한즐기기' 월정액 상품
허미혜2012년 6월 11일, KT(www.kt.com)는 올레tv에서 미드를 볼 수 있는 'abc 미드 무제한 즐기기' 월정액 상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abc 미드 무제한 즐기기'는 월 7,000원으로 미국 abc사가 방영한 '더 리버', '미씽', '크리미널 마인드', '원스 어폰 어 타임' ,'로스트', '그레이 아나토미' 등을 제공한다 -
아하zum, 답변달고 분유값 벌어가세요
서동민개방형 포털을 표방한 zum.com(줌닷컴)이 지식검색 서비스로 재도약을 선언했다.줌인터넷은 6월 4일부터 새로운 개념의 지식검색 서비스 ‘아하zum(아하줌)’ 베타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지식검색 서비스는 인터넷 사용자끼리 서로 묻고 답하면서 콘텐츠를 자체 생산하게끔 만드는 플랫폼이다. 2000년대 초반 인터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