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국내 IT 시장 10대 이슈는?

안수영 syahn@itdonga.com

제목을 입력하세요. (1)
제목을 입력하세요. (1)

IT 시장 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한국IDC(대표 홍유숙, www.idckorea.com)가 2013년 예상되는 국내 IT 시장의 주요 이슈와 트렌드를 조망해 '2013년 10대 예측(Top 10 Predictions 2013)'을 소개했다.

한국IDC에서 리서치 그룹을 총괄하고 있는 장순열 상무는 "현재 IT 산업은 사람들이 느끼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제3의 플랫폼' 환경으로 이동하고 있다. 제3의 플랫폼 환경이란 모바일 컴퓨팅, 클라우드 서비스, SNS, 빅데이터 기술을 토대로 한 IT 산업을 일컫는다. 이 기술들은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전세계 IT 시장 성장의 약 90%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13년 전세계 IT 지출은 2012년 대비 5.7% 성장하며 2조 1,0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성장을 주도할 가장 큰 분야는 역시 스마트 모바일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e리더기 등) 부문으로 2013년에도 20% 가까이 성장하며 전체 IT 시장 성장의 약 57%를 차지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모바일 기기를 제외할 경우 IT 시장 성장은 2.9%에 머물 전망이다. 이 외에 전세계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지출은 각각 6%와 4%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3년에는 PC 및 서버 시장도 전년 대비 소폭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한국IDC가 선정한 2013년 국내 IT 시장 10대 예측이다.

1. 국내 IT 시장 성장세 둔화

2013년 국내 IT 시장은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가운데 국내 IT 시장은 2012년도의 성장률(4.9%)보다 낮은 2.9%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2. 제3의 플랫폼(3rd Platform), 새로운 성장과 변화의 동력

최근 IT 시장에서 변화를 이끌고 있는 주요 기술인 클라우드 서비스, SNS, 모바일, 빅데이터가 새로운 플랫폼(제3의 플랫폼)으로 점차 자리를 잡고 있다. IT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비하고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설 것으로 보인다.

3. 컨슈머라이제이션의 확산

개인용 IT 기기를 회사 업무에 이용하는 컨슈머라이제이션(Consumerization, BYOD)현상이 크게 확산될 전망이다. 예를 들어 태블릿PC를 이용해 회사 문서를 처리하거나 스마트폰으로 화상 회의를 하는 상황 등이 늘어날 것이다. 이는 기업에게 IT 환경 변화에 대한 고민을 안겨주고 있지만, 직원의 생산성 증대 및 만족도 향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4. 스마트 기기를 통한 멀티 디바이스 시대 도래

스마트폰, 태블릿PC로 인해 과거 PC 위주의 환경이 변하고 있다.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 다양한 기기 및 OS가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기기가 시장을 단독으로 주도하기보다는 개개인이 상황에 맞춰 다양한 기기를 활용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이 일반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향후 8인치 미만 태블릿PC 시장이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을 이어갈 것이다.

5.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 진화 가속화

모바일 네트워크의 성능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현재 IT 환경을 논함에 있어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은 빼놓을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 그 가운데 LTE 성능을 높이는 다양한 솔루션이 소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컨텐츠 및 서비스 활용의 확대가 이어질 것이다. 2013년에는 서비스 공급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LTE Advance’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새로운 경쟁이 시작될 것이다. 또한 진화된 모바일 환경에서 의료 및 보안과 관련된 새로운 서비스가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6. 빅데이터 솔루션 수요 확대

국내 기업의 빅데이터 솔루션 도입은 아직 상대적으로 저조하다. 그러나 축적된 정보를 분석해 실시간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이 커질 것이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기술적으로 이미 성숙단계로 접어든 비즈니스 애널리틱스 솔루션 도입을 적극 검토할 것이다. 다양한 기술을 조합한 통합 어플라이언스 제품에 대한 관심, 예측 분석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7. 데이터센터의 변모, 기업 경쟁력의 핵심

제3의 플랫폼의 출현 등 IT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며 전통적인 데이터센터도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각 기업들은 인프라 영역에서 네트워크 부문에 높은 관심을 갖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인프라 및 서비스 지원을 위한 역량 확보 노력이 이어질 전망이다. 또한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특화된 데이터센터가 활성화될 것이다.

8. SNS 관련 기술, IT 영역 전반으로 확산

SNS 관련 기술을 확보하고 기존 제품과 연동하는 기업용 애플리케이션 업체들의 노력이 이어질 것이다. 이를 통해 기업은 새로운 업무 환경을 도모할 것이며, 개인은 SNS를 사회 생활의 중요한 부문으로 인식할 것이다. 이에 따라 SNS의 위상이 높아지며 SNS 플랫폼 서비스도 단순한 커뮤니케이션 수준을 넘어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것이다.

9. 영역과 위협의 복잡성 심화에 따른 새로운 보안 인식 대두

컨슈머라이제이션, 모바일, 클라우드 활용 증가로 인해 보안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전통적인 보안 위협을 넘어 크라임웨어나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등과 같이 계획적, 장기적인 위협이 확산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 환경에서는 감시해야 할 엔드포인트의 확대, 모바일 기기의 분실, 개인 및 기업의 정보 혼재에 따른 보안 문제가 대두될 것이다. 다양한 기기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는 보안 솔루션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10. 새로운 환경, 새로운 가치 중심의 IT 마켓플레이스 등장

제3의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 IT 마켓플레이스가 등장,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제3의 플랫폼을 사업화하기 위한 서비스, 제품을 출시하는 현상이 IT 시장에서 이미 본격화되고 있다. 이러한 사업이 본 궤도에 오르는 시간도 점차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글 / IT동아 안수영(syahn@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