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SaaS 시대] SW 미래는 '서비스'

"많은 앱이 앱스토어를 통해 고객과 만났듯, 이제 기업용 소프트웨어도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 또는 매니지먼트 서비스 업체의 인프라 위에서 고객을 만날 수 있을 겁니다.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거나 특화 장비에 미리 설치해서 제공하던 방식도 점차 변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에서 만난 보안 업계 관계자가 설명한 시대의 변화다.

애플과 구글이 이끈 모바일 혁명의 성공요인 중 하나는 '앱스토어'와 '플레이 스토어' 다. 이동통신사와 단말기 제조 업체에 종속되어 있던 전세계 수많은 앱들이 애플과 구글이 마련한 장터를 활용해 고객들과 직접 만나면서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 그리고 그 바탕에는 클라우드가 있다.

이런 상황이 기업용과 보안 소프트웨어 영역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바로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 'IBM', '오라클' 등의 클라우드 전쟁 속에서 수많은 기업용 소프트웨어가 서비스 형태로 클라우드 사업자의 인프라를 활용해 고객을 만나고 있다.

시장 조사 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SaaS(Software as a Service)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는 클라우드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전세계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에서 해당 분야 매출은 2019년 948억 달러에서 2022년 1,437억 달러로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다. 작년 2017년 SaaS 시장도 26.3% 성장했다. CRM은 SaaS 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성장율도 높다.

전세계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매출 전망, 출처:
가트너
전세계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매출 전망, 출처: 가트너

< 전세계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매출 전망, 출처: 가트너 >

이러한 추세는 국내 시장도 예외가 아니다. 국내 SaaS 최종 사용자 지출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8년 약 7,787억 원에서 2022년 약 1조 5,745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열린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의 개발자 컨퍼런스 '빌드 2019(Microsoft Build 2019)' 키노트에서 MS 사티아 나델라 CEO는 애저(Azure), 파워 플랫폼(Power Platform), 다이나믹스 365(Dynamics 365), 마이크로소프트 365(Microsoft 365), 게이밍 등에 녹아있는 MS의 비전과 개발자들의 기술적 혜택과 기회에 대해 강조했다. 이어서 그는 "MS는 개발자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툴과 플랫폼을 제공하고, 개발자들이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MS 빌드 2019의 사티아 나델라
CEO
MS 빌드 2019의 사티아 나델라 CEO

< MS 빌드 2019의 사티아 나델라 CEO >

MS는 자사의 기존 오피스와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이미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 위에서 제공한다. 또한, 애저 위에서 운영되는 약 3,000개의 독립 소프트웨어 벤더(ISV)는 지난 1년 동안 50억 달러 (한화 5조 8,500억 원)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

클라우드 인프라 경쟁이 SaaS 경쟁으로 확대되고 있다. 퍼블릭 클라우드 1위 업체 AWS는 파트너 네트워크(APN)에 테크놀로지 파트너를 마련하고 관련 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 파트너는 AWS 플랫폼에서 호스팅하거나 AWS와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솔루션 등을 제공한다.

게임의 룰이 바뀐다

기업용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큰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자동화된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협업과 통합커뮤니케이션, 콘텐츠 서비스, 고객관계관리, 전사적자원관리, 오피스 스위트, 공급망 관리 분야 등에서 MS, 세일즈포스닷컴, 오라클, SAP, 구글, 워크데이, 어도비, 얼티메이트 소프트웨어, 드롭박스, 젠데스크, 조호 등 기존 업체와 새로운 업체들이 시장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전통적인 기업용 애플리케이션 업체 SAP는 자사 제품을 SaaS로 바꾸는 동시에, 인수합병을 통해 전체 사업을 SaaS 형태로 빠르게 재편하고 있다.

