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바로 알기] 1부: 조금만 이해하면 전력 사용도 문제 없어

강형석 redbk@itdonga.com

폭염과 열대야가 이어지면서 냉방 기기 사용 시간도 늘어나고
있다
폭염과 열대야가 이어지면서 냉방 기기 사용 시간도 늘어나고 있다

[IT동아 강형석 기자] 연일 폭염이다. 8월 8일 기준, 최저 기온 25도 이상인 무더운 밤, 열대야는 서울 18일, 광주와 대전 19일, 여수 21일 연속 기록 중이다. 연일 기록되는 폭염은 2018년의 여름은 기록적인 폭염으로 남을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에 따르면, 전국 기상관측소 95곳 중 57곳(60%)이 역대 최고기온을 갈아치웠고, 폭염이 절정에 이른 지난 1일에는 28곳에서 최고기온 신기록을 세웠다. 당일 강원도 홍천은 기상 관측 이후 최고기온인 41도를 기록하며 1942년 대구 40도의 기록을 76년만에 경신하기도 했다.

지속되는 더위에 전기요금 부담도 늘었다. 도저히 참을 수 없는 더위에 에어컨 전원 버튼을 누르며 '전기요금은 얼마나 나오려나'라는 걱정이 뒤따른다. 대다수 일반인은 에어컨을 많이 켜면 전기요금 폭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 속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전기요금 폭탄 걱정은 기우일 지도 모른다. 우리집 가전 제품을 바로 알고, 한달 사용하는 전력량을 파악하면 전기요금은 충분히 조절할 수 있다. 이에 IT동아는 [전기요금 바로 알기] 기획을 통해 전기요금에 대한 오해를 풀고, 걱정을 덜어 주고자 한다.

'전기?', '전력?' 그게 그거 아닌가요?

우리가 흔히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 여러 단어를 혼용한다. 전원이라고 말하는 이도 있고 전력이라고 말하는 이도 있다. 그냥 전기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어떻게 말해도 다 비슷하게 알아듣지만 엄밀히 따져보면 이들의 의미는 모두 다르다.

전자기기를 가동하는데 필요한 전기. 이를 구체화한 것이 '전력'이다. 전력은 전기가 1초당 하는 일의 양을 의미하는데, 이 전력을 일정 기간(시간) 동안 측정한 수치가 '전력량'이 된다. 표기는 와트(W)로 하게 되는데 전력 자체는 와트, 이를 시간당 사용한 수치로 전환했을 때 와트시(Wh)로 표기한다.

기기를 보면 전압과 전류의 입출력 사양이 표기되어 있다. 입력은 기기가 요구하는 수치이고 출력은 제품 사용에 쓰이는 전력을
말한다.
기기를 보면 전압과 전류의 입출력 사양이 표기되어 있다. 입력은 기기가 요구하는 수치이고 출력은 제품 사용에 쓰이는 전력을 말한다.

간단히 전력(W)은 전압(V)과 전류(A)를 곱한 값이다. 실제 제품은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사용한다. 위 이미지를 보면 출력 수치가 19.5V, 11.8A라고 되어 있는데, 이는 곧 제품이 최대 230W(19.5V x 11.8A)의 전력을 사용한다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실제 사용 환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해당 전력을 일정 시간 사용하면 시간당 전력량인 와트시(Wh)가 된다. 우리가 지불하는 전기요금이 이 와트시를 기준으로 계산된다.

예로 에어컨이 꾸준히 시간당 1,000와트(W)의 전력을 사용한다고 가정하자. 이를 약 10시간 가동할 경우, 전력량은 1만 와트가 된다. 여기에 1,000 단위는 킬로(k)라는 단위로 정리할 수 있는데 적용하면 10킬로와트시(kWh)가 된다. 이를 30일 사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계산 상으로는 300kWh가 된다.

흔히 전자기기와 연결할 수 있는 콘센트를 전원이라고
부른다.
흔히 전자기기와 연결할 수 있는 콘센트를 전원이라고 부른다.

여러 단어를 사용해도 되지만 구체적으로 정리한다면 우리가 콘센트에 기기를 연결하고 이를 사용했을 때 '전력'을 쓴다고 말하는게 바람직하다. '전원'은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을 말한다. 콘센트나 멀티탭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전기'는 짜릿한 기운 그 자체다.

내가 쓴 전력, 요금으로 계산하면?

