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의 '안드로이드 실버' 프로젝트, 넥서스의 변화?
지난 2010년 1월, 구글이 HTC와 함께 처음으로 레퍼런스(표준) 스마트폰 '넥서스 원'을 선보였다. 넥서스 시리즈의 시작이다. 넥서스 시리즈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태블릿PC의 길잡이 역할을 담당한다. 안드로이드는 iOS와 달리 제조사에게 공개한 모바일 운영체제. 때문에 각 제조사가 선보이는 안드로이드 기기는 같은 듯 다르다. 글쎄. 요즘 유행하는 노래 가사처럼 구글은 각 제조사가 선보이는 안드로이드 기기를 '내꺼인 듯 내꺼 아닌 내꺼 같은 너'로 바라보지 않을까.
넥서스 시리즈는 제조사마다 다른 안드로이드 기기의 기준선이다. 그래서 레퍼런스 폰이다. 구글이 생각하는 '안드로이드 기기는 이런 것'이라는 메시지를 담는다. 이렇게 기준을 만들고, 어떻게 만들면 잘 '최적화'할 수 있을지 알린다. 구글은 넥서스 원을 시작으로 넥서스S(삼성전자, 2010년 12월), 갤럭시 넥서스(삼성전자, 2011년 11월), 넥서스7(에이수스, 2012년 6월), 넥서스4(LG전자, 2012년 11월), 넥서스10(삼성전자, 2012년 11월), 넥서스7 2013(에이수스, 2013년 7월), 넥서스5(LG전자, 2013년 11월) 등을 순차적으로 선보인 바 있다.
확실히 구글과 함께 넥서스를 선보인 제조사들은 안드로이드를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 노하우를 제대로 배웠다. 각 제조사들이 다음에 선보이는 안드로이드 기기는 '정말 알고 만든' 셈이다. 안드로이드와 하드웨어의 최적화를 이해하고 제작하기에 기기 성능은 자연스럽게 향상됐으며, 배터리 효율, 앱 호환, 업그레이드 문제 등도 해결됐다. 안드로이드 기기 전체의 경쟁력이 그만큼 강화됐다고 이해해도 좋다.
넥서스는 저렴한 가격도 장점이다. 초기 구글이 직접 넥서스를 판매할 당시에는 지금처럼 마냥 '싼' 가격은 아니었지만, 시간이 흘러 지금은 동급 기기의 절반 가격 정도에 넥서스를 판매한다. 구글이 이같은 가격 정책을 세울 수 있는 이유는 간단하다. 넥서스는 이익을 남기기 위해 판매하는 제품이라기보다 안드로이드의 표준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 안드로이드 시장과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수단 중 하나라고 이해하는 것이 맞다. '이익'을 포기했으니 가격은 자연스럽게 내려갈 수밖에 없다.
넥서스, 진정 안드로이드 레퍼런스 폰일까
최근 구글은 고민에 빠졌다. 넥서스 시리즈를 선보이는 이유와 목표, 전략 등이 처음 의도했던 바와 달리 큰 실효성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넥서스 시리즈를 구글이 선보이며, 제조사들에게 안드로이드 관련 정보와 최적화 등의 경쟁력을 올린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넥서스 시리즈는 타 안드로이드 기기와 달리 강제성이 없다. 참고할 뿐이다. 결국 제조사는 자사에 필요한 것만 적용하고, 넥서스는 넥서스일뿐, 별도의 안드로이드 기기를 선보인다. 오히려 갤럭시 넥서스처럼 구글이 제조사의 의견을 반영해 제품명을 바꾼 사례도 있을 정도.
물론, 넥서스 시리즈는 개발자 및 개발사에게 레퍼런스폰으로서 정체성을 분명히 가지고 있다. 다만, 그것일 뿐. 이통사도 넥서스 시리즈를 그리 달갑게 생각하지 않는다. 제휴나 마케팅, 프로모션 등의 활동을 지원 받을 수 없기 때문. 오히려 넥서스 가격 자체가 저렴하니 상대적으로 다른 안드로이드 기기가 비싼 것 아니냐는 '거품 가격' 논란을 야기하는 골칫거리에 가깝다.
