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드론 장려 위한 '우리드론 알림-e', 중국 논에 물대기 되나

남시현 sh@itdonga.com

[IT동아 남시현 기자]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가 항공안전기술원(원장 김연명)과 함께 국산 드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우리드론 알림-e(헬프데스크)'를 운영한다. 우리드론 알림-e는 항공안전기술원 홈페이지와 전화상담 등을 통해 드론 전문가의 상담을 진행하고, 정확한 국산 드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공공기관의 적극적인 국산 드론 추진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현재 공공분야에서의 드론 보유량은 2017년 300여 대에서 최근 2,900여 대로 크게 증가하였으나, 드론 도입 시 가격이나 사양 등 요구 수준에 맞는 국산 드론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외산을 선택하는 사례가 있어왔다. 국토교통부는 항공안전기술원의 드론 전문가 30여 명을 우선 투입하고, 추후 전문 분야별 지원을 통해 국내 기관의 국산 드론의 투입을 적극 장려할 예정이다. 하지만 국내 내수 시장 활성화를 위해 공공 기관이 국산 드론을 앞장서서 구매하는 것이 국내 드론기업의 경쟁력 확보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다.

문제는 산업 경쟁력, 신토불이는 정답 아냐

국토교통부가 추진 중인 K드론시스템 개요.
출처=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가 추진 중인 K드론시스템 개요. 출처=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가 2017년 발표한 「드론산업 발전 기본계획 ('17~'26)」에 따르면, 국가·공기관 업무에 필요한 드론을 구매함으로써 국내 드론 산업의 빠른 성장을 지원하겠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5년간 3,700여 대, 3,500억 원 규모로 구매하는 게 계획이다. 지난 4일 서비스 시작을 알린 '우리드론 알림-e' 역시 공공 수요 촉진을 위한 발판이라 볼 수 있다.

문제는 국산 드론의 국산화율이 높지 않다는 데 있다. 국산 드론의 FC(비행제어장치)는 작년에야 국산화에 성공했고, 많은 중소기업이 기술 개발보다는 중국산 부품을 가공해 드론을 생산하고 있다. 이 와중에 공공기관이 국내산 드론을 도입한다면, 그 수익 대부분은 중국 부품 제조업체로 흘러 들어갈 수밖에 없다. 결국 3,500억 원을 투입할 공공기관용 드론 구매 비용은 드론 산업에 대한 경쟁력 확보보다는 보여주기식 사업에 그칠 공산이 크다.

경쟁력 확보 위해 명확한 시장 방향성 제시해야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발표한 「중국 과학기술·신산업 혁신 역량 분석 - 중국의 드론 굴기와 한국의 대응 전략」에 따르면, 중국은 드론 시장의 후발 주자임에도 정부 단위의 정책 육성과 지방 정책으로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전 세계 시장 점유율 70%를 가져올 수 있었다.

중국제 드론이 시장을 점령하고 있는 이유는 가격이 낮아서가 아니라, 완성도가 뛰어나서다.
출처=IT동아
중국제 드론이 시장을 점령하고 있는 이유는 가격이 낮아서가 아니라, 완성도가 뛰어나서다. 출처=IT동아

중국 중앙 정부는 매년 드론 제조업 발전 촉진과 규범에 관해 지시하고 ▲드론 시스템의 국제 표준 제정 ▲ 드론 관리 플랫폼 구축 ▲ 제품 안정성과 품질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제품 테스트 및 인증을 3대 과제로 삼는 등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DJI 본사가 위치한 선전시 역시 지방 정책과 법안을 통해 드론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고, 중국 드론의 표준화 같은 지원도 아끼지 않고 있다. 덕분에 중국 드론 시장은 부품 생산 및 제조, 시스템 모듈과 완제품 연구 개발 및 제조, 교육 훈련과 비행, 정보 서비스로 균형 잡힌 드론 시장을 갖췄으며, 매년 1.5배 이상의 매출 증가하고 있다.

중국이 드론 시장에 광폭 행보를 보이는 배경은 4차 산업혁명에서의 패권주의를 위해서다. 하지만 시장은 행동보다는 결과를 중시한다. 전 세계 민간 드론 시장의 70%가 중국산인 이유는, 가격이나 물량이 많아서가 아닌 품질과 경쟁력이 압도적이기 때문이다. 이에 맞서는 우리 역시 남의 논에 물 대는 정책이 아닌, 드론 산업 육성에 명확한 목표와 방향성을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