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생태계의 변화] 스타트업 해외 진출을 돕는다는 의미

[IT동아 권명관 기자] 지난 2017년 6월 서울시와 서울산업진흥원이 개관한 서울창업허브는 입주기업을 위한 사무 공간 등을 제공하는 창업 보육 기관이다. 서울시에 위치한 창업보육센터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로 스타트업 관련 정책과 정보를 종합화하고, 기존 각 센터에서 제공하던 공통·중복된 기능을 통합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앙정부, 민간, 시 산하 창업기관 등 주관부처나 사업목적에 따라 흩어질 수밖에 없었던 창업지원정책과 창업관련 정보를 하나로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개관했다.

2019년 6월 기준, 서울창업허브가 창업을 지원한 스타트업은 887건에 달한다. 스타트업 성장을 돕는 파트너 기관은 144개,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48곳을 확보했으며, 신규 고용건수는 1,237건에 달한다. 또한, 2020년 1월 기준, 약 300개 스타트업을 인큐베이팅했으며, 입주한 130여 기업들이 535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고, 743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서울창업허브
서울창업허브

그런 서울창업허브가 다시 한번 변화하고 있다. 스타트업과 함께 성장하기 위해 보다 현실적이고, 보다 효율적인 방향으로 지원 정책과 조직을 개편 중이다. 필요없다고 판단하면, 기존 틀도 과감하게 버린다. 천편일률적인 스타트업 지원 방식을 벗어나기 위한 몸부림이다.

이에 IT동아는 서울창업허브가 구축하고자 하는 스타트업 생태계를 ‘스타트업 선발 방법’, ‘해외 진출’, ‘투자 지원’, ‘스타트업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크게 4가지로 나눠 소개하고자 한다.

글로벌 진출을 꿈꾸는 스타트업을 모집합니다?

글로벌 진출. 스타트업 지원하면, 꼬리표처럼 따라 붙는 것이 글로벌 진출이다. 잠깐 주변만 살펴봐도 글로벌 진출을 돕는다는 수많은 스타트업 지원 정책, 지원 프로그램, 지원 사업이 등장한다. 예비 창업자를 모집해 사업할 수 있도록 자금과 인력, 네트워크 등을 지원하고, 투자 유치를 연계한 다음, 이제 한국 시장은 좁다며 글로벌로 나가라고 등을 떠민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좋은 일이다. 경쟁력을 갖춘 스타트업이 해외에서 인정 받아 성장할 수만 있다면, 그만한 성과가 어디 있을까. 모든 지표가 우상향을 향해 지속 성장한다면, 기업 가치는 그보다 몇 배 이상 인정받을 터. 비단 스타트업만 이를 바랄까. 전세계에서 사업하고 있는 아니라 사업하고 있는 모든 기업이라면, 자국을 벗어나 해외에 진출해 성공하길 바랄 것이다. 어찌보면, 최종 목표에 가깝다. 우리는 모두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삼성전자, LG전자 등 세계에서 경쟁하는 기업을 꿈꾼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게 녹록치 않다. 한 스타트업이 정부, 민간에서 지원하는 해외 진출 프로그램에 참여했고, 현지 행사에 참여해 발표한 뒤, 곧 이어 열린 네트워킹 행사까지 알차게 보냈다고 가정하자. 그럼 우리는 이 스타트업이 해외 진출을 위한 전초전을 잘 마무리했다고 평가할 수 있을까?

SBA가 우선하는 글로벌 전략, ‘현지화’

SBA창업본부 이태훈 본부장은 글로벌 사업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스타트업 지원 기관의) 글로벌 업무는 국내에서 좋은 기업을 선정한 뒤, 대부분 해외 전시회에 참가하는 형태였다. 해외 체류 비용, 전시회 참가 비용 등을 간접 지원하는 방식이다”라며, “그리고 참가 기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용역사를 선정해 운영했다. 그런데, 우리 기준으로 선정한 좋은 기업은 해외 현지에서 이목을 끌지 못했다. 현지에서 필요로 하는 스타트업은 우리가 선정한 스타트업이 아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 말에 대한 정답은 하나다. 현지화다. 모빌리티 스타트업을 찾는 독일 행사에 뷰티 크리에이터를 참여시켰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어디까지나 비유다). 우리나라에서 기관과 전문가 등으로부터 아무리 좋은 평가를 받은 스타트업이라도, 현지에서 필요로 하지 않는 분야의 전문 스타트업은 절대 주목받을 수 없다.

