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와 스마트 기기의 만남, 어디까지 가능할까?
[IT동아 강형석 기자] 과거에 자동차는 네 바퀴 멀쩡하게 달려 있고, 가속 패달을 밟으면 잘 나가는 게 미덕이었다. 지금은 기본기는 물론이고 주행 편의성과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해야 소비자 눈길을 사로잡을 수 있다. 어쩌면 그 이상의 무언가를 품고 있어야 할지도 모른다. 소비자들은 눈에 보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렇지 않은 것에도 신경을 쓰기 시작했으니 말이다.
자동차와 스마트 기기?
자동차 그리고 스마트폰을 생각하면 흔히 블루투스 연동으로 음악을 듣거나 통화하는 정도의 작업을 떠올리기 쉽다. 하지만 최근 자동차와 스마트폰의 관계는 단순 연동을 뛰어 넘어 더 가까워지고 있다. 주소록을 차량에 가져와 스마트폰을 쓰지 않더라도 차량 내에서 통화나 목록 확인이 가능하다거나, 화면을 동기화해 내비게이션 또는 영상을 감상하는 식으로 바뀌고 있다.
커넥티드(Connected) 기술이 자동차와 운전자 사이의 환경을 바꾸고 있다. 자동차와 스마트폰을 연결해 두면 3G 또는 LTE 네트워크를 활용, 다양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뉴스나 소셜네트워크(SNS) 정보를 확인한다거나,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 외에 일부 차량은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및 교통정보 제공 시에 쓰기도 한다. 비상시에는 긴급 출동을 요청하고, 모르는 정보를 요청해 차량에 적용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도 그 일부다.
스마트폰 연결하면 시동을 미리 켜고 끈다
스마트키를 가지고 일정 거리 내에서 버튼을 누르면 시동이 켜지는 기능은 일부 차량에 적용되어 있다. 하지만 이를 넘어 스마트폰만으로 시동을 켜고 끄는 차량도 수가 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현대기아차가 적극적으로 옵션 형태로 기능을 제공한다. 현대차는 블루링크(BlueLink), 기아차는 유보(UVO)다.
BMW는 지난해 선보인 7시리즈에서 디스플레이 키(Display Key)를 통해 기능을 구현했다. 스마트 기기는 아니지만 차량의 열쇠에 액정을 달아 마치 스마트폰을 보는 듯한 착각을 준다.
먼저 현대기아차의 커넥티드 및 텔레매틱스 기능에 대해 알아보자. 블루링크와 유보는 스마트 기기로 차량을 제어하는 다양한 기능을 품었다. 시동을 켜고 끄는 것은 기본이고 공조장치 연계도 가능하다. 더운 여름에는 에어컨을 켜고, 추운 겨울에는 히터를 스마트폰으로 조작하면 쾌적하게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 원격 시동은 운전자 설정에 따라 2~10분 가량 유지되어 불필요한 연료 사용을 막아준다.
주차 위치를 찾고 비상등을 켜고 끄는 기능도 있다. 서비스 가입이 필요하지만 모르는 곳이 있다면 상담원과 연결한 다음, 목적지를 차량 내비게이션에 전송하는 텔레매틱스 기능도 갖췄다.
BMW는 차량 스마트 키가 곧 스마트폰과 유사한 느낌이다. 열쇠로 통화는 불가능하지만 접속 가능 거리 이내에서 다양한 기능 조작이 가능하다. 정해진 시간에 맞춰 시동을 켜거나, 공조장치 조작도 지원한다. 블루링크와 유보와 흡사하지만 스마트 키로 조작한다는 점에서 활용성에 한계가 있다.
개인 정보 보호하는 방향으로의 발전도 기대돼
자동차와 스마트 기기와의 연동은 차량 기능을 제어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차주의 개인정보 보호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차주의 신상 정보를 알리기 위해 쓰는 방법은 대시보드 위 잘 보이는 곳에 명함 또는 전화번호를 올리는 형태다. 이를 가지고 차주와의 연락을 취하는데, 이것이 자칫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이 있다. 전화번호는 물론이고, 개인이 쓰는 이메일이나 사무실 주소 등이 고스란히 노출되기 때문이다.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방법은 현재로써는 뾰족한 수가 없다. 거주자 우선 주차 구역 또는 길가에 차량을 주차했을 때, 자리 확보를 위해서 상대 차주와 연락은 필수여서다. 그렇다고 개인 정보의 일부를 고스란히 노출하기도 꺼려지는게 사실.
스마트 기기용 애플리케이션 서치앳은 이를 해소하고자 선보인 서비스다. 아직 걸음마 단계지만 앱을 쓰는 차주가 서비스 가입과 함께 차량 번호를 등록해 두면, 상대방이 연락할 때 차량 번호를 조회하면 끝이다. 검색되면 메시지를 보내거나 연락을 취하도록 설계한 것이 서치앳의 특징. 일부 기능과 보호 기능을 보완하면 차량 대시보드 위에 번호나 명함을 올리지 않아도 된다.
이 외에 애플리케이션에는 차량의 위치를 기록한 다음 찾을 때 쓴다거나, 여러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는 커뮤니티 기능도 제공된다. 차량과 차량을 연결하는 소셜네트워크(SNS)가 있다면 이것이 아닐까?
차에 앉지 않아도 시동을 켜고 끄거나, 개인정보 없이도 차주와 연결하는 등 자동차와 스마트 기기간 융합은 범위를 넓혀가며 진화 중이다. 커넥티드 환경이 진화할수록 더 편하고 쉽게 자동차를 다룰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글 / IT동아 강형석 (redbk@i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