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I/O 2016] 구글의 미래를 책임질 7가지 신기술
[마운틴뷰=IT동아 강일용 기자] 구글의 개발자 행사 구글 I/O 2016이 18일 미국 캘리포니아 마운틴뷰 쇼어라인 야외극장에서 개최됐다. 구글 I/O는 올해로 10번째 생일을 맞이하는 구글의 기술 및 미래를 소개하는 자리다. 주로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렸지만, 올해는 1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구글 본사 옆 야외 무대에서 진행되었다.
구글 I/O는 이제 애플의 개발자 행사 WWDC를 제치고 명실상부 세계 최대 규모의 개발자 행사에 등극했다. 올해는 7,000명 이상의 개발자와 400명 이상의 언론인이 행사에 참여했다. 올해 구글 I/O에서는 어떤 신기술과 비전이 공개되었을까? 7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구글 어시스턴트, 구글 홈, 구글 알로&듀오, 안드로이드N, 데이드림, 인스턴트 앱, 파이어베이스 등이다. 구글의 7가지 신기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간략히 정리했다.
구글 어시스턴트
구글 어시스턴트(Google Assistant)는 구글의 차세대 음성 비서 서비스다. 딱딱한 단어 조합은 필요없다. '이봐 구글, 오늘 볼만한 영화는 어떤 게 있을까?' 같이 사람에게 말 걸듯이 자연스럽게 물어보면 된다. 구글의 자연어 인식 기술을 통해 완성된 이 기술을 활용하면, 구글 검색어를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고, 검색 결과를 음성으로 들을 수 있다. 스마트폰, 스마트TV, 스마트 오디오, 스마트 전등 등 다양한 사물인터넷 기기도 음성만으로 조작할 수 있다. TV 시청, 음식 만들기 등 딴 일을 하면서도 기기를 조작할 수 있고,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구글 어시스턴트는 스마트폰에서 이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나, 이를 좀 더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구글은 스마트 오디오 겸 사물 인터넷 허브인 '구글 홈'을 함께 공개했다.
구글 홈
구글 홈(Google Home)은 가정 내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구글의 사물 인터넷 허브다. 사용자가 구글 홈에게 음성으로 명령을 내리면 인터넷과 구글 클라우드를 거쳐 가정 내 사물인터넷 기기에 사용자의 명령이 전달된다. 구글 홈을 활용하면 사용자는 음성 만으로 TV, 스피커, 전등 등을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다. 단순히 조작하는 것을 넘어 집안 내 사물인터넷 기기의 현재 상태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구글 홈은 음악 재생을 위한 스피커 기능도 함께 갖추고 있다. 구글 홈은 올해 연말에 판매를 시작한다.
구글 알로&듀오
구글 알로(Allo)는 인공지능 인스턴트 메신저다. 카카오톡에 인공지능을 활용한 자동 답변 기능을 추가한 것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알로는 사용자 간 대화내용을 분석해 상대방의 말을 알아듣고, 여기에 대한 답변을 미리 입력해준다. 상대방이 알로를 통해 '오늘 7시 홍대에서 만나는게 어때?'라는 메시지를 보내면 사용자의 답변 입력 창에는 'XX에서 파는 파스타가 맛 있다더라. 거기서 만나자', '6시부터 홍대입구 7번출구에서 공사가 있데, 너무 복잡하지 않을까?', '나는 홍대보다 합정이 더 좋아' 같은 예문이 나타난다. 알로가 제공하는 답변은 아무렇게나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알로가 상대방이 보낸 메시지 속 단어를 분석한 후 이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미리 예측해서 보여주는 것이다. 단어 뿐만 아니라 사진도 분석해서 관련 답변을 미리 준비해준다. 최근 MS나 페이스북이 공개한 인공지능 채팅 API처럼 구글의 인공지능 '챗봇'과 대화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구글 듀오(Duo)는 모바일 영상통화 앱이다. 가장 큰 특징은 전화를 받기 전부터 상대방의 얼굴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알로와 듀오는 올해 여름 구글 플레이스토어를 통해 출시된다. 구글의 기존 메신저&영상통화 앱 '행아웃'과는 별개의 서비스다.
