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텀블러 어떻게 버릴까"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으로 한번에 해결

[IT동아 박귀임 기자] "망가진 텀블러나 고장난 멀티탭 어떻게 버려야 할까?"

텀블러처럼 플라스틱과 금속을 혼합해 만든 제품, 혹은 식용유나 쌀 등 버리기 애매한 것을 어떻게 쓰레기 분리배출할지 고민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품목은 물론 지역별로도 분리배출 규정이 달라 더욱 헷갈린다.

국내 분리배출 제도는 1995년 1월부터 전면적으로 시행됐지만 점차 품목이 다양해지고, 복합 소재 제품이 많아지면서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지역별로도 분리배출 규정이 달라 어려움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크다. 이에 환경부가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을 새롭게 선보였다. 이를 통해 분리배출에 대한 종합 정보를 손쉽게 확인 가능하다.

환경부가 운영하는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은 9월 5일 정식 개설됐다 / 출처=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 공식 사이트
환경부가 운영하는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은 9월 5일 정식 개설됐다 / 출처=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 공식 사이트

환경부는 9월 5일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을 정식으로 개설했다. 앞서 8월 27일부터 약 10일 동안 사전 운영한 후 제17회 자원순환의 날(매년 9월 6일)을 맞아 본격 운영을 시작한 것.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은 재활용 가능 자원을 올바르게 분리배출하도록 구축한 시스템이다. 품목별, 종류별은 물론 지역별 분리배출 정보를 쉽고 상세히 제공한다. 기존에도 '내 손안의 분리배출'이나 '쓰레기 백과사전' 등으로 관련 정보를 제공했으나 품목별 정보를 찾기 어렵고, 파편화돼 있어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을 통해 통합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

이번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은 일상에서 주로 발생하는 무색페트병, 텀블러, 감기약 등 생활폐기물 730개 품목에 대한 분리배출 방법을 안내한다. 환경부에 따르면 향후 1500개까지 품목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지역마다 다른 분리배출 방법으로 인한 혼란을 줄이기 위해 검색자 위치 기반 서비스를 마련한 것이 눈여겨볼 만하다. 원하는 지역(시·군·구)의 배출 방법과 의류수거함이나 무인회수기 등 다양한 배출장소까지 통합해 알려줘 효용성을 높인다.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의 모바일 버전으로 '보조배터리' 검색하면 나오는 화면 / 출처=IT동아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의 모바일 버전으로 '보조배터리' 검색하면 나오는 화면 / 출처=IT동아

예를 들어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의 검색창에 '보조배터리'를 입력하면 ‘전지수거함에 배출해주세요’라고 안내해준다. 뿐만 아니라 검색자 주변의 가까운 전지수거함 위치도 확인 가능하다. 이는 검색자의 위치 접근 권한을 허용했을 때만 적용된다.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의 이용 방법은 간단하다. 사이트 메인 화면 속 '내가 가진 쓰레기 어떻게 버려야할까'라고 적힌 검색창에 궁금한 폐기물 품목을 입력하면 된다. '품목 사전'을 눌러 검색할 수도 있다. 품목 검색 시 분리배출 방법부터 특징과 유의사항까지 자세하게 알려준다. 유사 품목에 대해서도 안내해 이해하기 쉽다. 일례로 '육수팩' 검색 시 유사 품목은 한약찌꺼기, 녹차잎, 티백 등이 나오는 식이다.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의 PC 버전으로 '육수팩'을 검색하면 나오는 화면 / 출처=IT동아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의 PC 버전으로 '육수팩'을 검색하면 나오는 화면 / 출처=IT동아

그럼에도 불구하고 궁금증이 풀리지 않았을 경우 '분리배출 Q&A(질의응답)'를 활용하면 된다. 사용자가 질문하면 담당자인 한국폐기물협회가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 내용을 바탕으로 답변해준다. 다만 누리집에서 제공하는 품목 이외의 것을 질문하면 답변 기간이 다소 걸릴 수 있다.

최근 분리배출 Q&A에 한 작성자가 '텀블러 사용 못하게 틀어졌는데 종량제봉투에 버리면 되나요?'라고 묻자 담당자인 한국폐기물협회는 '텀블러 뚜껑은 플라스틱으로 배출하고, 본체는 금속(스테인리스) 재질이므로 금속캔 또는 고철 수거함으로 배출해 주시길 바랍니다'라고 답변했다. 또 다른 작성자는 '줄이 낡아 고장나거나 먼지가 껴서 위험한 멀티탭은 어떻게 버리나요'라고 문의했고, 담당자는 '멀티탭은 소형전기전자제품으로 배출하시면 됩니다. 소형가전제품 수거함이 있는 경우 수거함에 배출하고 지자체에서 정하는 방법이 있는 경우 그에 따라 배출하시면 됩니다. 또한 소형전기전자제품 5개 모아서 함께 배출할 때에는 무상방문수거 서비스도 가능합니다'라고 답변을 남겼다.

반응형 웹디자인을 채택한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은 PC 및 모바일 환경에서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 출처=IT동아
반응형 웹디자인을 채택한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은 PC 및 모바일 환경에서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 출처=IT동아

뿐만 아니라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은 반응형 웹으로 구축, PC부터 스마트폰까지 다양한 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으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 시각 장애인을 위해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고, 글자 크기 조절 기능으로 고령자 역시 편하게 이용 가능하다.

환경부는 지속적으로 지역 및 품목별 배출방법 등을 보완,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을 보강할 계획이다.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나 모바일 앱 개발 등 기능 개선을 통해 편의성도 높일 예정이다.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은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을 쉽고 편리하게 설명해주는 부분이 인상적이다. Q&A 질문도 대부분 하루 만에 답변하며 적극적인 느낌을 준다. 아직 초반인 만큼 품목이 많지 않고, 위치 기반 서비스가 원활하지 않은 부분은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IT동아 박귀임 기자(luckyim@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