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A "서울형 R&D 시험·인증 생태계 완성, 규제 인증 장벽 완화"

[IT동아 차주경 기자] 서울시와 서울경제진흥원(이하 SBA, 대표이사 김현우)은 11월 18일 FITI시험연구원과 '서울형 R&D 지원기업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서울형 R&D 과제가 기획·개발·검증·사업화·글로벌 진출 등 전 과정에서 요구하는 기술검증·시험인증·ESG 대응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아울러 SBA가 지난 2년간 구축해 온 공인시험·인증기관 협력 생태계를 완성하는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

SBA는 2023년에는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2024년에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과 업무협약을 맺고 기술개발 목표의 실효성과 과제 내용과의 적합성 등을 연구개발 시작 전 진단해볼 수 있는 객관적 검증 시스템을 전국 최초로 마련해 운영했다.

이번 FITI시험연구원과의 협약은 이 구조에 섬유·소재·환경·모빌리티·도시인프라·지속가능성(ESG) 분야까지 폭넓은 산업군을 추가하는 것으로, 서울형 R&D 전주기 시험·인증 생태계를 사실상 ‘완성 단계’로 진입시키는 협약이다.

FITI시험연구원은 1965년 설립된 국제공인시험기관(KOLAS 제1호)으로, 섬유를 비롯해 소비재, 환경, 탄소·친환경, 바이오·헬스, 도시인프라, 소재·부품, 모빌리티 등 전 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수준의 시험·인증 역량을 가졌다. 국내 16개, 해외 10개 시험거점을 기반으로 한 FITI시험연구원의 검증망은 서울형 R&D 기업이 글로벌 사업화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강력한 지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FITI시험연구원과 업무협약을 맺는 김현우 SBA 대표이사(왼쪽에서 네 번째) / 출처=SBA
FITI시험연구원과 업무협약을 맺는 김현우 SBA 대표이사(왼쪽에서 네 번째) / 출처=SBA

이번 협약을 통해 두 기관은 서울형 R&D의 전 과정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협력을 추진한다. 먼저 기획 단계에서 FITI시험연구원 전문가가 ‘연구 정량지표 진단’ 과정에 참여해 과제별로 필요한 시험·인증 항목을 사전에 도출하고, 국내·외 규격 대응 및 ESG·환경 기준을 포함한 연구개발 로드맵을 함께 설계한다. 사업 종료 후 인증 절차에서 발생하는 일정 지연이나 비용 증가 문제를 줄이기 위해, 초기 단계부터 명확한 시험·인증 기준을 확립하는 것이 핵심이다.

사업화 단계에서는 FITI가 보유한 시험시설과 장비를 활용한 성능·안전·환경성 평가를 제공하고, 서울형 R&D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시험·인증 수수료 할인 및 우선 서비스 제공도 검토된다. 여기에는 KS·KC 등 국내 인증뿐 아니라 CE, ISO 등 해외 규격 대응, 그리고 Oeko-Tex, ISCC, Higg Index, SLCP, ZDHC 등 글로벌 지속가능성·노동·환경 분야 인증까지 포함된다.

한편, SBA는 서울형 R&D 지원사업의 연구목표를 정량화하고 기술사업화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11개 사업 총 153개 과제를 대상으로 1차 서면·2차 대면 진단을 실시했다. KCL,KTR,TTA 전문가 41명이 참여해 연구개발계획서 진단 및 연구개발 과제 정량목표 재설정 등 연구과제 수행 중 발생하는 기술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진단을 진행했다.

SBA의 연구지표 진단 프로그램은 현재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가 추진하는 R&D 실효성 강화 기조와 맞닿아 있다. 기존에는 지원사업 종료 후 결과보고 위주로 평가가 이뤄졌지만, 서울경제진흥원은 협약 이전 단계에서 과제를 검증하고, 수행 중간에 지속적으로 피드백하는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공공 R&D 관리방식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고 있다.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추진 중인 R&D 지원사업의 한계로 지적되어온 ‘성과 측정의 실효성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SBA가 최초로 도입한 진단 체계로 연구개발의 실질적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서울경제진흥원의 선도적인 시도로 평가받고 있다.

김현우 SBA 대표이사는 “FITI시험연구원과의 협력은 서울형 R&D를 세계 표준에 맞춘 글로벌 검증 플랫폼으로 고도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KTR, KCL, TTA에 이어 FITI시험연구원까지 합류함으로써 서울형 R&D는 기획부터 글로벌 진출까지 ‘풀스택 지원체계’를 갖추게 됐다”며 “서울의 혁신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통할 기술을 만들 수 있도록 더욱 촘촘하게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IT동아 차주경 기자(racingcar@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