안드로이드N
안드로이드N은 안드로이드6.0 마시멜로의 뒤를 있는 차세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다. 안드로이드N의 가장 큰 특징은 뛰어난 3D 그래픽 처리 능력이다. 차세대 3D 그래픽 API '벌칸'을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로도 실감나는 3D 그래픽을 즐길 수 있다. 운영체제의 근간인 컴파일러도 교체해 앱 설치속도와 실행속도도 한층 빨라진다. 1.5~6배에 이르는 성능 향상 효과가 있다. 멀티태스킹 능력도 강화된다. 이제 공식적으로 한 화면에 두 개 이상의 앱을 띄울 수 있고, 동영상을 감상하면서 다른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사실 사용자가 실감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N의 가장 큰 특징은 가상현실을 정식 지원하는 모바일 운영체제라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것은 다음 데이드림 문단에서 설명한다.
안드로이드N은 늦은 여름에 정식 공개된다. 최신 넥서스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으면 안드로이드N 오픈 베타 프로그램(https://www.google.com/android/beta)에 참여할 수 있다. 구글은 사용자가 안드로이드N의 이름을 제안할 수 있는 이벤트도 함께 진행한다.
데이드림
데이드림(Daydream)은 구글의 가상현실 플랫폼이다. 운영체제&스마트폰, 가상현실 헤드셋&콘트롤러, 가상현실 앱이라는 삼 박자로 구성되어 있다. 안드로이드N은 가상현실을 본격 지원한다. 안드로이드N을 탑재한 스마트폰은 각각의 제조사가 개발한 가상현실 헤드셋에 연결하면 바로 가상현실용 사용자환경으로 전환된다. 가상현실 사용자환경에서는 미리 탑재된 가상현실 앱을 실행하거나, 내려받을 수 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 유튜브, 스트리트 뷰도 가상현실 및 데이드림을 위해 새롭게 설계되었다. 구글 카드보드가 누구나 저렴하게 즐길 수 있는 가상현실을 목표로 개발된 반면, 데이드림은 보다 실감나고 보다 뛰어난 가상현실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삼성전자와 페이스북의 기어VR 프로젝트와 시장에서의 위치가 겹친다.
데이드림 프로젝트는 삼성전자(그렇다. 양 다리다!), LG전자, 화웨이, HTC, 알카텔 등 거의 대부분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개발사가 참여한다. 이들이 데이드림용 스마트폰과 가상현실 기기를 개발한다. 훌루, 넷플릭스, MLB, 아이맥스, EA, 유비소프트 등 쟁쟁한 콘텐츠 개발사가 데이드림용 게임과 앱을 제작한다. 데이드림은 올해 가을 시작된다.
인스턴트 앱
인스턴트 앱(Instant Apps)은 웹앱의 진화형이다. 앱의 기능 가운데 일부를 웹에서 구현하는 것이다. 때문에 사용자는 특정 앱을 설치하지 않아도 해당 앱의 기능 일부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보자. 구글 검색에서 '노트북'이라고 검색하면 검색 결과에 다양한 노트북이 뜬다. 과거에는 여기서 특정 쇼핑몰의 앱을 설치한 후 결제를 진행해야 했다. 인스턴트 앱 기능을 활용하면 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구글 검색 결과에서 바로 노트북의 사양과 가격을 확인하고 결제를 선택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페이 등 스마트폰 속에 내장된 핀테크 기능이 실행되고 바로 결제가 마무리된다. 쇼핑 뿐만 아니라 SNS 등 다른 서비스에도 적용된다.
파이어베이스
파이어베이스(Firebase)는 개발자가 자신이 개발한 모바일 앱의 완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개발도구다. 사용자 환경을 조금 더 세련되게 다듬고, 여러 기기에서 정상 실행되는지 검수하고, 사용자가 앱과 서비스를 어떻게 이용하는지 분석하는데 이용된다. 앱의 개발 전반을 담당하는 비주얼 스튜디오&자마린, 이클립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등과는 조금 다른 개념이다. 파이어베이스를 활용하면 1인 개발사 또는 스타트업들이 더욱 쉽게 앱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파이어베이스의 기능 대부분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환경 자동 다듬기 등의 일부 고급 기능은 이용 시간당 과금 형태로 제공한다.
이밖에 구글은 머신러닝을 활용한 로봇(기계 팔) 기능 향상, 머신러닝을 위한 전용 프로세서 TPU(텐서플로 프로세싱 유닛) 등도 함께 공개했다. 구글 I/O 2016은 이제 시작이다. IT동아의 기사도 이제 시작이다. 이제 분석 기사를 통해 구글 I/O에서 공개된 7(+1)가지 신기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글 / IT동아 강일용(zero@i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