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60% "스마트폰 없으면 불안하다", 스마트폰 의존도 상승

이문규 munch@itdonga.com

[IT동아]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전국 만 13세~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의존도' 및 '디지털치매'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기기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기억력이나 계산 능력이 떨어지는 '디지털 치매' 현상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먼저 전체 응답자의 64.2%가 '스마트폰이 없으면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것 같다'고 답할 만큼 현대인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상당히 높아졌다. 특히 20대~30대가 스마트폰이 개인의 삶에 끼치는 영향력이 높다고 평가했다(10대 53%, 20대 75%, 30대 70%, 40대 61.5%, 50대 61.5%).

또한 63.9%의 응답자는 업무나 공부할 때도 스마트폰을 가까이에 둔다고 밝혔으며, 궁금한 건 다른 사람에게 물어보기보다 스마트폰으로 검색한다는 응답자가 10명 중 7명(70.3%)에 달했다. 하루의 대부분 시간을 스마트폰을 보며 지낸다는 이들(42.8%)도 결코 적지 않다.

스마트폰 의존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폰 의존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폰은 이제 PC보다 더 활용도가 높은 디지털기기가 됐다. 디지털기기 중 스마트폰이 가장 중요하고(14년 58.8%→17년 66.4%→19년 71.4%), 컴퓨터 웹서핑보다 스마트폰 웹서핑이 더 편하다(14년 23.4%→17년 43.4%→19년 48.1%)는 인식이 전반적으로 더욱 강해졌다.

10명 중 6명 "스마트폰을 두고 나오면 불안해"

이처럼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은 만큼 스마트폰이 없는 상태를 못 견디는 모습은 어쩌면 당연하다. 전체 10명 중 6명(61.7%)이 스마트폰이 없으면 불안하다고 응답했는데, 이들 중 20~30대가 스마트폰 부재에 따른 불안감(10대 55%, 20대 68%, 30대 66.5%, 40대 56%, 50대 63%)도 가장 많이 느끼고 있었다.

스마트폰 의존도 및 불안감 관련 인식
평가
스마트폰 의존도 및 불안감 관련 인식 평가

더불어 10명 중 4명(39.9%)은 스마트폰이 '몸 가까이'에 없으면 불안하다고 밝혔다. 자기 전에 스마트폰을 손에 가깝게 두거나, 아예 손에 쥔 채 잠을 자고(14년 49.2%→17년 59.1%→19년 64.8%), 화장실에도 스마트폰을 가지고 가는(14년 58.5%→17년 61.4%→19년 65.5%) 이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여가시간 활동에도 스마트폰, 저연령일수록 스마트폰 이용 비중 높아

사용자들이 여가시간에 가장 많이 하는 활동도 '스마트폰'의 이용(69.7%, 중복응답)이다. 특히 남성(62.6%)보다는 여성(76.8%), 그리고 저연령층일수록(10대 77%, 20대 77%, 30대 67.5%, 40대 67.5%, 50대 59.5%) 여가시간에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비중이 높다.

여가시간에 주로 하는 활동
여가시간에 주로 하는 활동

그 다음으로 TV시청(44.6%)과 컴퓨터 이용(40.1%), 게임(29.5%), 영화감상(26.2%)도 여가시간을 많이 차지하는 활동으로 꼽혔는데, 요즘에는 이런 활동에도 역시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추세다. 여가생활에서도 스마트폰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자 송수신과 음성통화 등 전화 본연의 기능을 제외하고, 하루 평균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시간도 1~3시간(36.7%) 또는 3~5시간(33.2%)으로, 스마트폰을 손에 쥐고 있는 활동하는 시간이 상당히 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63.7%가 학업과 업무에 디지털기기를 사용

스마트폰을 비롯한 디지털기기를 업무나 공부에 활용하거나, 틈틈이 사용하는 모습도 일반화됐다. 전체 응답자의 63.7%가 평소 학업이나 업무를 수행할 때 디지털기기를 통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매우 하는 편 21.6%, 약간 하는 편 42.1%)고 응답했다.

특히 저연령층일수록 학업과 업무 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향(10대 74%, 20대 73.5%, 30대 70%, 40대 58%, 50대 43%)이 뚜렷했고, 업무나 공부 도중 카카오톡(69.2%, 중복응답)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음악듣기(55.7%)와 유튜브 감상(38.2%), 뉴스 보기(29.6%), 쇼핑(22.9%), 인스타그램(22.1%), 게임(22.1%)이 뒤를 이었다.

그렇다면 학업과 업무 수행 시에 이뤄지는 이러한 ‘멀티태스킹’에 대해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멀티태스킹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업무나 학업을 할 수 있다는 주장(40%)보다는 디지털기기의 사용으로 인해 집중력이 분산돼서 효율적으로 업무 및 학업을 하기가 어렵다는 시각(60%)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절반은 "나도 디지털 치매에 해당되는 것 같다"

이렇듯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아지다 보니, 그에 따른 우려의 목소리도 커질 수밖에 없다. 일상을 디지털기기에 의존하다 보니 기억력이나 계산 능력이 떨어지는 상태를 일컫는 '디지털 치매' 현상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다.