SAP 매출성장 추이
SAP 매출성장 추이

< SAP 매출성장 추이 >

SAP코리아 정대천 마케팅 상무는 "SAP는 AWS, MS, 구글, 알리바바 등 플랫폼 업체들과 경쟁보다는 상생의 전략을 선택했습니다. 이들 하이퍼스케일러(hyperscaler) 업체들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SAP의 비즈니스 플랫폼을 어디에서나 쉽게 접할 수 이습니다"라며, "SAP가 45년 넘게 시장을 선도해온 25개 산업의 핵심 경영 업무(SAP S/4HANA)외에도 고객(SAP C/4HANA), 경험(Qualtrics), 인사(SAP SuccessFactors), 구매(SAP Ariba), 지출 관리(SAP Concur)등 다양한 업무 프로세스를 이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통합되고 확장됩니다"라고 말했다.

해외 기업만 변화하는 것도 아니다. 국내 기업용 또는 보안 업체들 역시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 국내 대표 ERP 업체 영림원소프트랩은 기존 제품을 MS 애저 기반으로 올렸고, 매출 300억 원 이하 고객들을 대상으로 국내외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일본 시장에서의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영림원소프트랩 권영범 대표는 "일본 최고의 백화점 그룹 계열사가 우리 클라우드 ERP를 사용합니다. 일본 기업 중 동남아에 나가 있는 곳들이 많은데요. 다국어 버전과 각국 통화를 지원하는 우리 클라우드 ERP를 그 지역 법인에서 사용하려고 검토하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구축형의 실패를 딛고 서비스 형태로 일본 시장과 동남아 시장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엿보고 있습니다"라고 말한다.

영림원소프트랩 권영범 대표
영림원소프트랩 권영범 대표

< 영림원소프트랩 권영범 대표 >

보안 업계는 조금 다른 접근법을 취하고 있다. 패키지 제품으로 해외에 진출할 때 겪었던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처음부터 해외에서 제품을 설계해 진출하는 전략이다. SaaS 취재차 만난 두 보안 업체는 모두 동일하게 '기획'을 미국에서 진행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한 관계자는 "패키지 제품을 개발해서 해외로 갔을 때 현지화는 물론 제품 컨셉 자체가 너무나 달라 성과 내기가 쉽지 않았습니다"라며, "세계 시장에서 통하는 서비스나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기획 자체를 미국에서 하고 개발은 한국에서 담당하거나 공동으로 진행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이미 많은 기업이 SaaS 형태로 전환했습니다. 시장이 더딘 한국 시장만 보고 있다가 도태될지도 모릅니다"라고 생존을 위해서도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했다고 전했다.

최근 해외의 경우 통신사들이 제공하던 CEP 장비를 인텔 기반 서버로 교체하고, 이 위에 다양한 부가 소프트웨어를 서비스 형태로 고객에게 제공하는 추세가 늘고 있다. 기업용 소프트웨어도 바로 설치했다가 제거할 수 있는 형태로 변모하고 있다.

상장으로 주목을 끌었던 협업 SaaS 업체 '줌(Zoom)'도 시스코가 인수한 웹엑스 출신 개발자가 대표였다. 그들은 시스코에서 일하다가 나와 새로운 환경에 맞게 개발해 대박을 터트렸다. 새로운 스타트업 동료들 대부분이 시스코에서 한솥밥을 먹던 이들이다. 기업용 SaaS 시장에서 이런 일들이 흔치않게 일어나고 있다.

MS 데이터센터 전경
MS 데이터센터 전경

< MS 데이터센터 전경 >

HP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일했던 틴드럼시스템즈 우병오 대표이사는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만들었던 이들이 지금은 모두 SaaS 형태로 만들어서 클라우드 인프라 위에 올려 전세계에 바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B2B 시장에서 엄청난 창업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국내는 클라우드 시장이 더디게 움직이면서 이런 흐름에서 벗어나 있는 듯해 안타까운 실정"이라고 밝혔다.

SaaS 시장이 활짝 열리고 있지만, 국내 공공과 금융, 교육 시장 등은 규제 이슈로 관련 시장 개회가 더디다. 보수적인 보안 영역도 마찬가지다. 기업용 소프트웨어 시장만 조금씩 변화하고 있는 상황. 클라우드 시장이 더디게 움직이면서 국내는 SaaS 시장도 늦고 있다. 이는 국내 소프트웨어 업체들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SaaS 시장에 주목하는 이유다.

글 / 테크수다 도안구 IT 칼럼니스트
편집 / IT동아 권명관(tornadosn@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