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끊임없는 도전과 개발 정신을 잊지 말아야

[IT동아 권명관 기자] 실리콘밸리(Silicon Valley). 미국 서해안에 위치한 도시 샌프란시스코에 인접한 계곡지도인 이곳은, 전세계 소프트웨어 산업의 중심지로 불린다. 행정구역상 산타클라라 카운티(SantaClara County)라고 하는데, 12개 도시가 합쳐져서 형성됐다. 실리콘(규소)이 주 재료인 반도체 제조사가 이 지역에 많이 모여 들면서 붙은 이름이지만, 현재 각종 첨단 기술 기업 본거지이자 스타트업 메카로 여겨진다.

원래는 양질의 포도주 생산 지대였지만, 1953년 스탠퍼드 연구단지를 중심으로 전자산업의 기반이라고 할 수 있는 실리콘으로 된 반도체 칩을 생산하는 기업들이 대거 진출하면서 실리콘 밸리로 불리기 시작했다. 현재 이곳에는 애플(Apple)을 비롯해 휴렛팩커드, 인텔, 페어차일드, 텐덤, 에버노트, 등 4,000여 기업이 운집하고 있으며, 미국 전자공업협회(AEA) 본부도 이곳에 있다.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수많은 기업들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수많은 기업들

<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수많은 기업들 >

실리콘밸리가 스타트업의 메카로 불린 계기는, 지난 1939년 휴렛과 팩커드가 스탠퍼드 대학의 한 허름한 창고에서 사업을 시작한 데서 비롯됐다. 스탠포드 대학교 동기인 윌리엄 휴렛(William Hewlett)과 데이비드 팩커드(David Packard)가 캘리포니아 주 팔로알토(Palo Alto, 샌프란시스코와 산타클라라 중간에 위치한 도시, 스탠포드 대학교 바로 옆)의 한 차고에서 '휴렛팩커드(HP)'를 설립했다. 이들이 개발한 음향 발진기(Audio Oscillator)를 시작으로, 실리콘밸리 1세대 벤처 기업 HP가 등장했다.

실제로 지난 1989년, 캘리포니아 주는 HP가 탄생한 에디슨가 367번지의 허름한 차고를 '실리콘밸리의 발상지'로 명명하고 사적으로 등록했다. 이 작은 공간에서 시작한 기업으로 말미암아 과수원만 가득하던 산타클라라 계곡이 IT 업계의 중심지로 탈바꿈할 수 있었다.

실리콘밸리의 발상지로 지정된 차고의 모습
실리콘밸리의 발상지로 지정된 차고의 모습

< 실리콘밸리의 발상지로 지정된 차고의 모습 >

실리콘밸리를 지탱하는 힘, R&D를 통한 도전과 투자

HP, 애플 등 글로벌 기업의 시작이자, 스타트업의 메카인 실리콘밸리의 노하우는 무엇일까. 실리콘밸리는 혁신과 변화, 다양성을 상징하며, 수많은 기업에게 목적지와 방향을 알려주는 북극성의 역할을 수행한다. 지난 2014년 네이버 그린팩토리에서 열린 '실리콘밸리의 한국인' 컨퍼런스에 참석한 실리콘밸리의 한국인 모임인 'Bay Area K-Group'의 윤종영 대표 말도 일맥상통한다. 그는 "실리콘밸리를 지탱하는 건 엄청난 규모의 연구 개발과 창업 자들의 끈기, 그리고 다름을 인정하는 다양성"이라고 말했다.

페이스북의 예를 들어보자. 그들의 핵심 가치는 해커톤과 해커웨이다. 성장에 따른 이기주의, 사일로 이펙트를 제거하기 위해 협력, 공유, 연결을 추구하는 부트캠프, 해커먼스, 해커톤 등을 운영한다. 부트캠프는 신규 입사자를 위한 6주간의 오리엔테이션으로 선배 직원들이 코딩 기술, 문화, 일하는 방법, 동류 의식과 연대감, 협력과 비전, 미션 등을 공유한다. 이중 해커톤은 저커버그와 핵심 임직원들이 밤을 지새며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방식에서 시작해 대표적인 기업문화가 되었다.

페이스북의 해커웨이
페이스북의 해커웨이

< 페이스북의 해커웨이 >

실리콘밸리의 성공은 비상한 '괴짜'들과 이들을 배출하는 '스탠퍼드대', 그리고 구멍가게를 글로벌기업으로 변신시키는 '벤처캐피털(VC)'의 힘으로 요약할 수 있다. 실제로 이곳을 둘러보면 이 삼박자가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에너지를 느낄 수 있다.