디지털 치매 자가 평가
디지털 치매 자가 평가

응답자의 2명 중 1명(51.3%)이 자신이 디지털 치매에 해당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치매에 대한 우려는 여성(남성 47.6%, 여성 55%)과 20~30대 연령층(10대 45%, 20대 56%, 30대 60.5%, 40대 50%, 50대 45%)이 많이 가지고 있었다.

디지털 치매에 대한 '불안감'이 있다고 답한 사용자(43.9%)도 꽤 많은 편이다. 또한 전체 62%가 최근 들어 집중력이 점점 더 떨어지는 것 같다고 말했으며, 절반 정도(50.8%)는 잘 알고 있던 내용이 정확히 기억나지 않을 경우 바로 스마트폰으로 검색한다고 응답했는데, 이런 경험과 행동 역시 디지털 치매 현상이 확산되고 있음을 방증한다.

인터넷 검색창을 실행한 뒤 무엇을 검색하려 했는지 기억이 나지 않을 때도 있어

응답자의 67.8%가 간단한 더하기와 뺄셈도 계산기를 이용하고 있으며, 날짜를 기억하기 보다는 스마트폰으로 확인해 인지하는 경우가 더 많다고 말한 사용자가 60.1%나 됐다. 무엇을 찾고, 확인하는 일련의 과정이 스마트폰을 통해 습관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2명 중 1명은 인터넷 검색창을 열고도 무엇을 검색하려 했는지 기억이 나지 않을 때가 종종 있고(50.7%), 불과 5분 전 떠올랐던 생각도 기억나지 않을 때가 있다(49%)고 밝히기도 했다. 내비게이션 없이는 길을 제대로 찾지 못하는 사람(43.6%)도 적지 않다.

디지털 치매의 위험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연령대로는 20대 직장인(39%, 중복응답)과 고등학생(35.1%), 중학생(31.8%), 30대(30.9%) 순이다. 즉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기기를 많이 사용하는 젊은 세대가 디지털 치매의 위험에 더욱 많이 노출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응답자 78.3% "디지털 치매 문제는 사회적 차원에서 다뤄져야 할 문제"

디지털 치매 현상의 심각성에는 거의 대부분이 공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응답자의 78.3%가 디지털 치매 문제는 이제 개인이 아닌 사회적인 차원에서 다뤄져야 한다고 바라본 것이다. 특히 여성(남성 73.8%, 여성 82.8%)과 중장년층(10대 74%, 20대 76.5%, 30대 74.5%, 40대 86%, 50대 80.5%)이 디지털 치매가 사회적인 문제라는데 보다 많이 공감하고 있다.

디지털 치매 관련 전반적 인식
평가
디지털 치매 관련 전반적 인식 평가

이런 시각에는 스마트폰이 일상화된 요즘에는 디지털 치매는 자연스러운 현상이고(66.4%), 연령과 상관 없이 겪을 수 있다(88.6%)는 생각이 자리하고 있었다. 누구라도 디지털기기의 일상 사용으로 인해 기억력이나 계산 능력이 떨어지는 경험을 하고 있는 만큼, 사회적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분위기다.

반면 디지털 치매 문제를 자신과는 상관없는 일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16%)는 거의 없으며, 디지털 치매는 병이 아니기 때문에 심각하게 생각할 필요가 없고(18.8%), 그저 건망증에 가까운 것이라면서(27.7%) 간과하는 사람들도 적었다.

다만 아직까지는 디지털 치매를 예방/치유할 수 있는 문제로 여긴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대부분은 디지털 치매는 충분히 예방 가능한 문제이며(88.6%), 노력하면 충분히 치유될 수 있다(87.2%)는 희망적 견해를 갖고 있으며, 10명 중 7명(71.6%)은 디지털 치매의 예방을 위한 교육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66.4%는 "향후 디지털 치매 예방을 위해 노력할 의향이 있다"

개인 차원’에서 디지털 치매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도 많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응답자의 66.4%가 향후 디지털 치매의 예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응답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20대(71.5%)와 40대(72%)가 디지털 치매의 예방에 좀더 깊은 관심을 보였다.

디지털 치매 예방 활동 의향
디지털 치매 예방 활동 의향

디지털 치매 예방법 중에서 가장 시도해보고 싶어하는 것은 스마트폰 사용 대신에 운동이나 야외활동(50.8%, 중복응답)이었다. 간단한 계산은 암산으로 하고(40.8%), 사람들과 얼굴을 맞대고 대화를 나누며(36.5%), 여유시간에는 스마트폰 대신 종이 신문이나 책을 읽겠다(33.3%)는 의향도 비교적 많았다. 대부분 스마트폰 사용 이전에는 지극히 자연스럽게 이뤄지던 활동들로, 가끔씩은 스마트폰이 없는 '아날로그 문화'가 그립다고 말하는 응답자(58%)의 속마음도 읽어볼 수 있다.

글 / IT동아 이문규 (munch@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