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를IT다] 2025년 5월 1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강형석 redbk@itdonga.com

[IT동아 강형석 기자] 투자를 하려면 기업, 금융가 정보 등 다양한 정보에 관심을 가져야 된다. 기업이 발표한 실적과 뉴스에 대한 시장 판단이 투자 흐름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기업의 주가 흐름이 좋은지 아닌지 판단하려면 시장의 상황도 면밀히 파헤쳐야 된다.

[투자를IT다]는 IT동아가 다루는 주요 IT 기업의 뉴스와 시장 분석을 통해 최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자는 취지로 마련했다. 2025년 5월 1주차 IT 산업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주요 기업 소식과 시장 흐름을 정리했다.

[투자를 유도하는 게 아니며 모든 자료는 참고용으로 작성됐습니다. 모든 매매에 대한 선택과 결과에 따른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팔란티어(PLTR) – 2025년 1분기 실적 공개

2025년 5월 5일(미국 현지 기준),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alantir Technologies)는 2025년 1분기 실적을 공개했다. 총 매출 8억 8400만 달러(약 1조 2387억 원)로 이전 분기 대비 7%, 전년 동기 대비 39% 상승한 수치다. 시장이 예상한 총 매출 8억 6400만 달러(약 1조 2107억 원)를 상회했다. 미국 내 소프트웨어 도입 증가에 따른 매출 상승이 영향을 줬다. 팔란티어의 자료에 따르면, 미국 민간 부문 수익은 이전 분기 대비 19% 증가한 2억 5500만 달러(약 3573억 원)를 기록했다. 미국 정부를 대상으로 기록한 수입도 이전 분기 대비 9% 증가한 3억 7300만 달러(약 5226억 원)에 달했다.

알렉산더 케이프먼 카프 팔란티어 최고경영자 / 출처=팔란티어
알렉산더 케이프먼 카프 팔란티어 최고경영자 / 출처=팔란티어

팔란티어는 2025년 2분기 실적 전망치로 9억 3400만 달러(약 1조 3088억 원)에서 9억 3800만 달러(약 1조 3146억 원)를 제시했다. 시장이 예상한 9억 달러(약 1조 2613억 원)를 상회한 것으로 향후 기업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효율성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 등이 성장 제한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알렉산더 케이프먼 카프(Alexander C. Karp) 팔란티어 최고경영자(CEO)는 “미국의 재산업화가 팔란티어의 소프트웨어에서 진행되고 있다. 인공지능을 아직 이해하지 못한 유럽도 가까운 미래에 인공지능을 도입할 것으로 기대한다. 현재 온톨로지와 인공지능, 인공지능 플랫폼으로 성공을 이끌고 있다. 팔란티어는 국가 안보 분야에서 파트너가 승리하도록 보장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AMD(AMD) – 2025년 1분기 실적 공개

2025년 5월 6일, AMD는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총 매출 74억 4000만 달러(약 10조 4271억 원)로 시장이 기대한 71억 1000만 달러(약 9조 9646억 원)를 상회했다. 2024년 1분기 54억 7300만 달러(약 7조 6693억 원)와 비교하면 36% 상승했지만, 이전 분기 매출액 76억 5800만 달러(약 10조 7311억 원)에 비하면 3% 하락한 수치다. 하지만 매출 총이익 50%, 영업 이익률 11%로 이전 분기와 큰 차이가 없었다.

리사 수 AMD 최고경영자 / 출처=AMD
리사 수 AMD 최고경영자 / 출처=AMD

데이터 센터 부문의 성장이 실적을 이끌었다. AMD 에픽(EPYC) 프로세서와 인스팅트(Instint) 인공지능 가속기 판매 성장을 앞세워 매출 37억 달러(약 5조 1848억 원)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57% 상승한 수치지만, 이전 분기와 비교하면 5% 감소했다. 이 수치가 엔비디아와 경쟁에서 밀린 것인지 데이터 센터 운용 기업의 투자 규모 축소에 따른 것인지 판단하려면 오는 2025년 5월 28일 발표될 엔비디아의 실적 자료가 중요하다.

