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불법 SW 사용시 악성코드 감염위험 경고
2013년 3월 6일,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가 시장조사기관 IDC에 의뢰해 '불법 및 해적 소프트웨어의 위험성'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불법 소프트웨어설치로 악성코드에 감염될 확률이 일반용 33%, 기업용 30%로 나타났다.
사용자는 불법 소프트웨어를 주로 인터넷(45%)에서 내려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중 스파이웨어를 포함한 78%는 웹사이트나 P2P 네트워크에서 내려받았다. 이렇게 위장된 악성 코드를 통해 사이버 범죄자들이 개인 정보나 금융 정보를 빼내가거나 컴퓨터의 마이크나 비디오 카메라를 조정해 사생활을 침해하기도 한다.
IDC 존 간츠(John Gantz) 수석연구원은 "이번 연구 조사로 불법 소프트웨어를 접한 소비자와 기업들에게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 명백해졌다"며, "일부 사람들이 돈을 절약하고자 불법 소프트웨어를 선택하지만, 악성코드로 인해 금전적/정신적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IDC가 조사한 이번 보고서 전체 내용은 MS 홈페이지(http://www.microsoft.com/news/ipcrimes)에서, 악성코드에 대한 추가 정보와 감염 여부는 MS 보안센터(www.microsoft.com/security)에서 확인할 수 있다. MS는 해당 홈페이지에서 악성코드를 제거하는 툴을 제공하며, 안전한 정품 MS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컴퓨터 구매 정보도 제공한다.
글 / IT동아 이상우(lswoo@i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