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인 MVNO, 블루오션 되나
지난 2012년 3월 29일, 방송통신위원회가(이하 방통위) ‘이동통신 재판매 서비스 활성화 종합계획’을 발표하면서 MVNO의 시장 점유율이 부각되고 있다. 이번 발표 내용을 살펴보면, 이동통신 재판매(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이하 MNVO) 사용자도 최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이동통신사(이하 이통사)들이 제공하는 부가서비스/국제로밍/와이파이존 등도 점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MVNO 관련 기사도 심심찮게 눈에 띈다. 그렇다면 과연 MVNO란 무엇인가. 일반인들에게 MVNO는 아직도 생소한 단어이다. 단지 그 내용에 대해서만 어렴풋이 알 뿐이다. 단어가 뜻하는 의미를 100% 이해하는 이는 드물다.
MVNO란, 이동통신재판매사업자를 의미하는데, 조금 더 쉽게 풀어 이야기하면 이동통신망을 이미 보유한 네트워크운영사업자의 통신망을 공유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를 말한다. 다르게 말하면 SKT, KT, LG유플러스의 망을 빌려서 사용자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미 CJ헬로비전, KCT(한국케이블텔레콤) 등이 MVNO 서비스를 하고 있다. 참고로, MVNO는 1990년대 후반, 유럽의 이통사들이 남는 이통망을 이용하기 위해서 시작했으며 국내에서는 ‘전기통신사업법개정안(MVNO법)이 통과된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MVNO의 서비스와 요금체계는 기존 이통사보다 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보자. CJ헬로비전이 제공하고 있는 실시간 인터넷TV 티빙(tving)이라는 서비스가 있다. 기존 이통사가 제공하지 않는 이러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별도로 제공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좀 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MVNO는 이통사로부터 통신망을 빌려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관리비나 유지비의 부담이 없다. 또한, 새로운 망을 구축하기 위한 투자 비용도 없다. 이로 인해 소비자가 부과하는 요금은 기존 이통사보다 적은 것이다.
지금부터 최근 새롭게 개정된 MVNO 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단말기 수급환경 개선, 선택의 폭을 넓히다!
MVNO는 이통사가 6개월 전에 출시했던 단말기(휴대폰, 스마트폰 등)만 보급할 수 있었고, 이통사의 동의 없이는 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등)로부터 단말기를 받을 수 없었다. 하지만 최근 방통위는 재고단말기부터 최신단말기까지 지원 범위를 확대하였고, 이통사 중심의 단말기 유통구조를 다양화하기 위해 ‘단말기 자급제’를 시행했다. 단말기 자급제는 블랙리스트 제도라고도 불린다. 이 제도는 도난당하거나 분실된 단말기를 리스트 형식으로 관리하고, 리스트에 해당되지 않는 단말기는 손쉽게 개통할 수 있는 제도이다.
유심(USIM)의 재발견, 더 편리해졌다
유심(USIM, 가입자 식별카드)을 단말기 간 쉽게 바꿀 수 있도록 했다. 지금까지 유심은 이통사에서 각 단말기와 1:1로 등록할 수 있도록 관리했다. 예를 들어, 이미 유심이 꽂혀있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다가 새 스마트폰을 구매하면, 사용하던 유심을 다시 새 스마트폰에 등록해야 했다(또는 아예 유심도 새로 구매하기도 한다). 이제는 이와 같은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사용하던 유심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리고 유심을 통해 교통카드, 신용카드 등의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소비자 중심의 MVNO 체제, 인식 드높여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재판매 사업자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개선이다. 방통위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4~5월 중 공모를 통해 MVNO를 알릴 수 있는 용어를 마련할 예정이다. 그리고 언론이나 기타 광고 등의 홍보를 통해 재판매 서비스가 어떠한 것인지, 앞으로 전망은 어떠할 것인지를 알리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통 3사도 MVNO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난 3월, SKT의 MVNO 가입자는 10만 명을 넘어섰다. 해외 로밍 등의 부가서비스를 이용해 사용자 확대에 나서고 있다.
MVNO 활성화, 시장 체제의 개선
현 시장상황을 보자. 지금 스마트폰을 사려면 이통사를 꼭 통해야만 한다. 스마트폰을 제조하는 삼성전자, LG전자에서 물건을 돈 주고 사는 것이 아니다. 이통사의 매장에 가서 스마트폰 요금제에 가입을 하면, 스마트폰은 (마치) 잡지의 별책부록처럼 따라오는 형식이다. 이상하지 않은가. 세탁기나 냉장고를 살 때는 삼성전자, LG전자의 매장에 가서 사는 데 말이다.
방통위가 MVNO를 확대하려는 의도는 지금의 체제를 개선할 수 있다. MVNO 확대는 편협하게 돌아가는 현 시장상황에 변화를 꾀할 수 있다. 스마트폰 제조사는 스마트폰을 팔고, 이통사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면 그만이다. 그리고 여기에 MVNO도 이동통신 서비스를 선보인다. 사용자는 (제조사로부터) 스마트폰을 구매하고 난 이후, 이통사 또는 MVNO 중 원하는 곳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선택’해 이용하면 된다.
소비자는 여기에서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된다. 기존 이통사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소비자는 그대로 이통사를, 요금이 싼 가격의 서비스를 원한다면 MVNO를 선택하면 된다. 중요한 것은 소비자의 선택이다. MVNO 활성화 이후에는 사용자가 스스로 입맛에 맞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글 / IT동아 허미혜(wowmihye@i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