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외 로그인 옵션 설정하려면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김예지 yj@itdonga.com

[IT동아 김예지 기자] PC는 개인의 추억부터 중요한 업무 자료를 보관하는 공간입니다. 외부인이 무단으로 PC에 접속하는 것을 막기 위해 로그인 과정에서 비밀번호(암호)를 설정해 PC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까닭입니다.

윈도우 헬로는 생체 인식 기반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으로, 얼굴 인식, 지문 인식, PIN을 지원합니다 / 출처=IT동아
윈도우 헬로는 생체 인식 기반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으로, 얼굴 인식, 지문 인식, PIN을 지원합니다 / 출처=IT동아

윈도우 11는 로그인 방법으로 비밀번호 외에 다양한 옵션을 제공합니다. 주요 옵션으로는 ▲얼굴 인식 ▲지문 인식 ▲PIN ▲보안 키 ▲사진 암호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선택지는 사용자 계정 보안을 강화하고, 더욱 편리한 접속을 지원합니다. 이는 윈도우 10부터 도입된 ‘윈도우 헬로(Windows Hello)’ 기능 덕분에 가능해졌습니다. 윈도우 헬로는 생체 인식 기술 기반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으로, 얼굴 인식, 지문 인식, PIN을 지원합니다. 이번 이럴땐 이렇게!에서는 비밀번호 외의 다양한 로그인 옵션을 사용해봅니다.

윈도우 헬로, 얼굴 인식·지문 인식·PIN 지원

‘얼굴 인식’에서 ‘설정’ 버튼을 클릭하고, 이어 ‘시작’을 누르면 얼굴 인식 정보 절차가 시작됩니다 / 출처=IT동아
‘얼굴 인식’에서 ‘설정’ 버튼을 클릭하고, 이어 ‘시작’을 누르면 얼굴 인식 정보 절차가 시작됩니다 / 출처=IT동아

먼저 ‘얼굴 인식’ 로그인 방식을 설정해봅니다. 작업 표시줄의 윈도우 시작 버튼을 클릭한 후, ‘계정’ 메뉴로 이동합니다. ‘로그인 옵션’ 항목을 선택하면 ‘로그인하는 방법’ 목록이 생성됩니다. ‘얼굴 인식’에서 ‘설정’ 버튼을 클릭하고, 이어 ‘시작’을 누르면 얼굴 인식 정보 절차가 시작됩니다.

얼굴이 카메라 프레임 중앙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면, 내장 카메라가 사용자 얼굴을 인식합니다 / 출처=IT동아
얼굴이 카메라 프레임 중앙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면, 내장 카메라가 사용자 얼굴을 인식합니다 / 출처=IT동아

얼굴이 카메라 프레임 중앙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면, 내장 카메라가 사용자 얼굴을 인식합니다. 화면의 파란색 테두리 안에 얼굴이 정확히 인식되면, PIN 설정 단계를 거쳐 얼굴 인식 로그인 설정이 완료됩니다. 이때 설정하는 PIN은 얼굴 인식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한 백업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설정에서 ‘윈도우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면 자동으로 잠금 화면을 해제합니다’를 체크하면 이후 로그인 시 얼굴 인식이 자동으로 선택됩니다. 만약 안경을 착용한 경우 등 설정한 얼굴 인식이 만족스럽지 않다면 ‘인식 기능 향상’ 버튼을 눌러 재등록할 수 있습니다. 더 이상 얼굴 인식을 사용하고 싶지 않다면 ‘이 로그인 옵션 제거’를 누르면 됩니다.

얼굴 인식 기능을 활용하려면 적외선 카메라가 내장돼 있는지 PC 구매 전 제조사 공식 홈페이지나 제품 설명서를 통해 해당 모델의 사양을 확인해야 합니다 / 출처=IT동아
얼굴 인식 기능을 활용하려면 적외선 카메라가 내장돼 있는지 PC 구매 전 제조사 공식 홈페이지나 제품 설명서를 통해 해당 모델의 사양을 확인해야 합니다 / 출처=IT동아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일반 웹캠만으로는 얼굴 인식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려면 적외선(IR) 카메라 또는 인텔 리얼센스(RealSense)와 같은 3D/심도 카메라가 내장돼 있어야 합니다. 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 서피스 시리즈(Surface Pro, Surface Book)를 비롯해, 델(Dell), HP, 레노버(Lenovo), 에이수스(ASUS), 삼성, LG 등 주요 노트북 제조사의 비즈니스용, 프리미엄 노트북, 일부 태블릿 및 2-in-1 제품군이 있습니다.

윈도우 헬로 기능을 지원하는 PC라 할지라도 저가형, 보급형, 데스크톱 PC 등은 적외선 카메라가 탑재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PC 구매 전 제조사 공식 홈페이지나 제품 설명서를 통해 해당 모델의 사양을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장치가 내장돼 있지 않더라도 별도의 외부 적외선 카메라를 추가 구매하면 사용 가능합니다. 한편 일반 웹캠만 있는 경우, 일부 서드파티 소프트웨어를 통해 얼굴 인식 로그인은 가능하나, 윈도우 헬로 공식 지원 장치보다 보안 수준이 낮을 수 있기 때문에 권장하지 않습니다.