넥서스 시리즈로 안드로이드 진영의 경쟁력을 강화한 것은 맞다. 문제는 구글의 의도대로 결정할 수 있는 부분이 적다는 점. 전세계 안드로이드 기기 중 삼성전자 갤럭시S 시리즈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63.3%에 달한다. 주요 시장조사업체는 이 자료를 통해 안드로이드 상태계에서 구글보다 삼성전자의 영향력이 더 높은 것이라고 주목한다. 이 같은 시장 상황을 통해 업계는 구글이 넥서스 시리즈에 대한 전략을 다시 한번 재고할 것이며, 새로운 프로젝트 '안드로이드 실버'를 준비 중이라고 말한다.
안드로이드 실버, 결국 주도권을 찾아오겠다는 것
안드로이드 진영에서 구글 스스로 주도권을 가져오겠다는 의도는 이미 여러 번 보였다. 대표적인 사례는 삼성전자 갤럭시S4 구글에디션, LG전자 G패드8.3 구글에디션, HTC ONE 구글에디션 등이다. 넥서스 시리즈 제품은 아니지만, 구글이 인증한 기기라는 뜻으로 '구글에디션'을 선보였다. 구글에디션을 하나의 인증 제도로 만들어, 해당 제품은 구글이 인정했다는 의미를 담은 것. 하지만, 이 제품들은 일반 사용자의 손에 들어가지 않고, 결국 일부 안드로이드 개발자 손에 들어갔다. 제조사와 이통사의 호응을 얻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구글은 일부 제조사들이 선보인 안드로이드 기기의 부팅 단계에 'Powered by Android'라는 문구를 노출하도록 강제하기도 했다. 최근 삼성전자가 출시한 갤럭시S5도 전원을 껐다가 켜면 이 문구가 뜬다. 하지만, 그다지 큰 실효는 거두지 못했다(아니, 실효를 거두지 못한 것이 아니라 더 이상 얻을 실효가 없다고 판단하자). 과거 PC나 노트북을 사면 '인텔 인사이드', '지포스', '라데온' 등의 스티커가 붙어 있지만, 사용자들은 크게 반응하지 않았던 것과 유사하다.
안드로이드 실버는 구글이 다시 안드로이드 생태계에서 주도권을 찾아오겠다는 전략적 프로젝트다. 제조사 또는 이통사가 안드로이드 기기를 출시할 때 자체적으로 미리 탑재하는 앱 종류나 개수 등을 제한하며, 되도록 순정 안드로이드를 사용하게 유도하겠다는 것. 이에 대한 보상책도 마련 중이다. 제조사에게는 안드로이드 탑재를 위한 기술에 대해 알려주고, 이통사에게는 마케팅 비용을 지원한다. 투자를 통해 비용 절감 효과를 주고, 조금씩 주도권을 가져오겠다는 전략이다.
아직 이 같은 구글의 움직임을 시장에서 어떤 의미로 받아 들일지 알 수 없다. 초기 안드로이드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크게 성장하고 있는 애플의 iOS와 아이폰, 아이패드에 대한 견제 카드로 성장했다. 제조사와 이통사 모두 '이대로는 안된다'라는 공감 하에 구글이 공개한 안드로이드를 사용했다. 딱히 대안책도 없었다. 당시 다른 모바일 운영체제 윈도폰 모바일, 블랙베리 등도 폐쇄적으로 운영했기 때문이다.
구글은 제조사, 이통사와 견해차를 어떻게 좁힐 수 있는지 고민해야 한다. 미리 탑재하는 앱을 제한하면, 과연 어느 이통사가 안드로이드 실버를 반길 수 있을까. 이통사뿐만 아니라 삼성전자를 위시한 몇몇 제조사도 자체 스토어와 앱 생태계 서비스를 이미 제공 중이다. 삼성전자 갤럭시 시리즈에 '삼성 앱스'가 없고, LG G시리즈 'LG 스마트 월드'가 없다? 글쎄. 사용자는 반길지 모르겠지만, 이통사와 제조사가 과연 이를 반길 수 있을까.
물론, 구글이 안드로이드 실버를 어떻게 실행할 것이라고 밝힌 바는 없다. 계획이나 세부 조항 등을 공식적으로 어필한 적은 없다. 넥서스 시리즈처럼 제품을 선보이는 방식일지, 구글에디션처럼 인증 부여 방식일지, 아직 알 수 없다. 다만, 구글이 안드로이드 생태계 주도권을 조금씩 되찾기 원하는 것은 분명하다. 이 같은 구글의 행보가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지켜보는 것도 재미있지 않을까.
- 해당 기사에 대한 의견은 IT동아 페이스북(www.facebook.com/itdonga)으로도 받고 있습니다.
글 / IT동아 권명관(tornadosn@i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