SBA가 내세우는 글로벌 진출 목표는 ‘해외 현지화’다, 출처: SBA
SBA가 내세우는 글로벌 진출 목표는 ‘해외 현지화’다, 출처: SBA

SBA가 주목한 글로벌 진출은 여기에 있었다. 해외 현지에서 현재 필요로 하는 스타트업이 무엇인지부터 찾았다. 글로벌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홍정오 센터장은 “실리콘밸리 IR행사에 그저 해외에 나가고 싶어하는 기업을 참여시키는, 1회성 지원 사업은 필요없다. 한번 해외에 나가서 관계자들과 만나 인사하고 돌아오는 이벤트는 지양한다”라며, “반대로 바꿨다. (해외에 진출하고 싶다는) 기업의 수요를 뒤로 미뤘다. 우리가 먼저 해외 현지에서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했다”라고 말했다.

현장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김태훈 책임이 설명을 덧붙였다. 그는 “SBA는 크게 ‘대기업 협력 프로그램’, ‘정부 기관과 연계한 현지화 프로그램’, ‘해외에서 활동하는 액셀러레이터/투자기관’과의 연계로 구분했다”라며, “가장 중요시한 것은 현지에서 필요로 하는 수요가 무엇인지 우선 파악하고, 해당 수요를 해결할 수 있는 국내 기업을 찾는 형태로 바꿨다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SBA는 작년부터 해외 기업들과 오픈 이노베이션(기업이 필요로하는 기술과 아이디어를 외부에서 조달하는 한편 내부 자원을 외부와 공유하면서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것)을 꾸준히 진행했다. 메르세데스-벤츠, 다이슨, 레고 등 해외 대기업을 비롯해 S-OIL, 오비맥주 등 국내 대기업이 원하는 바를 먼저 파악했고, 이후 스타트업을 연계해 지원했다. SBA가 말하는 현지화다.

작년 한해동안 SBA는 동남아시아를 누볐다. 국내 스타트업이 진출하기 어려운 시장인 미국과 중국, 유럽과 비교해 국내 기업을 찾는 수요가 높고, 상대적으로 국내 기업 진출 성공 확률이 높았기 때문이다. 베트남의 경우, 가장 남쪽부터 북쪽 끝까지 전역을 돌아다니며, 베트남 정부 및 민간에서 운영하는 스타트업 지원 기관을 만났다. 그렇게 하노이와 호치민에 위치한 베트남 정부기관과 글로벌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함께 진행하는 성과로 이끌었다.

베트남 정부 기관과 미팅을 나누고 있는 SBA 이태훈 본부장(우측 아래), 출처: SBA
베트남 정부 기관과 미팅을 나누고 있는 SBA 이태훈 본부장(우측 아래), 출처: SBA

말 그대로 현지화다. SBA 내부에서는 이런 말도 나눴다. “전화해서 우리 행사에 참여를 요청하면 과연 몇 곳이나 참여할까?”라고 말이다. SBA가 말하는 해외 네트워크는 이렇게 끈끈한 관계부터 구축하자는데 있다. 그래야 현지 진출을 원하는 스타트업, 현지 기업과 협력을 원하는 스타트업에게 제대로 지원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코로나19로 왕래가 어려운 지금, SBA는 화상회의를 통해 베트남과 지속적인 연락을 취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왕래가 어려운 지금, SBA는 화상회의를 통해 베트남과 지속적인 연락을 취하고 있다

순서를 바꾸다

SBA가 글로벌 진출 지원에 있어 바꾼 것은 ‘순서’다. 국내에서 스타트업을 우선 선정하고, 해외 행사에 참여하는 형태를 바꿨다. 해외에서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먼저 찾고, 그에 맞는 국내 스타트업을 찾았다. 사실 이러한 변화는 앞서 언급한 ‘선발 기준’, ‘투자 연계’,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모두 일맥상통한다. 스타트업 지원에 있어 필요한 것에 우선순위를 두고, 먼저 나서서 순서를 바꾼 것이다.

SBA는 (스타트업 지원에 있어서) 지금까지 해왔던, 틀에 박힌 형태를 벗어나고자 한다.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과감하게 변화를 꾀했다. 그게 스타트업을 위한 길이라는 확신에서다. 스타트업 지원 기관이 매년 내미는 성과 보고서는 의미 없다. 스타트업 지원이란, 진정 스타트업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는 것을 기억하자.

글 / IT동아 권명관(tornadosn@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