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 대안 ‘로봇’…핵심부품 국산화율은 절반 이하

김동진 kdj@itdonga.com

[IT동아 김동진 기자] 글로벌 저출산·고령화 추세 속에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국이 인력부족을 호소하고 있다. 이 가운데 부족한 일손을 벌충할 대안으로 로봇이 꼽히면서 관련 시장이 급팽창하고 있다. 각국이 글로벌 로봇 산업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막대한 투자를 단행하는 이유다. 반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우리나라 로봇산업의 핵심기반은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제조업 로봇을 기준으로 핵심부품의 국산화율이 절반 이하인 것으로 조사돼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출처=엔바토엘리먼츠
출처=엔바토엘리먼츠

주요국 로봇산업에 막대한 투자 단행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이 최근 발간한 '글로벌 로봇산업 지형 변화 및 국내 정책 대응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로봇 시장은 지난 2021년부터 2026년까지 연평균 17.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로봇산업이 이처럼 급격히 성장하는 배경으로 전 세계적인 추세인 저출산과 고령화가 꼽힌다. 여기에 코로나19와 미중 무역분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대외 불확실성을 경험한 주요국 기업들이 사업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해외 공급망을 자국으로 이전하는 리쇼어링(Reshoring)을 적극 추진한 점도 영향 요인이다. 여기에 제조 공정을 자동화해 생산성을 높일 핵심 요소로 로봇을 앞다퉈 도입하는 수요까지 더해져 실제로 지난해 글로벌 산업용 로봇 설치 대수는 역대 최다인 53만1060대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는 지난 2018년 42만3000대에서 10만대 이상 증가한 수치다.

로봇산업이 이렇듯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자, 주요국은 주도권을 쥐기 위해 막대한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일례로 미국은 5년 단위 범부처 사업인 '국가로봇이니셔티브(National Robotics Initiative, NRI)'를 통해 로봇산업 육성을 적극 지원하는 한편, 로봇을 ‘국가중대신흥기술전략’에 포함해 중국을 대상으로 로봇 핵심기술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독일은 디지털 기술을 통한 제조 혁신 달성 및 경쟁력 제고를 목적으로 추진하는 인더스트리 4.0(Industry 4.0)을 중심으로 자동화 및 로봇 R&D를 지원하고 있으며, 일본은 최근 ‘경제안전보장추진법’을 제정해 특정중요물자와 첨단중요기술에 로봇을 포함, 지원책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

중국은 로봇과 항공우주, 전기차, 반도체 등 10개 하이테크 제조업 분야에서 기술 자급자족을 달성해 제조업 초강대국으로 부상하겠다는 목표를 담은 '중국제조 2025'를 통해 로봇 및 자동화 공정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비즈니스 부문 디지털 전환을 비롯한 로봇 산업 발전에도 막대한 투자를 지속할 전망이다.

韓 로봇 부품 국산화율 절반 이하…기술개발 및 실증사업 지원 적극 확대해야

우리나라도 2008년 제정한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 이후 세 차례에 걸쳐 ‘지능형 로봇 기본 계획’등을 수립하며 로봇 보급 확대에 주력했지만, 완성품을 구성하는 핵심부품과 소프트웨어 핵심 기술 경쟁력은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출처=엔바토엘리먼츠
출처=엔바토엘리먼츠

산업연구원(KIET)에 따르면 제조용 로봇의 핵심 부품 국산화율은 ▲모터 38.8% ▲감속기 35.8% ▲센서 42.5% ▲제어기 47.9% 등 절반 이하이며, 구동부 부품의 국산화율은 20%대, 로봇을 제어할 소프트웨어(SW) 국산화율은 30% 초반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정휘상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기술동향조사실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원가 비중이 높은 모터와 감속기, 센서 등 핵심부품의 상당 부분을 일본과 독일 등에 의존하고 있어 공급망 혼란 시 대응이 어려운 상황에 봉착할 가능성이 높다”며 “특히 핵심부품 중 고정밀 감속기와 서보모터는 일본 기업이 글로벌 시장의 80% 이상을 장악하고 있어 기업 단독으로 공급망 다변화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핵심 부품 국산화를 위해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한 이유"라고 밝혔다.

정 연구원은 이어 “미중 갈등 지속으로 글로벌 로봇산업 공급망 역시 재편될 가능성이 있어 산업계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며 “글로벌 선도기업의 락인 효과를 극복하고 국산 로봇이 국내외 시장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서 완제품 제조역량 강화와 함께 부품, 소프트웨어 핵심기술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 로봇 핵심부품의 국산화 제고를 위한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 지원을 적극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전했다.

글 / IT동아 김동진 (kdj@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