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기훈의 ESG 금융] 주식 분석에 ESG 요인을 적용하는 방법 Part.2

E(Environment)·S(Social)·G(Governance). ESG가 화제입니다. 기업 이미지 제고와 새로운 규제의 대응, 투자자와 매출 관리를 위해 ESG 경영전략은 꼭 세워야 합니다. 그러려면 ESG의 범위와 개념을 명확히 하고, 평가 방식과 사례도 철저히 연구해야 합니다.

새로운 분야가 자리 잡을 무렵이면 여러 이익 집단들이 난립해 잘못된 정보를 진실인양 왜곡하는 일이 많이 생깁니다. ESG 분야도 그렇습니다. 아직 EGS의 영역과 관련 단어의 뜻이 명확히 정해지지 않아 생긴 폐해입니다.

필자는 지난 4년간 여러 국내외 금융, ESG 관련 기관과 일했습니다. 이를 토대로 [홍기훈의 ESG금융] 칼럼을 마련해 독자와 소통하려 합니다. 금융 관점에서 경영자가 알아야 할 ESG 이론을 사례 중심으로 소개하겠습니다.

홍기훈의 ESG 금융
홍기훈의 ESG 금융

주식 분석에 ESG 요인을 적용하는 방법 Part.2

지금까지는 실무자들이 금융투자와 분석에 ESG 요인을 반영할때, 질적 정보를 활용해 투자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최근에는 외부 리서치로 ESG 요인에 대한 정량 점수를 만들어, 기업 활동과 가치를 분석할때 쓰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ESG 요인을 정량 점수로 도출하면 세부 분야별로 적게는 10여개, 많게는 100여개까지도 나오게 됩니다. 이들 ESG 요인의 세부 분야별 점수에 가중치를 두면, 투자 포트폴리오 안에서의 ESG 점수 집계는 물론 투자 가중치를 결정할 유용한 지표로 쓰는 것도 가능합니다.

지난 칼럼에서는 주식 분석 전략 가운데 하나, ‘기본적 분석’에서 ESG 요소를 어떻게 전략적으로 활용하는지를 다뤘습니다. 이번에는 체계적 전략, 퀀트와 스마트 베타 분석 전략에 ESG 요소를 어떻게 반영하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김재환 홍익대학교 학생이 자료 정리를 도왔습니다.

체계적 전략 (퀀트나 스마트 베타)

먼저 용어부터 보겠습니다. 퀀트 전략은 주식의 가치를 분석할때 오직 ‘숫자’만 보는 방식입니다. 주가수익비율인 PER과 주가순자산비율 PBR, 주가매출액비율 PSR 등 숫자로 이뤄진 것이라면 무엇이든 퀀트 분석 대상이 됩니다.

스마트 베타전략은 기업의 내재가치와 성장 모멘텀, 낮은 변동성과 높은 배당 등 ‘특정 요인’들을 활용해 지수를 만들어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지난 칼럼에서 다뤘듯, 주식을 분석할때 ESG를 통합하는 가장 쉽고 흔한 방법은 기본적 분석을 쓰는 것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퀀트나 스마트 베타 전략에 ESG를 통합하는 경우가 늘어나 대세가 되고 있습니다.

ESG가 화두로 떠오르면서 ESG 데이터가 보편화되고, 통계적으로도 점점 정확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기업간의 ESG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게 됐습니다. 자연스레 주식 분석에 ESG를 통합하는 새로운 방법이 태어난 셈입니다.

퀀트나 스마트 베타 전략을 이용하는 증권 분석가는 자신의 통계 기반 주식 분석 모델을 만들때 기업의 가치나 규모, 모멘텀과 변동성 등 여러 요인을 사용합니다. 이제 여기에 ESG 요인을 더하면 됩니다.

기본적 분석은 기업의 가치 분석을 끝마친 후 결과값을 ESG가 가진 영향력에 따라 조정합니다. 반면, 퀀트나 스마트 베타는 ESG 데이터를 투자 프로세스 자체에 포함합니다.

퀀트나 스마트 베타 전략에서 ESG 요인을 정량적으로 통합할때, 아래 두가지 주요 접근방식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ESG 요인이 투자위험 및 위험조정수익과 연관된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ESG 요인에서 낮은 순위를 기록한 주식의 포트폴리오 가중치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ESG 요인이 투자위험 및 위험조정수익과 연관된다는 연구 결과는 많습니다. 가장 흔한 예가 '기업이 ESG 활동을 추구하면 기업 이미지를 개선, 매출과 영업이익 증대로 이어진다. 곧 기업의 주가가 상승하고, 더 높은 위험조정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사례입니다. 만일 ESG 활동을 적극 추구하지 않는 기업이라면 위에 든 사례와 반대 현상이 일어날 것입니다. 따라서 ESG 요인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한 주식의 포트폴리오 비중은 높이고, 그 반대 주식의 비중을 낮추면 됩니다.

[2] ‘ESG 데이터와 다른 요인들 간의 통계적 관계(상관관계)을 주식 분석에 반영하는 방법’ 역시 유효합니다.

기업의 ESG 활동이 주식 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전통적인 요인들에 영향을 미친다면, 마찬가지로 ESG 활동이 주가 자체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ESG 데이터와 주식 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전통적인 요인 사이의 통계적 관계를 분석하면, ESG 요인이 주가와 수익률에 어떤 영향을 얼마나 미칠지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주식의 가치를 분석할때 숫자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퀀트 전략, 기업의 특정 요인으로 지수를 만들어 투자의사를 결정하는 스마트 베타 전략에 ESG 요인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살펴봤습니다. 모쪼록 관계자들이 ESG 요인을 주식 분석에 반영할때 이해를 넓히는 계기가 됐으면 합니다.

글 / 홍기훈 홍익대학교 경영대 교수

홍기훈 교수(PhD, CFA, FRM)는 홍익대 경영대 재무전공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학계에 오기 전 대학자산운용펀드, 투자은행, 중앙은행 등에 근무하며 금융 실무경력을 쌓았습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경제학 박사를 마치고 자본시장연구원과 시드니공과대(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경영대에서 근무했습니다. 주 연구분야는 자산운용, 위험관리, ESG금융, 대체투자입니다. 금융위원회 테크자문단, 글로벌 ESG, 한국탄소금융협회 ESG금융팀장을 포함해 현업 및 정책적으로 다양한 자문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정리 / IT동아 차주경(racingcar@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