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이 IT(잇)다] 박홍희 굿파머스그룹 대표 “좋은 농부들과 스마트 농업 이끌 것”
[IT동아 차주경 기자] “농업회사법인 굿파머스그룹의 이름 가운데 ‘그룹’은 ‘기업 집단’이 아니예요. 좋은 농부들의 ‘모임’이란 의미입니다. 좋은 농부, 스마트 농부들과 함께 제대로 된 스마트 농업을 우직하게 만들어갈 것입니다.”
경북 상주 청리면 딸기농장 ‘우공의 딸기정원’에서 만난 박홍희 굿파머스그룹 대표가 두터운 손으로 악수를 청하며 건넨 말이다. 8년 전 대기업의 요직을 박차고 나와 귀농한 그는 딸기 재배 업계에서 이름난 스마트 농부다.
공로와 결과물을 인정받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스마트팜과 종자산업기반 구축사업 사업자로도 인정 받았다. 스마트팜 기술을 적용한 8400평 대규모 딸기 육묘장, 재배온실을 만들었다. 스마트 농부와 딸기가 함께 자랄 산실이다. 스마트 농장을 손쉽게 관리하도록 통합 패키지를 제공할 SI(System Integration, 정보 통합) 자회사 굿파머스시스템도 세웠다.
많은 것을 이룬 박홍희 대표지만, 그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한다. 우공의 딸기정원 사무실로 가는 길을 진하고 향긋한 딸기 내음이 반겼다. 박홍희 대표에게 먼저 귀농 후 이룬 성과, 이루지 못해 아쉬운 점을 물었다.
“미래 농업 전문가 인정 기쁘지만, 스마트 농업으로 패러다임 바꾸지 못한 것 아쉽다”
“귀농했을 때 처음에는 참 막막했어요. 농업을 전혀 몰랐고, 땅 한평도 없었으니까요. 지금은 딸기 업계에서 이름이 제법 잘 알려진 스마트 농부가 됐죠. 수천평 넓이 농지도 생겼고요. 딸기 재배 기술과 스마트 농업, 미래 농업 전문가로 인정받은 점이 성과라고 생각해요.”
박홍희 대표는 서너마디로 갈음할 정도로 자기 칭찬에 인색했다. 그 대신 이루지 못해 아쉬운 점이 많다며 화제를 바꿨다.
“스마트 농업을 정착시켜, 우리 농업의 패러다임을 바꾼다는 목표는 아직 이루지 못했어요. 농업은 어엿한, 오픈 경영을 적용할 기업으로 인정받아야 해요. 이미 기업화 사례도 속속 나오고 있고요. 하지만, 정작 투자 업계는 농업의 기업화에 아직 큰 관심이 없었어요. 혁신 농업 사례를 소개해도 투자를 유치하기 어렵더군요. 그래도 더 노력할 겁니다.”
혁신 농업 사례에 투자금이 잘 모이지 않는다니, 의외였다. 스마트팜은 유망하고 투자도 많이 이뤄지는 혁신 농업 부문이 아니었나? 박홍희 대표는 웃으며 스마트팜도 혁신 농업 사례라 할 수 있지만, 그보다 더 멀리 내다보고 더 큰 그림을 그려야 한다고 말했다. 그가 바라는 것은 스마트팜이 아니라, 그 너머에 있는 스마트 농업이었다.
스마트팜이 농사를 쉽고 편하게 짓도록 돕는 만능 기술처럼 알려져 있는데, 아니예요. 특정 작물에만 적용 가능해요. 쌀과 사과, 포도와 딸기 농사짓는 법은 저마다 다르죠? 그러니까 적용할 스마트팜 기술도 모두 다른게 정상이에요. 농업은 단순하게 표준화, 획일화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니까요.”
그는 스마트팜처럼 농업의 생산 효율을 높이는 사업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멀리 보면서 농업 전반의 프로세스 수준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업은 단순히 농작물을 재배하는 사업이 아니다. 농작물 재배 시 모든 과정을 관리 감독하고, 수확한 후 보관과 유통에도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물론 농작물 판매 대금과 인건비를 다루는 회계관리와 농부들의 인사, 네트워킹도 농업에 필수 요소다. 박홍희 대표가 농업을 기업의 관점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다.
