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IT] 교통 정보계의 빅 데이터, C-ITS란?
알아두면 쓸만한 신기한 IT지식. "IT에 관심은 있지만 용어가 어려운 독자분들을 위해, IT용어를 알아가는 연재 기사입니다."
[IT동아 남시현 기자] 구급차 한 대가 제주도 해안가를 급하게 지나가고, 지금 막 산통이 시작된 임산부와 아이를 찾아낸다. 119 구급대원은 신속하게 임산부를 호송하고, 관제 센터가 신호 통제에 들어간다. 시외 구간은 시민들의 양보로 빠르게 지나가지만, 퇴근길의 시내는 그렇지 못하다. 하지만 C-ITS 통합 관제센터의 도움으로 구급차 경로의 모든 신호등이 초록색으로 바뀌며 병원으로 직행한다. 아이는 무사히 세상 밖으로 나오고, KT와 국토교통부·제주특별자치도가 C-ITS 실증을 완료했다는 문구가 나온다. 영상 속에서 C-ITS는 구급차에게 도심속 길을 열어주는 역할을 했으나, 이는 C-ITS 기능 중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C-ITS란 무엇이고, 어떤 역할을 하는 시스템일까?
C-ITS(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란, 협력 지능형 교통 체계의 줄임말로, 현재 상용 단계인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의 차세대 버전이다. 지금의 ITS는 교통수단 및 시설에 전자제어 및 통신을 접목해 교통 정보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체계로, 실시간 교통정보나 교차로 제어, 하이패스 등이 이 ITS를 기반으로 만들어진다. C-ITS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차량·사물 통신(Vehicle to Everything, V2X)을 활용해 차량과 차량, 차량과 인프라가 유무선으로 정보를 주고받아 하나의 거대한 정보 체계를 이룬다. 실시간 교통 정보 수준을 넘어서, 보행자나 차량 위치 데이터 등을 공유해 실시간 자율주행에 활용하고, 전체 차량이 수집한 교통 상황을 종합해 교통 체증을 분산하는 등 고도화된 체계를 갖춘다.
우리나라에서는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시범 사업에 착수해 2016년부터 2020년 사이 대전-세종 간 고속도로, 대전시와 세종시 도시부도로 약 80km 구간에서 C-ITS 사업을 시작해 C-ITS 도입 및 확대를 위한 15개 교통안전 서비스 구현과 통신 인프라 개발 및 구축, 기술규격 표준화 마련 및 인증기준, 인증 장비 개발, 교통안전효과 및 경제성 분석을 진행했고, 현재는 디지털 뉴딜을 통해 지자체 지방도로까지 C-ITS 사업 규모를 확장하기 위한 협의에 들어갔다. 지난 3월 30일, 국토교통부에서 진행한 ‘지능형교통체계(ITS·C-ITS) 추진 설명회에서는 2025년까지의 ITS 추진 계획을 공유하고, 올해 말까지 보조금을 확정해 C-ITS 사업을 전국으로 확장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그렇다면 C-ITS가 어떻게 우리 실생활에 영향을 줄까? 현재 상용화된 ITS는 도로 내 교통정보 수집장치나 CCTV, 검지기 등을 통해 단방향으로 정보를 수집한다. 흔히 내비게이션에 ‘교통정보 수집장치’로 안내되는 지점이 ITS용 정보 수집 장치 중 하나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관제센터로 종합돼 교통 흐름이나 상황을 분석하고, 교통방송이나 라디오, 뉴스 등을 통해 대중에게 제공된다. 국토교통부는 ITS를 통해 연 4,300억 원의 혼잡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통행 속도도 15% 증가한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ITS는 차량 정보를 단편적으로 수집하는 만큼 차량 자체에 대한 안전 운전이나 빠른 사고 대응 등으로 연계되진 않는다.
C-ITS는 차량과 차량, 차량과 도로 간의 데이터가 양방향으로 공유되므로 ITS보다 한 차원 높은 기능을 발휘한다. C-ITS는 차량에 탑재된 위치 센서와 측정 센서, 카메라 등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센터로 보내고, 센터에 수집된 정보는 다시 차량에게 전달돼 실시간 운전에 활용하며, 광범위하게 이뤄진다. 예를 들어 목적지로 향하는 길목에 차량 한 대가 전복돼 사고 조치 중이라고 가정하자. ITS는 차량이 전복된 위치와 도로 정체를 카메라와 검진기로 인식해 방송이나 내비게이션 등을 통해 우회 경로를 제공하는게 전부다.
반면 C-ITS는 차량이 전복되는 순간에 수집된 정보를 근처 모든 차량에 전달해 실시간으로 사고를 회피하는 것으로 시작하고, 주변 차량에 사고 데이터를 전파해 교통 흐름과 인프라 효율을 최적으로 구성한다. 다른 사고 요인이 발생하거나, 사고 가능성이 포착되더라도 다른 차량에 데이터가 전파돼 조기에 대처한다. 현재의 C-ITS 기술로는 구급차를 위해 신호등을 개방하는 수준이지만, 미래의 C-ITS는 자율주행 차량이 직접 구급차 위치를 파악해 조기에 길을 열어주는 것도 가능해진다.
하지만 아직 C-ITS가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갈 길이 멀다. 앞서 사고 차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받아들여 본인 차량이 대처할 수 있다고 했는데, 이를 위해서는 본인이 탑승한 차량이 통신 기능이 장착된 자율주행 차량이고, 통신 역시 초저지연성을 지원하는 5G 네트워크가 기반이어야 한다. 아직까지 C-ITS를 활용할 정도의 통신 및 자율주행 차량이 등장하지는 않았은 만큼 현재의 C-ITS 사업은 미래의 자율주행 차량 환경을 위한 포석이다. 여기에 인공지능으로 제어되는 C-ITS까지 등장한다면 지금보다 훨씬 더 쾌적하고 안전한 도심 여건이 조성될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C-ITS 도입으로 도심 통행 속도는 30% 증가하고, 사고는 46% 가량 감소할 것으로 보고있다. 혼잡비용도 연 8,000억 원은 절감될 것으로 예측된다. 우리 정부는 2027년 완전자율주행 세계 첫 상용화를 목표로 국도 45%에 ITS 및 C-ITS 구축에 5,179억 원을 지원하고, 일반국도 1만 1,670Km에 자율주행 정밀도로 지도를 구축한다. 최근 시행을 시작한 ‘안전속도 5030’도 지금은 도심내 속도를 낮추는 요인이 지만, C-ITS가 보편화되면 혼잡도가 줄어들면서 충분한 속도가 될 것이다. C-ITS는 안전한 자율주행의 완성과 교통사고 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필수 기술임을 알자.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