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IT 총결산] 영상과 음향, UHD와 무손실 음원

강일용 zero@itdonga.com

2013년 한해, 영상과 음향의 화두는 두 단어로 정의할 수 있다. UHD(울트라 HD)와 무손실 압축음원(무손실 음원)이다. UHD는 3,840x2,160 해상도를 뜻한다. 풀HD(1,920X1,080)의 4배에 이르는 수치다. UHD TV가 같은 크기의 풀HD TV보다 4배 더 선명하다는 뜻이다. 삼성전자, LG전자가 올해 초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13에서 UHD TV를 공개하며 UHD 시대의 개막을 알렸고, 델, 에이수스 등 모니터 제조사도 UHD 모니터를 출시하며 거들고 나섰다.

무손실 압축음원이란 스튜디오에서 막 제작된 24bit 192kHz 형식의 음악 파일을 뜻한다. FLAC, ALAC(애플 무손실 음원), ATRAC(소니 무손실 음원) 등 종류도 다양하지만, 라이선스 비용 문제 때문에 누구나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는 FLAC이 대세로 떠올랐다.

CD, MP3 등 손실 압축음원은 인간의 귀에 들리지 않는 주파수 대역을 잘라내 파일 용량을 크게 줄인다. 반면 무손실 압축음원은 음을 고스란히 유지한 채 파일 용량을 줄인다. 때문에 용량을 줄이는 데 한계가 있기 마련. 3분 내외의 노래라 해도 용량이 보통 100MB를 넘기 일쑤다.

무손실 압축음원은 신시사이저로 제작한 대중 음악보다 클래식 등 일반 악기로 제작한 음악을 들을 때 그 진가가 드러난다고 평가 받고 있다.

삼성전자 시리즈9 UN55F9000AF

삼성전자 시리즈9 UN55F9000AF
삼성전자 시리즈9 UN55F9000AF

UHD 시대의 서막을 알린 제품은 85인치 UHD TV지만, 소비자에게 친숙하게 다가온 제품은 삼성전자의 55인치 UHD TV '시리즈9 UN55F9000AF'다. 시리즈9 UN55F9000AF 의 가장 큰 특징은 수 천만 원을 호가했던 UHD TV의 가격을 일반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을 정도로 낮춘 데 있다(인터넷 최저가 기준 380만 원 내외). 물론 55인치 TV치고는 비싼 편이다. 하지만 풀HD TV보다 4배 선명한 점을 감안하면, 생각보다 납득할만한 가격이다.

시리즈9 UN55F9000AF 는 아직 UHD 콘텐츠가 부족한 점을 감안해, 풀HD 콘텐츠를 업스케일링한 후 이를 보다 선명하게 보여주는 기술을 탑재했다. 하지만 HDMI 단자를 2.0이 아닌 1.4 버전을 채택해 'UHD 60Hz(60프레임) 영상' 입력을 받지 못하니 구매할 때 주의해야 한다.

델 울트라샤프 32 UP3214Q

델 울트라샤프 32 UP3214Q
델 울트라샤프 32 UP3214Q

TV에만 UHD 열풍이 불어 닥친 것은 아니다. 모니터에도 UHD의 바람이 불었다. 대표적인 사례가 얼마 전 국내에 출시된 '델 울트라샤프 32 UP3214Q' 모니터다. UP3214Q는 UHD 해상도를 갖춘 델의 최고급 모니터다. 또, 프리미어 컬러 기술을 적용해 색상을 정확히 표현한다. 99% 어도비RGB 및 100% sRGB를 지원하는 광색역 모니터란 뜻이다. 또, DP 1.2A 단자를 지원해 UHD 60Hz 영상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참된 UHD 모니터다.

아이리버 AK100

아이리버 AK100
아이리버 AK100

올해 초 아이리버가 신기한 제품을 내놨다. AK100, 바로 무손실 압축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MP3 플레이어다. AK100은 기존 MP3 플레이어와 달리 '원음에 가까운 음'을 재생할 수 있다. MP3의 샘플링 주파수는 44~48KHz에 불과하지만, 무손실 압축음원의 샘플링 주파수는 48~192kHz에 이른다. 때문에 무손실 압축음원은 MP3보다 음을 보다 풍부하고 깊게 담을 수 있다. CD를 능가하는 음질이다.

아이리버는 AK100에 울프슨의 고급 DAC(Digital Analog Converter,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 디지털 음향 기기에 반드시 사용한다) 'WM8740’을 내장해, 보다 선명한 음악을 들려주는 데 집중했다. AK100 이후 소니 NW-F880 등 무손실 압축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MP3 플레이어가 시장에 속속 등장했고, LG G2, 삼성전자 갤럭시노트3 등 스마트폰도 무손실 압축음원 재생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핵심은 콘텐츠

삼성허브 뮤직
삼성허브 뮤직

UHD와 무손실 압축음원, 둘 다 핵심은 콘텐츠에 있다. 과거 TV업계의 화두였던 3D TV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서다. 한때 3D TV는 미래의 TV 형태로 각광 받았지만, 콘텐츠 부족과 장시간 시청이 힘든 점 등이 부각돼 판매량이 급격히 줄었다.

삼성전자, LG전자 등 제조사는 내셔널지오그래픽, KBS 등 콘텐츠 사업자와 손잡고 UHD 콘텐츠 확보에 나섰다. 또, 현대 HCN, CJ 헬로비전, C&M, CMB, 티브로드 등 케이블TV 사업자와 협력해 UHD 드라마, 다큐멘터리 등을 공급해나갈 계획이다.

무손실 압축음원도 마찬가지다. 아이리버는 그루버스라는 무손실 압축음원 판매 서비스를 개시했고, 삼성전자 역시 삼성허브 뮤직을 통해 무손실 압축음원을 공급하고 있다. 벅스, 멜론 등 국내 음원 판매 사업자도 무손실 압축음원 전용 판매 메뉴를 신설하고 콘텐츠 공급에 앞장서고 있다.

2014년 하반기를 전후해 UHD 디스플레이, 무손실 압축음원 재생 기능을 갖춘 기기의 보급이 활성화될 전망이다. 그때까지 관련 콘텐츠를 얼마나 확보할 수 있을지 여부에 UHD, 무손실 압축음원의 성패가 달려있다.

글 / IT동아 강일용(zero@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