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3. 암호화폐와 코인에 관한 기본 지식

이문규 munch@itdonga.com

[IT동아]

[편집자주: 본 연재는 ‘가상자산’ 또는 ‘디지털자산’에 관한 올바른 인식 정립과 정확한 이해를 돕고자 기획됐습니다. 가상자산은 미래의 시장 경제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리라 전망되지만, 투자, 수익 등 단편적 기능에만 매몰되어 가상자산의 진정한 가치가 왜곡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연재를 통해 가상자산의 의미와 가치, 시장성 등 근본적 개념과 정보를 전달하려 합니다. 본문 내 의견과 내용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지난 1, 2회 연재에서는 암호화폐가 가상자산으로 불리게 된 배경부터, 전반적인 이해와 시장 상황, 성장 가능성, 주요 이슈 등을 총론 형태로 다뤘던 터라 일반 독자들이 이해하기에는 다소 어려웠을 수 있다. 이에 이후 연재부터는 각론으로 들어가서, 작은 단위별로 설명하며 좀더 쉽게 이해하도록 구성하려 한다.

암호화폐와 코인

암호화폐는 글자 뜻 그대로, 암호 처리된 화폐를 말한다. '암호화'를 의미하는 'crypto-'와, 화폐의 'currency'의 합성어로 'cryptocurrency'라는 단어를 한역해 '암호화폐'라 부르고 있다. 여기서 이 'cryptocurrency'를 영어권에서는 어떻게 정의하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영문 위키피디아의 정의에 의하면, 암호화폐는 정부나 은행과 같은 중앙기관에 의존하지 않고,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 매체로 작동하도록 설계된 디지털 통화다. 거래 당사자가 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돈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분산형 시스템으로, 두 엔티티(지갑) 간에 자금이 이체될 때 은행과 같은 전통적인 중개자가 필요하지 않고, 네트워크상의 디지털 장부에 기록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구조로 얻는 장점은 탈중앙화, 익명성이며, 장부를 참여한 여러 서버에 동일 내용으로 저장되므로 사실상 위변조가 불가능하다.

암호화폐는 중개자 없이 동작하는 독자적인 네트워크(또는 플랫폼) 상에서 발행, 사용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코인'이라 특별하게 부르고 있다. 첫 암호화폐가 비트코인이라 그냥 '코인'이라고 통칭하고 있다. 암호화폐를 코인이라고 부르는 명확한 이유와 기준은 딱히 없다.

네트워크와 코인

한번에 기록되는 데이터 묶음을 '블록(Block)'이라 한다. 이 블록을 체인(사슬)처럼 구성해, 블록을 만들때 이전 블록 정보를 참조해 만들면 블록간 체인으로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그래서 이를 '블록체인'한다. 블록을 만들어 이를 합의(인정)하고 유지하려면 기술적인 네트워크 체계가 필요한데, 동일한 규약(프로토콜)으로 만들어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이 네트워크 상에서 블록를 만들어 준 대가와 장부기록 수수료 등이 적용되는데, 이때 사용하는 화폐가 이 네트워크의 기축통화인 코인인 것이다. 즉 하나의 특정 블록체인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또는 플랫폼)와 코인이 한쌍이 되는 것이다.

코인을 사용하여 운영되는 네트워크를 '메인넷'이라고 하고, 이 코인 기반의 블록체인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테스트넷'도 존재한다. 국내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야기하면 '클레이튼'을 빼놓을 수 없다. 카카오의 블록체인 자회사인 그라운드X가 개발한 퍼블릭 블록체인 메인넷이며, '클레이(KLAY)' 코인을 사용한다. 한편 게임개발사인 위메이드도 자체 '위믹스' 메인넷을 개발했고, 코인은 '위믹스 달러'다. 테라 메인넷을 사용했던 컴투스도 테라 사태 이후 대안을 찾기 위해 자체 메인넷인 ‘엑스플라(XPLA)’을 구축해 운영을 시작했다.

출처=클레이튼 홈페이지
출처=클레이튼 홈페이지

주요 코인

이제 '코인'이라면 특정 네트워크(메인넷)을 말하는 것이라 이해하면 된다. 그럼 어떤 메인넷이 있고 그 메인넷 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각자의 블록체인 기술을 발전시켜 자신만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면서 다양한 네트워크가 생겨나고 그 네트워크를 위한 코인이 만들어졌다.

제공=곽노건
제공=곽노건

코인의 보관(확인), 송금, 스왑(교환)을 위해서는 (전자)지갑이 필요하다. 특히 여러 블록체인 네트워크 세상에 있는 나의 암호화폐를 하나의 지갑에서 모두 관리하는 편리한 지갑이 아무래도 좋다. 일례로 케이민트 지갑은 주요 메인넷을 지원하여,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주요한 코인과 토큰을 사용할 수 있고, 송금 및 스왑을 매우 쉽고 편리하게 처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출처=케이민트 홈페이지
출처=케이민트 홈페이지

코인 생태계

블록체인 생태계(blockchain ecosystem)는 블록체인과 관련된 주체들의 상호 작용과 사회적, 기술적 환경이 이루는 체계를 의미한다. 생성된 블록체인이 성장하며 발전할 수 있는 체계이기도 하다. 크게 '거버넌스', '크립토이코노미', '기술' 등 3개 요소로 생태계가 구성된다. 이때 사용되는 크립토를 중심으로 언급한다면 이것이 해당 코인의 생태계가 된다. 블록체인 생태계가 개념적 구성과 체계라면, 코인 생태계는 특정 블록체인을 만들어 특정한 목적으로 활용, 성장, 발전하고 싶은 주체들이 만들어낸 코인으로 이름을 붙인 좀더 현실적인 모습이라 여기면 된다.

한편, 거버넌스는 블록체인의 정치적 측면을, 크립토이코노미는 경제적 측면을, 기술은 블록체인의 지식 측면을 나타낸다. 그리고 각 요소는 서로 의존적인 부분이 있다. 크립토이코노미는 기술의 개발, 지원 가능성과 거버넌스의 지속이 있어야 의미가 있다. 특히, 기술이 있어야 이 모든 것이 가능하다. 아래 그림은 한국의 블록체인 생태계를 정리한 것으로, 비즈니스 영역별로 구분되어 있다.

출처=해시넷
출처=해시넷

계속되는 기술 발전이 코인 생태계, 즉 블록체인 생태계를 키울 것이고,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하여 우리 일상 전반에서 활약할 것이라 예상한다. 블록체인에 대한 이야기는 차후 다시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

글 / 동국대학교 국제정보보호대학원 곽노건 겸임교수

현재 블록체인/가상자산 지갑서비스 및 컨설팅 전문회사인 비피엠지에서 사업개발을 맡고 있으며, IT 개발 및 컨설팅 경험을 가지고 프로그래밍 분야 비롯해 다양한 IT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정리 / IT동아 이문규 (munch@itdonga.com)

자료참조 : 블록체인 서비스 사이트, 위키피디아, 해시넷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