농업은 예술...전반의 질 높이려면 젊은 스마트 농부 있어야
“농업을 보는 시선을 바꿔야 해요. 농업 전반의 질을 높이는 기술과 기업에 투자가 이뤄져야 합니다. 그리고, 그만큼 중요한 것이 젊은 농부, 스마트 농부 육성과 지원책이예요.
농사는 종합 예술이예요. 재배 기술뿐 아니라 시설 관리, 경영 지식, 인사관리 등 많은 정보를 익혀야 해요. 전문직이라고도 볼 수 있어요. 그냥 농업인이 아니라 독립 농업 경영인이 돼야 해요.
또한, 농사 기술은 물론 다년간 쌓은 노하우, 이를 통해 현장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제대로 파악해야 비로소 스마트 기술을 농업에 접목할 수 있어요. 이걸 아는 농부가 스마트 농부예요. 물론, 이런 농부를 그냥 육성할 수는 없죠. 그래서 굿파머스그룹은 도제식으로 가르쳐요.”
청년 농부를 인턴 농부로 채용해 6개월간 가르치면서 딸기 농사가 적성에 맞는지를 평가한다. 이 기간이 지나면 인턴 농부는 레지던트 농부가 된다. 2년, 두 작기간 함께 땀흘려 일하면서 우공의 딸기정원이 쌓은 농사 노하우를 전수한다. 그러면 레지던트 농부는 혼자 딸기 농사를 지을 정도로 성장한다. 이후에는 독립할 것인지, 우공의 딸기정원에서 계속 일할 것인지 선택한다.
그래서 박홍희 대표는 청년 농부 멘토링이 자선사업이 아니라고 강조한다. 믿고 함께 일할 수 있는 농부 파트너를, 소중한 자원인 청년 농업인을 키우는 일이라고 말한다. 청년 농업인이 농업의 미래, 스마트 농업을 이끌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나아가 정부의 청년 농부 지원사업도 바뀌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 일단 농촌의 세대교체가 일어나죠. 나아가 청년 농부들이 중장년 농부에게 의지할 수 있게 돼요. 기업의 임원이 신입사원을 가르치듯, 중장년 농부가 청년 농부를 가르쳐야 해요. 롤 모델이 되는거죠. 하지만, 지금은 온통 청년 농부 지원과 교육 뿐이예요. 중장년 농부는 외면받죠. 중장년 농부는 지원이 없으니 귀농할 생각도 못해요. 그러니 청년 농부는 기대고 배울 사람이 없어 실패하고, 실망하고 다시 도시로 가요. 바뀌어야 할 농촌 노령화가 바뀌지 못해요.
중장년 농부가 청년 농부에게 비전과 성공 확신을 줘야 해요. 농촌 현장에서도 중장년 농부를 원해요. 경험 많은 노년 농부와 패기 넘치는 청년 농부를 연계할 중장년 농부는 귀농의 기반, 모범이 됩니다. 정부가 농부 지원책을 더 유연하면서도 끈끈하게 운영했으면 합니다.”
스마트 농업의 교두보, SI 기업 굿파머스시스템
스마트 팜 너머에 있는 세계, 스마트 농업이야말로 혁신적인 개념이지만,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농업의 일부 기술에만 관심이 모이고, 농업 산업 전반의 품질을 높일 혁신 기술은 그리 주목받지 못한다. 미래 농업을 이끌 젊은 스마트 농부를 키우는 것도 때로는 벅차게 느껴진다.
이 아쉬움을 조금씩 이겨내고자, 나아가 고치고자 박홍희 대표는 SI 기업 굿파머스시스템을 세웠다. 그가 꿈꾸는 이상적인, 진짜 스마트 농업을 현실로 이끌 교두보다.
“굿파머스시스템은 스마트 농업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와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입니다. 일단 딸기 스마트 농업에만 한정했어요. 제가 가장 잘 해왔고 또 할 수 있는 분야니까요.”