켄싱턴 베리마크 USB 지문 키 리더 / 출처=켄싱턴
켄싱턴 베리마크 USB 지문 키 리더 / 출처=켄싱턴

‘지문 인식’도 얼굴 인식 등록 방법과 유사한 과정을 거칩니다. PC에 지문 스캐너가 내장됐거나, 혹은 별도의 장치를 구매해 연결했다면, 지문을 등록해 로그인 옵션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옵션 메뉴에 윈도우 헬로 관련 항목이 표시된다면, 현재 사용 중인 PC가 윈도우 헬로를 지원한다는 의미입니다. 예컨대, 기자가 사용한 레노버 PC는 얼굴 인식 기능을 제공하나, 지문 스캐너는 내장돼 있지 않았습니다.

PIN은 기존의 비밀번호와 유사하지만, 서버를 통하지 않고 로컬(기기) 단에서 인증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다릅니다 / 출처=IT동아
PIN은 기존의 비밀번호와 유사하지만, 서버를 통하지 않고 로컬(기기) 단에서 인증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다릅니다 / 출처=IT동아

다음으로, PIN은 기존의 비밀번호와 유사하지만, 서버를 통하지 않고 로컬(기기) 단에서 인증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다릅니다. 비밀번호가 계정 자체에 연결돼 모든 인터넷 기기에서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지만, PIN은 특정 기기에만 연결돼 더욱 안전하게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IN은 일반적으로 4~6자리 숫자로 구성하지만, 특수문자·문자를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비밀번호는 문자·숫자·특수문자의 복잡한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입니다. ‘PIN’ 항목에서 ‘설정’ 버튼을 클릭한 후, 계정 암호를 먼저 입력하면 PIN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좋아하는 사진으로 잠금 해제, 사진 암호

이외에 윈도우는 기존의 계정 비밀번호, 보안 키, 사진 암호 방식도 제공합니다. 먼저 계정 비밀번호를 설정하려면 ‘암호’ 항목에서 ‘설정’을 클릭하고, 비밀번호와 힌트를 입력합니다. 변경이 필요하다면 기존 비밀번호를 입력한 뒤 변경하면 됩니다. 또한 보안 키는 인증에 사용되는 물리적인 장치를 뜻합니다. USB 동글, 근거리 무선 통신(NFC) 또는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PC와 연결해 비밀번호 대신 사용 가능합니다.

윈도우의 흥미로운 기능 중 하나는 ‘사진 암호’입니다 / 출처=IT동아
윈도우의 흥미로운 기능 중 하나는 ‘사진 암호’입니다 / 출처=IT동아

윈도우의 흥미로운 기능 중 하나는 ‘사진 암호’로, 터치 스크린을 지원하는 PC에서 사용 가능한 방식입니다. 사용자는 원하는 사진을 선택하고, 그 위에서 특정 제스처를 직접 설정해 만듭니다. ‘사진 암호’ 항목에서 ‘추가’ 버튼을 클릭한 후, 계정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사진 선택’ 버튼을 눌러 원하는 사진을 고르면 ‘미리 보기’ 화면이 나타납니다. 미리보기 화면에서 사진을 양옆으로 드래그하여 원하는 위치로 배치할 수 있고, 확정했다면 ‘현재 사진 사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또한 ‘다른 사진 선택’으로 재선택할 수 있습니다.

사진 선택이 완료되면, 사진의 특정 부분을 탭하거나, 직선 또는 원을 그려 세 개의 제스처를 설정합니다 / 출처=IT동아
사진 선택이 완료되면, 사진의 특정 부분을 탭하거나, 직선 또는 원을 그려 세 개의 제스처를 설정합니다 / 출처=IT동아

사진 선택이 완료되면, 사진의 특정 부분을 탭하거나, 직선 또는 원을 그려 세 개의 제스처를 설정합니다. 설정한 세 개의 제스처를 기억해 동일하게 한번 더 입력하는 확인 과정을 거칩니다. 이때 제스처의 크기, 위치, 방향, 순서를 일치하도록 입력해야 합니다. 다르게 입력했다면 재시도할 수 있으며, 이때는 사진에 설정한 제스처가 표시되기 때문에 수월합니다.

로그인 옵션은 중복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출처=IT동아
로그인 옵션은 중복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출처=IT동아

한편, 로그인 옵션은 중복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잠금 화면에서 ‘로그인 옵션’ 텍스트를 클릭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로그인 방식들이 아이콘으로 표시됩니다. 사용자는 원하는 방식을 선택해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다음 잠금 화면이 나타날 때에는 가장 최근 사용한 방식이 기본값으로 설정됩니다.

IT동아 김예지 기자 (yj@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