실제 생활에 큰 도움을 주는 전기. 잘 사용했다면 그 댓가를 치러야 한다. 우리는 매월 전기요금을 지불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한 만큼 일정한 요금을 산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 구간을 정해 많이 쓸수록 요금이 증가하는 누진제가 적용되어 있다.

현재 우리나라 전기요금 누진제는 3단계, 3배수다. 이는 지난 2016년 12월 13일 개편된 것으로 해당 월 요금부터 소급 적용되기 시작했다. 2004년 도입된 6단계, 11.7배 누진제를 손 본 것. 한전은 세분화되어 있던 전력량 구간을 3단계로 간소화하고 요금 체계도 그에 따라 조정했다.

현행 가정용 전기요금 체계(출처=한전)
현행 가정용 전기요금 체계(출처=한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누진제 적용 전력량 구간은 <200kWh 이하>와 <201~400kWh>, <401kWh 초과>로 나뉜다. kWh당 요금은 각각 93.3원, 187.9원, 280.6원이다. 기본 요금도 각각 910원, 1,600원, 7,300원이다. 이는 기존 2/4/6단계 누진제 요금에 해당되는 것이다.

각각 예를 들어보자. 세 가정이 각각 200kWh, 400kWh, 600kWh에 해당하는 전력을 사용했고 이에 대한 요금을 지불할 예정이다. 각 누진제 1/2/3 단계에 해당하는 수치다.

먼저 첫 번째 가정(누진제 1단계)은 기본 요금 910원과 200kWh에 해당하는 전력량 요금(93.3 x 200)인 1만 8,660원이 적용되어 총 1만 9,570원이 청구된다.

① 기본 요금(910원) + 전력량 요금(93.3원 x 200kWh = 1만 8,660원) = 1만 9,570원

두 번째 가정(누진제 2단계)부터는 계산이 복잡해진다. 기본 요금 1,600원에 400kWh에 해당하는 전력량 요금이 계산된다. 중요한 것은 사용 전력량 전체가 2단계 누진제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1단계 사용량과 2단계 사용량이 각각 계산된다는 점이다. 이 가정은 사용량이 400kWh. 요금은 1단계인 200kWh(93.3 x 200)의 1만 8,660원과 2단계 200kWh(187.9 x 200) 사용 요금인 3만 7,580원을 더해 5만 7,840원이 청구된다.

② 기본 요금(1,600원) + 전력량 요금 <1단계 93.3원 x 200kWh(1만 8,660원) + 2단계 187.9원 x 200kWh(3만 7,580원)> = 5만 7,840원

마지막 가정은 두 번째 가정에서 3단계 누진제 비용을 추가하면 된다. 2단계까지 적용된 5만 7,840원에 마지막 3단계에 해당하는 200kWh(280.6 x 200)의 요금인 5만 6,120원, 추가로 기본 요금 7,300원을 더하면 총 11만 9,660원의 요금이 청구될 것이다. 이 외에 부가가치세(10%)와 전력산업기반기금(3.7%), TV 수신료 등을 더해 전기 요금 고지서에 청구된다.

③ 기본 요금(7,300원) + 전력량 요금 <1단계 93.3원 x 200kWh(1만 8,660원) + 2단계 187.9원 x 200kWh(3만 7,580원) + 3단계 280.6원 x 200kWh(5만 6,120원)> = 11만 9,660원

무작정 아끼기 보다 효율적인 전력 사용 필요해

과거 사람들은 전자제품을 쓸 때 제품의 사용 전력량을 고민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적당히 성능 좋은 제품을 구매해 콘센트에 연결하고 전원 버튼을 누르면 그만이었다. 이후 요금 고지서에 적힌 금액이 이전과 상당한 차이를 보여야 그 때 사용하고 있는 전자기기들을 하나 둘 확인하고 가동 시간을 줄이거나 불필요한 전력 사용을 차단하는 등의 행동을 취하곤 했다.

무더위로 인해 에어컨 가동 시간이 늘었으며, 이에 따라 전기 요금에 대한 걱정도
커졌다
무더위로 인해 에어컨 가동 시간이 늘었으며, 이에 따라 전기 요금에 대한 걱정도 커졌다

불필요한 전력 사용을 줄이는 행동은 바람직한 것이다. 그러나 갑자기 잘 사용하던 기기 사용에 영향을 주는 것은 신중히 접근해야 할 부분이다. 기기의 전력 사용에는 많은 외부 변수들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무작정 전력 사용을 제한하는 것보다 어떻게 해야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지 하나 둘 따져보면 합리적인 소비가 가능할 것이다.

글 / IT동아 강형석 (redbk@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