일반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카드(GPU)가 포함되는 클라이언트 부문은 23억 달러(약 3조 2223억 원) 매출로 이전 분기 대비 소폭 하락했지만, 게이밍 부문은 6억 5000만 달러(약 9106억 원) 매출로 이전 분기 대비 소폭 성장했다.

리사 수(Lisa Su) AMD CEO는 “핵심 사업의 탄탄한 성장, 데이터 센터와 인공지능 모멘텀 확대로 4분기 연속 성장 중이다. 변동성이 큰 거시 경제와 규제 속에서도 AMD는 차별화된 제품군과 실행력을 앞세워 성장을 위한 입지를 다질 것”이라고 말했다.

Arm(ARM) – 2025년 1분기 실적 공개

2025년 5월 7일, Arm은 2025년 1분기 실적을 공개했다. 총 매출 12억 4000만 달러(약 1조 7372억 원)로 시장이 예상한 11억 4000만 달러(약 1조 5971억 원)를 상회했다. 라이선스 부문 매출이 6억 3400만 달러(약 8879억 원)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자동차, 스마트 기기, 사물인터넷(IoT) 등 다양한 산업군에 걸쳐 라이선스 매출이 증가한 결과다. 르네 하스(Rene Haas) Arm CEO는 “라이선스 부문 성장은 Arm의 다각화 전략의 결실”이라고 강조했다.

르네 하스 Arm 최고경영자 / 출처=Arm
르네 하스 Arm 최고경영자 / 출처=Arm

Arm은 2025년 하이퍼스케일러의 새 서버 프로세서(중앙처리장치) 중 50%가 Arm 기반 제품이 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하이퍼스케일러는 인공지능 서비스 기반 대규모 데이터 센터와 클라우드 인프라를 갖춘 곳이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등이 대표적인 하이퍼스케일러다. 이들 하이퍼스케일러 기업은 현재 데이터 센터 증설 경쟁 중인데, 대부분이 엔비디아 블랙웰(Blackwell) 플랫폼으로 구성됐다. 블랙웰에 탑재되는 그레이스 칩은 Arm 기반 중앙처리장치다.

르네 하스 CEO는 Arm V9 기반 프로세서가 공급되면 점유율은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구글 액시온, 마이크로소프트 코발트 100, AWS 그라비톤 등이 포함된다. Arm은 중앙처리장치 점유율 확대와 라이선스 부문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2025년 2분기 실적 예상치를 언급하지 않았지만, 시장은 7억 9276만 달러(약 1조 1103억 원)를 예상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반영한 수치라는 평가다.

인공지능 시장 성장세는 현재진행형, 미국발 관세는 변수

세 기업의 실적을 정리해 보면 2025년 1분기 인공지능 시장 성장세는 현재 진행형이다. 하지만 모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반영 이전의 실적이라는 점이 시장의 불안감을 키웠다. 트럼프 행정부는 2025년 4월 2일(이하 현지 기준), 미국으로 수입되는 대부분 제품에 보편 관세 10%를 부과했다. 상호 관세는 중국만 145%가 적용된 상태다.

2025년 4월 12일, 미국 관세청은 트럼프 대통령의 각서에 따라 특정 관세 코드(HTSUS – Harmonized Tariff Schedule of the United States Codes) 품목을 상호 관세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대통령 각서(Presidential Memoranda)는 정책 방향 또는 특정 조치를 지시하기 위한 공식 문서다. 제외 품목으로는 ▲컴퓨터ㆍ컴퓨터 부품 ▲반도체 제조 장비 ▲스마트 기기 ▲네트워크 장비 ▲저장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기타 반도체 제품 등이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2025년 4월 13일,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곧 열릴 국가 안보 관세 조사를 통해 반도체와 전자제품 공급망 전체를 검토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전자제품 관세 면제도 완전 면제가 아니라 다른 관세 분류의 적용을 곧 받게 될 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서비스 및 반도체 기업은 2025년 2분기 실적 예상치를 보수적으로 제안하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기업의 대응을 예의주시 중이다. 다만, 2025년 5월 10일부터 미국과 중국이 관세 협상에 돌입한다는 점은 기대감을 준다. 결과에 따라 투자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를 유도하는 게 아니며 모든 자료는 참고용으로 작성됐습니다. 모든 매매에 대한 선택과 결과에 따른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IT동아 강형석 기자 (redbk@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