일례로 실리콘밸리 기업들 사옥은 모두 캠퍼스로 불린다. 단독 빌딩이 아니라 넓은 정원 부지에 개별 건물들이 흩어져 있다. 고층 빌딩은 없고, 모든 회사가 대학교 캠퍼스와 같은 분위기다. 또한, 실리콘밸리와 스탠퍼드대 부근에 위치한 샌드힐로드에 가보면 코슬라벤처스, 세콰이어캐피털, 어거스트캐피탈 등 20여 개의 미국 대표 VC가 밀집해 있는데 될 기업의 싹을 미리 알아보고 성장을 돕는 VC들의 활약은 눈부시다.

1972년 샌드힐로드에 가장 먼저 자리한 VC 클라이너퍼킨스(KPCB)는 구글의 성장을 돕고 아마존, HP, 오라클에 인수된 선마이크로시스템스, 트위터, 페이스북, 스냅챗 같은 세계적 IT기업 500여 개를 키워냈다.

매년 탄생하는 수천 개 스타트업을 이끄는 개발자, 엔지니어 등은 대부분 스탠퍼드대 출신이다. 구글·시스코·야후·인스타그램·링크드인 등을 스탠퍼드대 출신이 창업했고, 그들 밑에서 많은 졸업생들이 활약하고 있다. 스탠퍼드대 캠퍼스는 여의도의 11배에 달해 내부는 버스로 이동해야 한다. 전체 면적의 20% 정도만 건물이 들어서고, 나머지는 잔디밭과 숲으로 이뤄져 국립공원 같은 풍경이다.

이처럼 비상한 아이디어를 생각해내는 괴짜들과 이들의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연구개발과 지원, 협업 체계 등을 갖춰야 한다.

스타트업이 갖춰야 할 기본, 개발 역량

국내 대표 이커머스기업 쿠팡(대표 김범석)도 개발 역량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 2017년 진행한 'CS해커톤 대회'가 그 예다. 당시 진행한 CS해커톤 대회는 쿠니(고객상담원)들이 고객에게 더 좋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제안하면 개발자들이 쿠니와 함께 팀을 이뤄 3일간 실제 이용 가능한 시스템으로 개발해 내는 일종의 경연대회였다.

쿠팡이 공개한 CS해커톤 대회
모습
쿠팡이 공개한 CS해커톤 대회 모습

< 쿠팡이 공개한 CS해커톤 대회 모습 >

쿠팡은 해커톤과 같은 활동을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일상적 활동이라고 소개한다. 모든 업무 분야에서 직원들이 고객을 위한 참신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쿠팡 개발자들과 함께 모여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낸다는 것. 고객센터뿐만 아니라 배송과 물류 등 모든 사업 분야에서 개발자와 현장 직원이 함께 고민하고, 자체기술로 해결해 나가는데 집중한다. 배송 정확도와 효율 상승을 위한 배송 위치 확인 시스템, 배송 상태 실시간 확인 시스템, 채팅 상담시 실시간 사진 전송 기능 등이 이렇게 탄생했다.

국내 미디어 커머스 기업 중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이하 브랜드엑스)'도 연구개발에 집중한다. 브랜드엑스는 제품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하고, 연구개발 투자를 진행했다. 개발 외에도 판매를 위한 마케팅 활동 등을 분석해 최근 소비자 유형과 취향 등을 반영, 최적의 마케팅 활동을 전개한다.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연구소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연구소

<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연구소 >

제품을 단순히 미디어에 소개하고 판매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직접 제품을 기획, 개발해 유통하는 구조를 우선 마련했다. 국내에 레깅스 문화를 선도한 젝시믹스(XEXYMIX), 조약돌 칫솔살균기로 인기를 얻은 위생습관 브랜드 휘아(WHIA), 남성 생활 브랜드 마르시오디에고(MARCIO DIEGO), 여성 스포츠 의류 브랜드 믹스투믹스(MIX2MIX), 식품 브랜드 쓰리케어(3care) 등이 이 같은 브랜드엑스 전략에 의해 탄생했다.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모습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모습

<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모습 >

향후 브랜드엑스는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을 비롯해 경영에 필요한 디지털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다. 기업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사적자원관리 솔루션(ERP)을 이미 도입했으며, 시스템 안정화 작업 후에 다양한 기술 도입으로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스타트업에게 개발 역량이란, 스스로의 아이디어를 현실로 구현할 수 있는 기본 역량이다.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넓혀 나가는 네트워크와 지원 등이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글 / IT동아 권명관(tornadosn@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