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과 불안 불러오는 스마트폰 중독... 디지털 디톡스 필요해
[IT동아 정연호 기자] 스마트폰 중독은 치료가 필요한 질환일까? 전 세계 정신의학계 표준 진단 기준인 DSM-5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DSM-5에는 스마트폰 중독이 정신질환으로 등재되지 않았다. 다만, 학계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이 정신 및 신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계속 쏟아져 나오고 있다.
스마트폰 중독을 가늠하는 기준은 아직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일부 학자들이 제시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스마트폰 사용 때문에 다른 사람과의 관계가 나빠짐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할 때 불안하고 화가 남 ▲스마트폰 사용을 줄이라는 주변 사람의 말을 무시함 등이다.
통계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 네 명 중 한 명은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이다(한국지능사회정보원 조사). 스마트폰 과의존인 사람들은 스마트폰 의존을 조절하지 못하며, 다른 활동보다 스마트폰을 현저히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이들은 스마트폰 때문에 신체적·심리적·사회적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경험해도 사용을 멈추지 못한다.
스마트폰을 통해 할 수 있는 일이 많아지면서 사용 시간과 빈도가 늘어난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해 우려의 대상인 청소년의 경우 학업 스트레스를 풀 때 스마트폰을 대신할 대안도 찾기 어렵다.
직장인도 스트레스와 불안을 해소할 때 스마트폰을 찾는다. 김경은의 논문 ‘직장인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보면 직장인 여성은 직장과 가정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직장인 남성은 부정적인 감정을 털어내지 못하고 내적으로 억압하면서 생기는 불안이 스마트폰 중독을 부추겼다. 연구는 직장인 329명의 스마트폰 이용특성 설문 응답을 분석해 진행됐다.
스마트폰 중독, 우울과 불안 등과 연관성 있어
스마트폰 중독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중독 현상과 우울증·불안·불면증 등의 부정적인 영향 사이에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두 요인 간의 연관성은 국내외의 수많은 연구를 통해 입증된 바 있다.
스마트폰의 적절한 사용은 사회성 발달에 부정적이지 않지만, 과도한 사용은 사람과의 관계를 대체해 사회성 발달을 저하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김병년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논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병년은 고등학생 339명이 스마트폰 중독 및 사회성 척도와 관련된 설문에 답하게 한 뒤 이를 분석해 논문을 썼다. 그는 “우리나라 청소년은 SNS나 메신저를 통해서 교류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사용이 사회관계의 단절만을 의미하진 않는다”고 분석했다.
이경은과 김시헌이 대학생 1236명을 조사한 연구에선 스마트폰 의존 점수가 1점 올라갈 때 남성과 여성 각각 비정상적 불안이 10.1%, 9.2% 높아졌다는 결과가 나왔다.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늘어날수록 의존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결과는 미국 공중보건국 공식 학술지 ‘공중 보건 보고서(Public Health Reports)’ 2016년 5, 6월호에 실렸다.
스마트폰 중독이 10대들의 자살률, 자살생각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결과들도 있다. 미국에선 2010 ~2015년 동안 10대의 자살률이 65% 높아졌는데, 진 M. 트웬지와 토머스 조이너는 2018년 1월 미국심리학회지에 발표한 스마트폰 중독 관련 논문에서 자살률의 급증이 10대들의 정신건강, 스마트폰 사용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주장했다.
연구팀은 “스마트폰을 5시간 이상 사용하는 집단의 48%는 자살에 대해 생각한 적이 있다. 스마트폰을 하루 1시간 사용하는 집단에선 28%만 같은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국내에서도 비슷한 연구결과가 있었다.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송윤미 교수팀은 5만 4603명이 참여한 '2017년 한국 청소년 위험 행동 설문조사(KYRBS)’를 분석한 논문을 대한가정의학회지 2020년 3월호에 발표했다. 이들은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늘어날수록 우울감을 느끼고 극단적인 생각과 시도를 할 위험이 커진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원인으로 수면이 부족해져 느끼는 스트레스와 우울감, 가족이나 지인과 교류가 줄면서 사라진 사회적 지지를 언급했다.
Zubair Ahmed Ratan 연구팀은 전 세계에서 나온 서로 다른 연구 27건을 분석해 스마트폰이 사람의 심리 및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논문으로 발표했다. 스마트폰 중독의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우울증과 불안이었고, 목디스크나 불면증의 관련성도 확인됐다. 연구논문은 국제 학술지 ‘환경 연구와 공중 보건(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21년 11월호에 게재됐다.
중독에서 벗어나려면 스마트폰 멀리하는 노력이 필요해
스마트폰 중독에서 벗어나려면 의식적으로 사용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사용을 일시적으로 멀리하는 디톡스가 방법으로 거론된다. 알코올 중독자들이 치료 과정에서 술을 끊는 것처럼, 스마트폰도 한 달 정도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한 달이 너무 길다면 디톡스 기간을 하루, 일주일, 한 달 천천히 늘릴 수도 있다. 디톡스를 끝낸 후, 스마트폰 사용을 언제 어떻게 할 것인지 계획을 정하는 게 좋다고 한다. 디톡스 자체가 어렵다면 저녁 시간 이후로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도록 잠금 앱을 사용하는 것을 권한다.
전문가가 권하는 좀 더 실용적인 방법은 SNS나 OTT처럼 자주 사용하는 앱 디톡스를 하는 것이다. 아예 앱을 지우는 것을 추천하는 전문가도 있다. 대신, 스포츠 등의 활동적인 취미생활을 하라는 것이다. 앱에서 알람 기능을 꺼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식사 시간, 침대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규칙을 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마트폰을 침대와 멀리 두면 아침 알람을 듣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대신해 알람 시계를 구매하는 경우도 있다.
글 / IT동아 정연호 (hoho@i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