“굿파머스시스템은 딸기 재배 노하우는 물론 복합 환경제어 시스템, 딸기 생산출하와 유통관리, 고객주문관리와 ERP(전사적 자원관리)까지 통합한 패키지를 제공하는 기업이예요.
우공의 딸기정원에서 우직하게 실전 농업 경력을 쌓은 우공, 젊은 스마트 농부들은 단시간에 스마트 딸기 재배장을 만들 수 있어요. 이 재배장을 여러곳 모으면 딸기 재배 네트워크가 만들어집니다. 이 딸기 재배 네트워크를 손쉽게 관리하는 시스템도 굿파머스시스템이 제공합니다. 재배장간 거리는 무관해요. 심지어 해외에 있는 재배장도 통합 패키지로 관리하면 문제 없어요.
이렇게 되면 해외에도 딸기 스마트 농업을 전파할 수 있게 돼요. 굿파머스그룹의 목표는 ‘세상 모든 이에게 농업과 농촌, 행복과 가치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누구나 딸기를 손쉽게 재배해서 먹을 수 있도록 하고 싶어요. 이쯤 되면 그룹의 목표를 이룬 셈이 아닐까요?”
박홍희 대표가 설명한 굿파머스시스템의 비전은 ‘현장의 목소리를 담은 스마트 농업’이다. 목 마른 사람이 우물을 잘 판다. 수년간 농사를 직접 지어본 농부는 지금 농촌에 어떤 ICT가 필요한지 안다.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안다. 현장과 동떨어진 스마트 농업이 아니라, 농부의 고충을 풀고 풍성한 결과물을 보여주는 진짜 스마트 농업을 꿰뚫어보고 또 만드는 것이 박홍희 대표의 목표다.
“딸기를 수확해 수출할 때, 지금은 모든 절차를 손으로 해요. 예를 들어 1500kg 딸기 수출건이 들어왔다고 가정할게요. 그러면 먼저 농장마다 일일이 전화해서 생산량을 언제, 어느정도 채울수 있는지 말로 물어보고 손으로 수치를 기록하는 거예요. 이런 식이니 생산량 계측도 못해요. 그러다 1500kg 무게를 못 채운다면? 어느 농장이 물량을 얼마나 못냈는지 알수 없어요. 또 전화를 돌려야 하고, 응답은 없고, 집하장에서는 답답해서 난리가 나는거죠.
이런 문제를 겪어봤으니 해결책도 알게 됩니다. 제대로 된 ICT를, 체계적인 생산과 유통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면 이런 문제는 간단히 해결돼요.”
우공의 딸기정원 농장을 넓히고 청년 스마트 농부를 도제식으로 키운다. 스마트 농업을 써서 딸기의 상품 경쟁력과 안정된 물량을 확보한다. 굿파머스시스템의 농업 통합 패키지가 힘을 거든다. 판로가 넓어지면 또다른 우공의 딸기정원과 스마트 농부가 생긴다. 양질의 딸기를 생산하는 선순환 생태계가 마련된다. 박홍희 대표의 청사진이다.
“천천히, 우직하게 산을 옮긴 우공처럼 우리 농업의 미래 양상 바꾸고파”
굿파머스그룹의 브랜드 이름 ‘우공의 딸기정원’은 사자성어 ‘우공이산(愚公移山, 사람들이 어리석다고 이야기해도 천천히, 묵묵히 일하면 언젠가 산을 옮기는 것처럼 큰 일을 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본딴 것이다. 박홍희 대표의 발자취, 나아가 그의 미래를 잘 표현하는 단어다.
“우공을 어리석다고 생각하지 말고, 좋은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 정직하게 일하는 사람이라 생각해주세요. 농업을 사랑하는, 스마트 농업을 이해하고 이끌 수백명의 농부가 나온다면, 우공이 큰 산을 옮긴 것처럼 우리 농업의 양상을 바꿀 수 있을 겁니다.”
글 / IT동아 차주경(racingcha@i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